한국   대만   중국   일본 
켈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켈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허버트 제임스 드레이퍼 , 《켈피》 1913年 그림.

켈피 ( 스코트어 : Each-Uisge , 英語 : kelpie, water kelpie )는 스코틀랜드 呼訴 에 사는 變身 能力이 있는 물鬼神이다. 普通 의 形象을 하고 있다고 하나 사람의 모습을 할 수도 있다. 一部 記錄에서는 켈피가 사람으로 變身했을 때 발굽이 남아있다고 하는데 이는 1786年 로버트 번스 의 詩 〈 惡魔 前上書 〉에서 그랬듯 켈피를 사탄 과 결부시키는 基督敎的 暗示를 품고 있다. "켈피"라는 말은 特定 幻想鐘보다는 마치 물鬼神 全體를 가리키는 代名詞처럼 使用되기도 한다.

스코틀랜드의 웬만한 물줄기는 모두 켈피 傳說이 있지만, 特히 有名한 것은 네스湖 이다. 켈피 目擊談은 게르만의 닉歲 나 노르드의 베카헤스트 目擊談과 一致하는 바가 많다. 廣範圍하게는 中央아메리카의 位휜 , 오스트레일리아의 腐泥입 도 이에 對應하는 存在라고 볼 수 있다. 邪惡한 물말에 關한 傳說은 太古的 물의 神에게 바쳐진 人神供養 에서 비롯된 것으로 推測되지만, 켈피에 關한 敍事는 어린 아이들이 危險한 물가에 接近하는 것을 막고 젊은이들에게는 魅力的인 낯선 이를 注意하라는 警告를 주는 實用的 機能도 遂行하고 있다.

켈피는 文學 및 藝術 作品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演出된다.

어원 [ 編輯 ]

아베를렘노 敎會 席十字架에 새겨진 말의 머리를 가진 存在.

스코트어 낱말 "켈피"( kelpie )의 語源은 不確實하다. 다만 게일어 單語 "칼派"( calpa ) 또는 "칼페크"( cailpeach )에서 由來되었을 可能性이 있는데, 이는 各各 "암송아지", "수망아지"를 뜻한다. "켈피"라는 낱말을 傳說의 存在를 가리키는 意味로 처음 使用한 用例는 윌리엄 콜린스 가 1759年에 쓴 송가 原稿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때는 綴字가 kaelpie 였다. [1] 그리고 1788年 에든버러 王立學會 에서 再次 使用되었다. [2] 古代 스코트어 事前 》에 따르면 1674年 커쿠브리 의 地域自治 記錄에 "켈피 홀"(Kelpie hoall), "켈피 훌"(Kelpie hooll) 같은 地名이 나타난다. [3]

傳承의 詳細 [ 編輯 ]

描寫와 一般的 特徵 [ 編輯 ]

歷史學者이자 온라인 語源 辭典 의 創立者인 더글러스 하퍼 는 "켈피"를 "말의 形象을 한 惡靈의 低地帶 이름"으로 定義한다. [4] 켈피는 스코틀랜드 民譚에서 가장 흔한 물鬼神이지만, 켈피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물鬼神의 形象은 各地의 傳承마다 제各各이다. [5] 19世紀 後半에 民譚의 口述 作業이 始作되었을 때, 記錄者들마다 綴字가 不一致하고 記錄하는 單語를 英語化 시키곤 했기 때문에 同一한 存在를 가리키는 여러 個의 다른 이름이 記錄되기도 했다. [6]

켈被疑 棲息地에 對해서도 사람들마다 意見이 다르다. 19世紀의 존 그레고르슨 캠벨 과 20世紀의 루이스 스펜스 , 캐서린 메리 브릭스 는 켈피를 江가에 사는 물鬼神으로 定義하면서, 湖水에 사는 켈트의 물말( 에흐으시커 )와는 區分했다. [7] [8] [9] 그러나 이러한 區分은 普遍的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월터 스콧 은 켈被疑 棲息地는 江뿐 아니라 呼訴까지 넓게 잡아야 한다고 主張했다. [10] [11] 매킬럽(Mackillop)의 辭典에서는 “처음에는 … 시냇물에 산다고 여겨졌으나, 나중에는 모든 물 속에 산다고 여겨졌다”고 敍述하여 兩者의 不一致를 調整하고 있다. [12] 한 主席者는 켈트의 에흐으시커가 "一般的인 飜譯 慣習"에 따라 英語 記錄에서 "켈피"라고 飜譯됨에 따라 켈피가 에흐이시커처럼 呼訴에 산다고 여겨지게 되었다는 論理를 편다. [13]

또 다른 이들은 다양한 幻想종들을 "켈피"라는 單語로 敍述한다. [5] 스코틀랜드의 다른 地域에도 켈피와 類似한 것들이 있는데 예컨대 셰틀랜드 의 슈필티(shoopiltee)와 너글(nuggle), [14] 오크니 炭氣 가 그러하다. 英國 全體로 보면 웨일스 케筆 두르 맨섬 카벌 憂時터 가 켈피와 類似하다. 게르만 닉歲 , 스칸디나비아의 베카헤스트 에게서도 類似性이 發見된다. 닉 미들턴 은 “스코틀랜드 傳承의 켈피는 [스칸디나비아 傳承의] 베카헤스텐[原文 그대로임]과 正確한 竝行 關係에 있다”고 본다. [15] 中央아메리카의 位휜 [16] 오스트레일리아의 腐泥입 [17] 처럼 유럽 바깥의 世上에도 비슷한 것들이 傳承되고 있다.

傳說의 켈피는 一般的으로 힘세고 아름다운 검은 말의 모습으로 描寫되며, 스코틀랜드의 江이나 內의 깊은 곳에 살면서 遭遇하는 人間들을 잡아먹는다. [16] [18] 켈피를 普通 말과 區分할 수 있는 가장 흔한 特徵은 발굽이 거꾸로 달려 있다는 것이며, 이는 아이슬란드의 뉘쿠르 와 共有되는 性質이다. [16] [19] 한便 애버딘셔 의 傳承에서는 말의 모습을 한 켈피는 갈기가 뱀으로 되어 있다고 하며, [20] 스페이 江 에 산다고 傳承되는 말 模樣 물鬼神은 白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노래를 불러 犧牲者가 自己 等에 타도록 誘導할 수 있다고 한다. [17]

켈피는 犧牲者를 물 속으로 끌고 가서 잡아먹고 물가에 內臟만 던져놓는다. [21] 말의 形態를 하고 있을 때 켈피는 몸의 길이를 늘려서 여러 名의 사람을 태워 물 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22] 켈피 이야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테마로 여러 名의 아이들이 켈被疑 등에 올라탔고 아이 한 名만 物價에 남게 되는 것이 있다. 普通 그 아이는 어린 사내아이인데, 말을 쓰다듬으려 했다가 손이 말의 목에 들러붙어 버린다. 이야기에 따라 살아남기 위해 손가락 또는 손을 잘라내야 했다는 變形이 있다. 그 아이 한 名은 살아남지만 다른 아이들은 물 속으로 끌려가 溺死했고, 나중에 아이들의 內臟만 發見된다. 퍼스셔 의 글렌 켈트니(Glen Keltney)에 사는 이 짐승을 20世紀 民俗學者 캐서린 메리 브릭스 는 켈피라고 判斷했지만, [5] 亦是 퍼스셔를 背景으로 하는 類似한 이야기에는 에흐으시커 가 아이들을 잡아먹은 犯人이고, 살아남은 사내아이에 關한 이야기에 潤色이 더해져 있다. [23] 켈피가 犯人으로 傳해지는 서소 의 傳承에서는 아이가 손가락을 잘라냈다고 한다. [24] 하일랜드 수나르트 에서 傳承되는 같은 이야기에는 失踪된 아이가 아홉 名이라고 具體的으로 描寫되고, 그 中 한 名의 內臟만 發見되었다고 한다. 여기서도 살아남은 아이는 손가락을 잘라내서 살아났고, 그 아이의 주머니에 聖經冊이 들어 있었다는 군말이 덧붙어 있다. 그레고르슨 캠벨은 이 이야기의 짐승은 켈피보다는 에흐으시커일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 이야기가 “아이들이 週日에 싸돌아다니지 못하게 하려는 敬虔한 거짓말”이라고 한다. [25]

켈피는 大槪 홀로 活動하는 生物처럼 描寫되지만, 존 프랜시스 캠벨 이 《 西部 高地帶의 有名한 이야기들 》( Popular Tales of the West Highlands , 1860年) 採錄한 童話에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妖精과 켈被疑 다리〉( Of the Drocht na Vougha or Fuoah )라는 題目의 이 이야기에는 한 무리의 步가스 들이 나온다. 이 精靈들은 클러스 고르니히 의 물을 每番 조가비를 타고 건너는 데 지친 나머지 물 위로 다리를 짓기로 한다. 그래서 만든 다리는 棧橋와 橋脚이 黃金으로 된 으里번쩍韓 傑作이었다. 그런데 한 구경꾼이 이 作業을 위해 켈피들을 祝福하자 다리가 물 속 유사에 휘말려 가라앉아 버렸다. [26] 民俗學會 會員이자 民畓 蒐集家 샬럿 뎀스터 가 採錄한 民譚에도 같은 이야기가 있다. 이쪽은 題目이 그냥 〈켈被疑 다리〉( The Kelpie's Bridge , 1888年)이고 步가스나 푸어 같은 精靈들은 登場하지 않는다. [27] 作家이자 民俗學者인 제니퍼 웨스트우드(Jennifer Westwood)는 같은 이야기를 引用하면서, [28] “물 켈피( water kelpies )”라는 技術語를 使用했다. 그女의 意見에 따르면 이 이야기를 비롯한 몇몇 이야기에서 켈피라는 말은 임프(못된 妖精) 비슷한 무언가를 가리키는 漠然한 뜻으로 使用되고 있다. [29]

켈피와 普通 말이 交接하여 태어난 새끼는 絶對 溺死하지 않는다. 이렇게 태어난 混血 망아지는 歸家 普通 말보다 짧은 點으로 區分이 可能하다. 스코틀랜드 게일의 타르브으시커 나 맨섬의 柁樓 憂時테이( tarroo ushtey )도 普通 소와 交接하여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이렇게 태어난 混血 송아지는 溺死하지 않으며 普通 송아지보다 귀가 짧다는 特徵을 共有한다. [30] [31]

變身談 [ 編輯 ]

토머스 밀리 도우 의 《켈피》 1895年 그림.

켈피는 말(馬)李 아닌 形態로 變身 할 수 있는 能力이 있으며, 人間 의 形態도 取할 수 있다. [32] 人間으로 遁甲한 켈피는 머리카락에 물풀이 끼어 있는 點으로 그 正體를 알아볼 수 있다. [16] 人間으로 遁甲한 켈피는 거의 例外없이 언제나 男性의 모습이라고 한다. 켈피가 女性의 모습으로 遁甲한 매우 드문 이야기 中 하나는 로스크로마티 의 코논 집안(Conon House) 을 그 背景으로 하고 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綠色 옷을 입은 키 큰 女子”가 “핼쑥하고 貧弱한 얼굴로, 惡意에 찬 비뚤어진 눈길”을 가졌다. 이 女子는 힘이 無知莫知하게 세서 시냇물에서 뛰쳐나와 한 男子와 한 少年을 끌고 들어가 溺死시켰다. [33] 그레고르는 주름이 쪼글쪼글한 老人의 모습으로 遁甲한 켈피의 이야기를 한다. 한 老人이 다리 위에 앉아서 바지 한 벌을 기우고 있었다. 지나가던 地域民이 그를 켈피라고 생각하고 그 머리통을 후려쳤더니 老人은 말의 形態로 돌아가 近處 蓮못 속의 自己 巢窟로 날쌔게 逃亡갔다. [34] 다른 記錄에서는 人間으로 遁甲한 켈피가 “거칠고 텁수룩 한 男子의 모습을 하고, 혼자 말 달리는 나그네의 뒤를 덮쳐 그를 깔아뭉개 죽인다”고도 하고, 또는 사람을 조각조각 찢어서 잡아먹는다고도 한다. [12]

바라 에서 傳해지는 民譚에서는 외로운 켈피 한 마리가 잘 생긴 젊은이로 變身해서 예쁜 少女를 誘惑해 아내로 삼으려고 한다. 그러나 少女는 男子의 正體가 물鬼神이라는 것을 알아채고 男子가 잠든 사이 그의 銀목걸이(그 正體는 말의 굴레 )를 벗겨 버렸다. 켈피는 그 卽時 말의 形態로 돌아갔고, 少女는 말을 타고 아버지의 農場으로 돌아갔다. 農場에 끌려온 켈피는 1年 동안 부려먹혔다. 1年 뒤 少女는 켈피를 타고 賢者를 찾아가 相談을 한다. 賢者는 켈피에게 銀목걸이를 돌려주라고 한다. 그래서 돌려줬더니 켈피는 처음 만났던 그 잘생긴 男子로 돌아갔다. 賢者는 켈피에게 켈피로 남을 것인지 必滅者인 人間이 될 것인지 選擇하라고 한다. 그러자 켈피는 少女에게 自己가 人間이 되면 自己 아내가 되어주겠냐고 묻는다. 少女는 그러겠노라고 對答하고, 켈피는 人間이 되기로 하여 둘이는 結婚해서 살았다고 한다. [35]

捕獲과 退治 [ 編輯 ]

켈피가 마구 가 채워지지 않은 말의 形態로 나타날 境遇, 十字架 烙印이 찍힌 고삐를 利用해 켈피를 잡을 수 있다. 魔球를 채운 켈피는 힘이 세어서 커다란 硏子방아를 돌리는 等의 重勞動에 써먹을 수도 있다. [36] 한 民譚에서는 모르피(Morphie)의 한 地主가 켈피를 붙잡아서 돌로 城을 쌓게 시켰다. 일이 完了되자 地主는 켈피를 풀어줬는데, 켈피는 그間 自己가 當한 處遇가 못마땅했는지 떠나면서 詛呪를 남기고 갔다. “Sair back and sair banes/ Drivin' the Laird o' Morphies's stanes,/ The Laird o' Morphie'll never thrive/ As lang's the kelpy is alive” 이 詛呪 탓에 地主의 집안은 代가 끊기게 되었다고 한다. [37] 어떤 켈피는 마치 타라는 듯이 馬具가 채워져 있고 때로는 安葬 이 올려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 모습을 보고 켈피에게 올라타면 켈피는 물 속으로 뛰어들어 氣勝者를 溺死시킨다. 켈피가 이미 馬具를 차고 있을 境遇 그 馬具를 除去하는 것으로써 구마 가 이루어진다. [38] 켈피에게서 벗겨낸 馬具는 魔法的 性質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한테 대고 휘두르면 그 사람을 말 또는 조랑말로 變身시킬 수 있다. [39]

마치 늑대人間 처럼, [40] 어떤 켈피는 銀製 彈丸으로 쏘아 죽일 수도 있다고 한다. 그렇게 쏘아 죽인 켈피는 마치 해파리 같은 흐물흐물한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41] 한 대장장이 家族이 여름 別莊에 켈피가 繼續 出沒하자 怯에 질렸는데, 대장장이가 “수북이 쌓인 목말더미 또는 그 비슷한 것”으로 켈피를 誘引하여 불에 달군 무쇠 窓 두 個를 켈被疑 옆구리에 쑤셔박아 退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42]

네스 湖의 켈피 [ 編輯 ]

어느 程度 크기가 되는 스코틀랜드의 水域들은 모두 켈피 이야기가 傳해져 내려오지만, [11] [36] 그 中에서도 가장 有名한 것은 아마 네스湖 일 것이다. 네스 號에서 怪物을 봤다는 이야기는 6世紀에 聖者 콜룸바 히엔시스 가 네스 號에서 怪物을 잡았다는 이야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43] 19世紀 初에는 自己 고삐와 鞍裝을 얹은 켈피가 出沒해서 네스 號 湖畔과 숲 속을 돌아다녔다고 한다. 하이랜더 제임스 맥그리거(James MacGrigor)가 이 怪物을 急襲하여 힘과 生命의 源泉인 馬具를 잘라내 버렸다. 馬具가 없으면 켈피는 24時間 안에 죽어버린다. 말을 할 줄 알았던 켈피는 馬具를 돌려받기 위해 맥그리거에게 酬酌을 부렸다. 맥그리거의 집까지 따라간 켈피는 맥그리거에게 집 玄關 위에 붙은 十字架 때문에 自己 馬具를 가지고는 집에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맥그리거는 그 말을 無視하고 馬具를 窓門으로 던져 넣어 버렸다. 結局 켈피는 죽을 運命을 받아들이고 맥그리거에게 詛呪를 남긴 뒤 떠나 버렸다. [38] [44] 이 이야기는 그 馬具가 맥그리거 家門에 繼續 傳해 내려갔다는 式으로 永續되었다. 이를 “윌록스의 功過 굴레( 英語 : Willox's Ball and Bridle )”라고 했는데, 사람을 고칠 수 있는 魔法的 힘이 있었다. 魔球를 물 속에 넣고 “聖父 聖者 聖靈의 이름으로”라고 呪文을 외우면 그 물이 治療藥이 되었다고 한다. [45] [46]

오늘날 네스 號 怪物 이야기는 수장룡 이 生存해 있다는 神秘動物學 쪽 이야기가 훨씬 더 有名해져 있지만, [47] 켈피 神話 亦是 몰리 헌터 의 〈켈被疑 晋州〉(1966年), 딕 킹스미스 의 〈물말〉(1990年) 같은 童話冊을 中心으로 如前히 口傳되고 있다.

起源 [ 編輯 ]

民俗學者 게리 R. 바너(Gary R. Varner)는 이 사람을 잡아먹는 물말 에 對한 傳說이 한때 물의 神들에게 사람을 산제물로 바쳤던 古代의 犧牲意識에 基盤한 것이 아니겠냐는 解釋을 내놓았다. 그에 따르면 말의 關聯性은 古代 스칸디나비아 에서 行해지던 마제 에 그 뿌리를 두는 것이라 한다. [48] [49] 邪惡한 물鬼神 이야기는 어린아이들이 危險한 물가에서 놀지 못하게 하고, 靑少年期의 女兒들에게 낯선 잘생긴 男子를 操心하라는 警告를 하는 實用的 機能도 갖고 있었다. [5] 또한 켈피 이야기는 켈피가 主日(日曜日)에 行해진 惡行을 報復한다는 點에서 道德的 規範을 强制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21] 成人 아이를 莫論하고 사람이 事故로 깊은 물이나 急流, 激流에 빠져 죽은 것을 물鬼神의 調和로 돌리는 것은 充分히 使用될법한 合理化 手段이었다. [50]

歷史學者이자 象徵學者 찰스 밀턴 스미스(Charles Milton Smith)는 옛 사람들이 스코틀랜드의 呼訴들 水面 위로 올라오는 龍오름 을 보고 마치 물 위를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그 모습에 켈피를 想像한 것이라는 설을 提起한다. [51] 월터 스콧 京都 敍事詩 〈 湖水의 貴婦人 〉에서 類似한 解釋을 示唆한다.

그는 회오리 소용돌이 끓어오르는 것을 보았다,
게서 나온 泡沫거품 아가씨들에 그 눈은 眩惑되고,
보아라 講義 惡靈이 일어나는구나
He watched the wheeling eddies boil,
Jill from their foam his dazzled eyes
Beheld the River Demon rise:

여기서 스콧은 “講義 惡靈(River Demon)”이라는 말로 켈피를 指稱하고 있다. [10] 또한 스콧은 《 來머무어의 新婦 》(1818年)에서 類似 로 이루어진 텀벙 빠지는 區域을 “켈피의 흐름(Kelpie's Flow)”라고 부르기도 했다. [52]

藝術的 再現 [ 編輯 ]

드럼두르노 席 에 새겨진 픽트의 짐승.

6世紀에서 9世紀 사이의 픽트 돌 들을 보면 픽트의 짐승 이라고 알려진 動物이 彫刻되어 있다. 어쩌면 이것이 켈피 또는 켈피 비슷한 무엇을 表現한 最初의 物件일 수도 있다. [53] 한便 허버트 제임스 드레이퍼 의 1913年 캔버스에 油化는 켈피를 蓮못가에 앉은 女性으로 그렸다. [54] 토머스 밀리 도우 도 1895年 켈피를 바위 위에 앉은 검은 머리의 陰沈한 女子로 그린 스케치를 남겼다. [55] 이렇듯 켈피를 女性으로 表現하는 것이 當代의 畫家들 사이엔 流行했다. [54] 民俗學者 니콜라 寶運(Nicola Bown)은 밀리 도우나 드레이퍼 같은 畫家들은 켈피에 對한 過去 記錄들을 無視하고 그 性質과 性別을 바꾸어 아예 再創造한 것이라고 말한다. [56]

스코틀랜드 폴커크의 《켈피들》 조각

스코틀랜드 폴커크 포스 앤드 클라이드 運河 에는 《 켈피들 》이라는 이름의 높이 30 미터의 鋼鐵製 彫刻像이 세워져 있다. 이 作品의 設計者는 彫刻家 앤디 스콧 으로, 그는 傳說 속의 짐승의 이름을 빌어와 말의 힘과 참을性을 결부시키며 스코틀랜드의 魔力(馬力)基盤 産業에 對한 記念物로서 조각을 세웠다. 2013年 10月 工事가 完工되었고 2014年 4月 大衆에 公開되었다. [5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kelpie, n.1.” ,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版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 2014年 5月 4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2. Carlyle (1788) , 72쪽
  3. “kelpie, n , A Dictionary of the Older Scottish Tongue (up to 1700) online版 , 2014年 7月 6日에 確認함  
  4. Harper, Douglas, “kelpie (n.)”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 2014年 5月 30日에 確認함  
  5. Westwood & Kingshill (2012) , 364쪽
  6. Monaghan (2009) , ix, xi, xv쪽
  7. Gregorson Campbell (1900) , 215쪽
  8. Spence, L. (1933年 3月 4日), “Mythical Beasts: in Scottish Folklore” , The Scotsman , (購讀 必要)  
  9. Briggs, Katharine, An Encyclopedia of Fairies , quoted in Bown 2001 , 177?178쪽
  10. Scott, Walter (1884) [1810], “The lady of the lake: a poem” , Lippincott, 277 (Note V to st. vii, p. 89)쪽, River Demon, or River Horse ... is the Kelpy of the Lowlands ... He frequents most Highland lakes and rivers; and one of his most memorable exploits performed on the banks of Loch Vennachar.  
  11. Graham (1812) , 245쪽
  12. MacKillop, James (2004), “kelpie, kelpy, waterkelpie”,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nline版, Oxford University Press , 2014年 5月 6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13. Gregorson Campbell (2008) , 320쪽
  14. Blind (1881) , 189쪽
  15. Middleton (2012) , 44쪽
  16. Varner (2007) , 24쪽
  17. McPherson (1929) , 61쪽
  18. Gregor (1881) , 38쪽
  19. Blind (1881) , 200쪽
  20. McPherson (1929) , 63쪽
  21. Anonymous (1887) , 513쪽
  22. Campbell (1860) , lxxxvi쪽
  23. MacKillop, James (2004), “each uisce, each uisge, aughisky” ,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nline版 (Oxford University Press) , 2014年 5月 22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24. Anonymous (1887) , 512쪽
  25. Gregorson Campbell (1900) , 208?209쪽
  26. Campbell (1860a) , 64쪽
  27. Dempster (1888) , 172쪽
  28. Bowman (2008) , 346?348쪽
  29. Westwood & Kingshill (2012) , 356쪽
  30. MacKillop, James (2004), “tarroo ushtey, theroo ushta”,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nline版, Oxford University Press , 2014年 5月 17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31. Lamont-Brown (1996) , 19쪽
  32. McPherson (1929) , 62쪽
  33. Westwood & Kingshill (2012) , 423쪽
  34. Gregor (1883) , 293?294쪽
  35. McNeil (2001) , 68?72쪽
  36. Spence (1999) , 91쪽
  37. Chambers (1870) , 334?335쪽.
  38. Mackinlay (1893) , 174쪽
  39. Spence (1999) , 19쪽
  40. Varner (2007) , 23쪽
  41. Spence (1999) , 95쪽
  42. Gregor (1881) , 66쪽
  43. Westwood & Kingshill (2012) , 458쪽
  44. Stewart (1823) , 102?107쪽
  45. Black (1893) , 501쪽
  46. Stewart (1823) , 102쪽
  47. Harmsworth (2010) , 310쪽
  48. Varner (2007) , 24?25쪽
  49. Gath Whitley (1911) , 147쪽
  50. Campbell (2002) , 1쪽
  51. Milton Smith (2009) , 44쪽.
  52. Scott, Maggie (November 2010), “Scots Word of the Season: Kelpie” , The Bottle Imp ( University of Glasgow ) (8), 2014年 5月 2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5月 17日에 確認함  
  53. Cessford, Craig (June 2005), Ragan, Elizabeth, 編輯., “Pictish Art and the Sea” (PDF) , The Heroic Age 8 (4): 3, ISSN   1526-1867 , 2014年 6月 29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9日에 確認함  
  54. The Kelpie , National Museums Liverpool , Lady Lever Art Gallery , 2014年 5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5月 5日에 確認함  
  55. Martin (1902) , 12쪽
  56. Bown (2001) , 218쪽
  57. Brocklehurst, Steven (2014年 5月 6日), “The man who created The Kelpies” , BBC News , 2015年 1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5月 8日에 確認함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