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카를루스 마리겔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카를루스 마리겔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카를루스 마리겔라
바이아州 代議員
任期 1946年 2月 5日 ~ 1948年 1月 10日

身上情報
出生日 1911年 12月 5日 ( 1911-12-05 )
出生地 브라질의 기 브라질 바이아州 사우바도르
死亡日 1969年 11月 4日 ( 1969-11-04 )
死亡地 브라질의 기 브라질 상파울루州 상파울루
正當 브라질 共産黨 (1932年 ~ 1964年)
國民解放運動 (1964年 ~ 1969年)

카를루스 마리겔라 ( 브라질 포르투갈語 : Carlos Marighella [?ka?luz ?ma?i???l?] : 1911年 12月 5日 ~ 1969年 11月 4日 )는 브라질 마르크스-레닌주의 革命家이다. [1] [2] 反스탈린주의 修正主義 에 빠져 프롤레타리아 革命 을 抛棄하고 브라질 軍事獨裁政權 에 對한 抵抗에 無關心한 브라질 共産黨을 脫黨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都市 게릴라 國民解放運動 을 設立하였다.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代表的인 스탈린주의 者이자 게바라主義 者이며 포코 理論 가로, 『 都市遊擊隊 讀本 』著述로 都市遊擊隊 에 對한 理論的 寄與로 有名하다. [3]

生涯 [ 編輯 ]

1911年 12月 5日 , 브라질 바이아州 에서 이탈리아 出身 移民者 家庭에서 태어났다. 1932年 브라질 共産黨 에 入黨하였고, 제툴리우 바르가스 의 獨裁政權을 批判하는 書籍을 執筆한 嫌疑로 逮捕되었다. 1946年 제툴리우 바르가스의 獨裁政權이 崩壞하고 브라질 共産黨이 다시 合法化되면서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釋放되었고, 1946年 브라질 總選에서 勞動者들의 支持를 받아 下院議員으로 選出되었다. 이 무렵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브라질 共産黨의 指導者가 되어 投獄된 政治犯들을 釋放하고 勞動組合, 農民組合 合法化를 이루어내는 큰 成果를 이루었지만, 1948年 브라질 軍事獨裁政權이 들어서면서 브라질 共産黨은 다시 禁止되었고, 그는 議員職을 喪失하고 祕密 警察에 拉致되어 拘禁되었다.

1950年 祕密 警察의 監視에서 벗어난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舊禁止를 脫出하여, 브라질 共産黨에 復歸했고, 그해 中央委員會 政治局 委員으로 選出되어 브라질 共産黨의 指導者가 되었다. 1953年과 1954年 사이 中國 共産主義 革命에 對해 分析하기 위해 브라질 共産黨 代表로 中華人民共和國 을 訪問했고, 1959年에는 쿠바 를 訪問하여 쿠바 革命 에서 큰 靈感을 얻었다.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이오시프 스탈린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虛를러깅 처이發想 , 엔베르 호자 , 마오쩌둥 , 체 게바라 의 熱烈한 支持者로써 反스탈린주의 修正主義 에 蠶食된 브라질 共産黨 指導部를 猛烈히 批判하며, 브라질 共産黨을 脫黨했다.

1964年 1月,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마르크스-레닌주의 都市 게릴라 國民解放運動 을 設立하였고, 社會主義 革命 을 통해 美國 의 支援을 받는 軍事獨裁政權을 顚覆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 國家 를 樹立하기 위해 武裝 鬪爭을 展開하였다. 1967年 8月,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쿠바 아바나 에서 開催된 第1次 라틴아메리카 連帶會議에 브라질 代表로 參席하여 이오시프 스탈린 체 게바라 에 對한 熱烈한 尊敬心을 표하며, 遊擊戰 戰術에서 포코 理論 의 重要性을 强調했다. 1969年 카를루스 마리겔라는 미리 埋伏한 極右軍事獨裁政權의 附逆한 限 政治警察에게 殺害되었다.

各州 [ 編輯 ]

  1. Marighella, Carlos (1966年 12月 1日). “Carta a Comissao Executiva do Partido Comunista Brasileiro” . 《Marxists.org》. marxists.org . 2019年 2月 18日에 確認함 .  
  2. Magalhaes, Mario (2012). 《Marighella》 (포르투갈語). Companhia das Letras. ISBN   9788580864717 .  
  3. Williams, John W. (January 1989). “Carlos Marighella: The father of urban guerrilla warfare”. 《Terrorism》 12 (1): 1?20. doi : 10.1080/10576108908435757 . ISSN   0149-03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