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칼파크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카라칼파크어
Qaraqalpaq tili
?ара?алпа? тили
?????????? ????
使用 國家 우즈베키스탄의 기 우즈베키스탄
카라칼파크스탄의 기 카라칼파크스탄
使用 地域 中央아시아
言語 人口 583,410 (2010)
文字 로마字
키릴 文字
아랍 文字
言語 系統 투르크語族
 킵차크語派
  킵차크-노가이
    카라칼파크어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카라칼파크스탄의 기 카라칼파크스탄 ( 우즈베키스탄의 기 우즈베키스탄 )
言語 富豪
ISO 639-2 kaa
ISO 639-3 kaa 카라칼파크어

카라칼파크어 우즈베키스탄 의 自治 共和國인 카라칼파크스탄 에서 使用되는 투르크語族 의 言語이다.

音韻 [ 編輯 ]

子音 [ 編輯 ]

兩脣音 齒莖音 後齒莖音 /
硬口蓋音
軟口蓋音 口蓋垂音 聲門音
비음 m m/м n n/н ŋ ?/?
破裂音 無聲音 p p/п t t/т k k/к q q/?
有聲音 b b/б d d/д ? g/г
摩擦音 無聲音 s s/с ? sh/ш x x/х h h/?
有聲音 z z/з ? j/ж ? ?/?
接近音 l l/л j y/й w w/?
R音 r r/р

母音 [ 編輯 ]

傳說 모음 喉舌 母音
平音 純音 平音 純音
高母音 i i/и y u/? ? ı/ы u u/у
中母音 e e/е œ o/? o o/о
低母音 æ a/? a a/а

文字 [ 編輯 ]

本來 아랍 文字 ( 페르시아 文字 )를 쓰다가 1928年에 蘇聯 政府에서 라틴 文字 를 導入했는데 1940年에 키릴 文字 로 갈아버렸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獨立 後 우즈베크어 처럼 1994年부터 라틴 文字 로 轉換했다. 다만 라틴 文字 導入에도 아직은 키릴 文字가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우즈베크어 처럼 a', n'처럼 力點을 찍어서 모자란 子音과 母音을 表記했으나, 영 보기 不便했는지 2016年부터 a, ?처럼 위에 acute를 찍는 것으로 轉換했다. 또한 初期에는 터키어 文字의 影響을 받아서 라틴문자 轉換 時 /?/ 發音을 I/ı로 적고 /i/ 發音을 ?/i로 적었었다. 卽 基本 라틴 文字의 I/i와 달리 大小文字 모두 點이 없는 것과 있는 것으로 區分이 됐었다. 하지만 이게 電算 等에서 問題를 일으킨다는 點 때문인지 2008年 表記法을 고치면서(이때 /ts/ 음(키릴 文字: ц)의 表記 文字가 旣存의 ts에서 c로 交替되는 措置도 같이 取해졌다.) /?/ 發音을 I'/i'로, /i/ 發音을 I/i로 적게 고쳤다. 근데 이 部分이 論難이 많았는지 2016年 表記法 改正 때 다시 바뀌었는데, /?/ 發音을 大文字로는 acute를 붙인 I로 적고 小文字로는 터키語처럼 ı로 적게 하였다. 結果的으로 다른 言語와는 完全히 딴판으로 I와 ı가 大小文字 雙으로 엮이게 하는 最惡의 決定을 내린 셈. 少數 言語라 現實的으로 IT 機器에서 카라칼파크語를 取扱하는 境遇는 드물겠지만 萬若 取扱한다면 이 言語만을 爲한 大小文字 對應 테이블을 마련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