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七面鳥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七面鳥속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七面鳥 에서 넘어옴)

七面鳥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鳥綱
목: 닭目
과: 꿩과
亞科: 七面鳥亞科
(Meleagridinae)
GR Gray , 1840
속: 七面鳥속
( Meleagris )
Linnaues , 1758
모식종
들七面鳥
[ 出處 必要 ]
  • 本文 參照
Meleagris gallopavo

七面鳥 (七面鳥)는 닭目 꿩과 七面鳥속 ( Meleagris )에 屬하는 두 種의 새를 가리킨다. 北아메리카 元山의 들七面鳥 ( Melagris gallopavo )와 中央아메리카 元山의 구슬七面鳥( Melagris ocellata )가 있다. 家畜 七面鳥는 들七面鳥 를 길들인 것이다. 本來 유럽에는 七面鳥가 없었는데, 1492年에 콜럼버스 가 新大陸을 發見한 以後 16世紀頃에 스페인에 依해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건너가 全世界로 普及되었다. [1]

BC 800年 以後 멕시코 原住民에 依해 家畜化되었으며 [2] AD 1100年頃부터 食用으로 쓰였다. [2] 美國에서는 秋收感謝節과 크리스마스에 七面鳥 料理를 먹는 傳統이 있다.

槪要 [ 編輯 ]

北아메리카와 멕시코가 原産地이다. 몸길이는 수컷 約 1.2m, 암컷 約 0.9m이고 몸무게는 수컷 5.8~6.8kg, 암컷 3.6~4.6kg이다. 野生種은 草芝에서 山地에 걸쳐 生活한다. 野生種은 家畜으로 길들여진 品種보다 몸이 작아서 날개길이 約 50cm이다. 깃털은 靑銅色이다. 머리에서 목에 걸쳐 皮膚가 드러나 있고 센털이 나 있는데, 이 部分이 붉은色이나 파란色으로 變한다. 수컷의 앞이마에는 伸縮性 있는 肉質(肉質)의 突起가 달려 있다. [3]

名稱과 어원 [ 編輯 ]

英語圈 [ 編輯 ]

七面鳥를 영미圈에서는 Turkey(터키)라고 부르는데, 이는 英國에서 아메리카 大陸으로 건너온 移民者들이 七面鳥를 ' 뿔닭(胡虜새) '과 같은 種類로 誤解한 것에서 由來하였다. 16世紀에 유럽에는 이미 아프리카産 ' 뿔닭 (guinea fowl)'李 輸入되고 있었다. [4] ' 뿔닭(胡虜새) '은 터키商人들이 유럽에 供給하고 있었기에 'Turkey Cock (터키닭)'이라는 別名을 가지고 있었다. 當時에 터키 商人들에 依해 輸入되던 거의 모든 物品들에 對해서 '터키 카페트', '터키 밀가루' 라는 式으로 別稱 붙이는 것이 英國에서는 通常的인 일이었기에 그런 別名을 부쳐서 불렀다. [5] 이는 韓國語에서 洋鐵, 洋잿물, 洋초 等에서 羊(洋)字를 接頭語로 붙여서 使用하는 것과 비슷한 境遇에 該當한다. [6]

그런데 英國人들이 北美大陸에서 七面鳥를 처음 接했을때, ' 뿔닭 (guinea fowl)'의 한 種類로 誤解하여 'Turkey fowl (터키 家禽類)' 또는 'Indian Turkey (印度 터키)' 로 불렀다. [7] '印度 터키(Indian Turkey)'라고 한것은 콜럼버스가 自身이 探險한 아메리카 大陸을 印度라고 主張한 것에서 由來하였다. 그러다가 後날 'Turkey(터키)'로 略稱하게 되었다. [8] [9] [10]

그 밖에 國家들 [ 編輯 ]

  • 七面鳥(七面鳥) - 韓國, 日本, 皮膚色이 다양하게 바뀌는 鳥類
  • 힌디(hindi) - 터키, 印度에서 온 새라는 뜻
  • 黨드(dinde) - 프랑스, 印度 닭(poule d’Inde)’의 줄임말
  • 타르네골 호두(tarnegol hodu) - 이스라엘, 印度 닭
  • 딕 루미(dik rumi) - 多數의 中東 國家들, 로마 닭
  • 페루(Peru) - 印度, 포르투갈, 페루에서 온 새 [6]

家畜化 [ 編輯 ]

紀元前 800年 以後 멕시코 原住民에 依해 처음 길들여졌다. 紀元前 200年 頃에 美國 南西部에 流入되거나, 그 地域의 土着民들에 依해 家畜化되었으며, 처음에는 意識에 使用되거나 禮服과 毯요를 만드는데 使用되었다. [2] AD 1100年頃부터 아메리카 原住民들이 처음으로 七面鳥 고기를 먹기 始作했다. [2] 野生 七面鳥와 比較했을 때, 집에서 기르는 七面鳥는 고기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選擇的으로 飼育된다. [11]

秋收感謝節 料理 [ 編輯 ]

美國에서는 ' 秋收感謝節 '이나 크리스마스 에 七面鳥를 먹는다. [12] [13] 언제부터 秋收感謝節에 七面鳥를 먹기 始作했는지는 確實하지 않다. 秋收感謝節이 1620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온 英國 淸敎徒 들이 이듬해 秋收를 마치고 祝祭를 연 데서 由來되었다고는 하는데, 當時에는 七面鳥를 먹었다는 記錄을 찾아볼 수 없다. [14] [15] 오리 또는 거위, 옥수수 빵·죽, 사슴고기를 먹었다는 記錄만 있다. [16]

소는 밭을 가는 等 耕作用으로 使用했으므로 19世紀 後半까지 北美大陸에서 食用으로 소고기 求하기가 힘들었다. 말은 運送과 移動手段으로 使用했으므로 屠畜할 수 없었다. 孃으로부터는 털을 얻어야 했고, 닭으로부터는 알을 얻어야 했으며 수탉고기는 너무 질겼다. 사슴 等 野生動物은 사냥에 成功해야만 먹을 수 있었으며,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는 많았으나 平素에 맛보지 못한 飮食을 먹고자 하는 특별한 날의 料理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17]

거위는 飼育이 힘들었고, 오리는 飼育이 손쉬운편이었지만 닭고기와 함께 價格이 七面鳥보다 비싼편이었다. 飼育이 손쉬웠던 七面鳥는 봄에 孵化한후 11月 秋收感謝節이 될때까지 約 7個月間 飼育하면 約 4.5kg까지 增體되므로 한마리 屠畜했을 때 고기量이 푸짐한 長點이 있었다. 飼育技術이 發達하지 못했던 當時에 같은 期間동안 닭은 約 2kg 程度밖에 안되었다. 소, 닭 等은 유럽에서 新大陸으로 건너온 家畜으로 初期에는 個體數가 不足하여 價格이 비쌌다.

그에 비해 土種인 七面鳥는 野生에도 棲息했고 原住民(인디언)들이 飼育을 하고 있어 供給이 圓滿했다. 유럽의 境遇에 뿔닭(胡虜새) 이나 七面鳥는 輸入潮流이다 보니 價格이 비싸서 富者들이 먹는 고기라는 이미지가 있었다. 그래서 英國에서 온 移民者들은 富者들이 먹는 七面鳥가 新大陸에는 더 많았으니 當然히 祝祭 飮食으로 七面鳥를 選擇하였다. [15] 또한 七面鳥는 가을에 맛이 가장 좋았다. 쌀쌀해지면 겨울을 나기위해 七面鳥가 먹이를 잔뜩 먹어 살이 올라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理由로 인해 美國에서는 秋收感謝節에 七面鳥 料理를 먹는 文化가 英國 植民地 時代때부터 定着되었다.

下位 種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七面鳥 [turkey, 七面鳥]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北아메리카와 멕시코가 原産地이다.....(중략)....칠면조는 오래 前부터 北아메리카의 原住民들에 依해 飼育되어 왔는데 콜럼버스가 북아메리카대륙을 發見한 1492年 以後 全世界에 普及되었다.
  2. "Native Americans First Tamed Turkeys 2,000 Years Ago" . Seeker (Discovery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19. Retrieved 23 November 2017.
  3. [네이버 知識百科] 七面鳥 [turkey, 七面鳥]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4. [조선일보] 秋收感謝節에 七面鳥를 먹게 된 理由 2017.11.28
  5. Krulwich, Robert (27 November 2008). "Why A Turkey Is Called A Turkey". NPR . Archived...... in the 1500s when the American bird first arrived in Great Britain, it was shipped in by merchants in the East, mostly from Constantinople (who'd brought the bird over from America). Since it wholesaled out of Turkey, the British referred to it as a "Turkey coq." In fact, the British weren't particularly precise about products arriving from the East. Persian carpets were called "Turkey rugs." Indian flour was called "Turkey flour." Hungarian carpet bags were called "Turkey bags." If a product came to London from the far side of the Danube, Londoners labeled it "Turkey" and that's what happened to the American bird. Thus, an American bird got the name Turkey-coq, which was then shortened to "Turkey."
  6. [세계일보] 박상현의 日常 속 文化史, 七面鳥를 왜 터키라 부르게 됐나
  7. Krulwich, Robert (2008年 11月 27日). “Why A Turkey Is Called A Turkey” . 《NPR》. 2016年 4月 1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7月 18日에 確認함 .  
  8. Webster's II New College Dictionary 保管됨 17 3月 2019 - 웨이백 머신 .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5, ISBN   978-0-618-39601-6 , p. 1217
  9. Smith, Andrew F. (2006) The Turkey: An American Story 保管됨 15 7月 2020 - 웨이백 머신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978-0-252-03163-2 . p. 17
  10. 조승연 <이야기 人文學> 김영사 2013年 p125~126
  11. "Amazing Facts About Turkey" . OneKi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16. Retrieved 24 December 2015.
  12. [네이버 知識百科] 七面鳥 [Turkey, シチメンチョウ] (서울動物園 動物情報).....‘秋收感謝節’에 ‘七面鳥’를 먹는다는 건 이미 익히 아는 事實이다. 美國의 秋收感謝節의 始初는 美國의 定着過程과 關係가 있다. 英國의 淸敎徒들이 처음 美國에 건너와 美國의 한 마을에 定着한 뒤, 1621年 가을 첫 收穫을 마친 뒤 3日間 感謝祈禱를 올리며 祝賀 잔치를 열었다고 한다.
  13. “Why Do We Eat Turkey on Thanksgiving?” . Wonderopolis. 2019年 10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14. [韓國日報] 퍽퍽한 七面鳥가 秋收感謝節 食卓에 오르는 까닭 2021.12.01. ...1621年의 秋收感謝節 晩餐에 對한 文獻은 單 두 件이 남아 있는데, 이들에 依하면 사슴과 野生 鳥類, 大邱와 농어, 그리고 美大陸 原住民이 耕作한 옥수수(粥이나 빵으로), 호두나 밤 等이 食卓에 올랐다고 한다. 野生 鳥類 가운데 七面鳥가 包含되었을 수도 있지만 그보다 오리나 거위, 白鳥나 나그네비둘기를 먹었을 可能性이 높다.
  15. 윤덕노 [Business Watch] 秋收感謝節에 왜 七面鳥를 먹을까?
  16. [조선일보] 秋收感謝節에 七面鳥를 먹게 된 理由 2017.11.28
  17. "Why do we eat turkey for Thanksgiving and Christmas?". Slate . 25 November 2009. Archived.......Cows were more useful alive than dead, and commercial beef wasn’t widely available until the late 19th century. Chicken was more highly regarded than it is today, but rooster meat was tough, and hens were valuable as long as they laid eggs. Venison would have been another option, especially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ough it would have required you to hunt for your Thanksgiving meal. There was plenty of ham or brined pork around, but it wasn’t considered fit for special occa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