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治道略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治道略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治道略論 》(治道略論)은 朝鮮 末期 김옥균 이 道路의 整備에 關聯된 모든 問題를 整理한 論說로 整備 計劃의 方向을 提示하고 內容을 記述한 1冊의 筆寫本으로, 治道略論(治道略論), 治道約飭(治道略則), 跋文으로 構成되어 있어 治道規則(治道規則)으로 알려져 있다. [1]

內容 [ 編輯 ]

《治道略論》은 奎章閣 韓國學硏究원에서 保管 中인 治道規則의 總 9章으로, 治道略論과 治道約飭은 各 4張씩이며 김옥균 이 쓴 것이고, 跋文은 1章으로 當時 主日淸國公使였던 中國人 餘西窓(黎庶昌, 1837~1896)李 쓴 것이다. 김옥균 은 이 冊에서 ‘나라를 富强시키려면 産業을 開發해야 하고, 産業을 開發하려면 治道를 먼저 해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治道略論》은 登錄文化財 第565號로 登錄되어 있듯이 當時의 道路 整備 認識과 朝鮮時代 道路 整備의 歷史를 보여주는 貴重한 資料이다. 金玉均이 壬午軍亂 後에 日本에 派遣된 修信使 朴泳孝(朴泳孝)를 遂行하였던 1882年(高宗 19) 11月에 執筆한 것으로, 總 3,050者의 漢文體로 되어 있다. 標題名은 ‘治道規則 治道規則’이며,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에서 木活字로 刊行하였다.

이 論說은 『漢城旬報(漢城旬報)』 第26號(1884年 尹5月 1日子)의 國內사보(國內私報)에 揭載되었을 뿐 아니라, 이보다 앞서 후쿠자와(福澤諭吉)가 東京(東京)에서 發行한 『示唆新譜(時事新報)』(1883年 1月 13日·15日)에 「金玉均의 相서(上書)」라는 題目으로 揭載된 바 있었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民族文化大百科》, 治道略論(治道略論), 韓國學中央硏究院

參考 資料 [ 編輯 ]

  • 「近代 네이션과 그 表象들」, 交通론-挫折된 構想들, 황호덕 저, 소명출판(2005年, 196~197p)
  • 「疾病의 社會史」, 近代 衛生醫療體制, 신규환 저, 살림(2006年, 59~67p)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開化派의 改革運動〉"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