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최은영 (小說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최은영 (小說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최은영
作家 情報
出生 1984年
京畿道 光明市
國籍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言語 韓國語
職業 小說家 , 隨筆家
學歷 高麗大學校 國語國文學科 卒業
登壇 2013年 〈쇼코의 微笑〉
活動期間 2013年 ~ 現在
主要 作品
《내게 無害한 사람》

최은영 (1984年~)은 大韓民國의 小說家이다. 1984年 京畿 光明에서 태어나 高麗大學校 國文科를 卒業했다. 2013年 中篇小說 《쇼코의 微笑》로 작가세계 新人賞을 받으며 登壇했다.

生涯  [ 編輯 ]

최은영은 1984年 京畿道 光明에서 태어났다. 최은영은 어려서부터 혼자 버스를 타고 다니며 생각을 많이 했다. 日記도 쓰고 小說 읽는 것도 좋아했다. 양귀자, 은희경 等 女性作家의 글을 읽고 글을 쓰고 싶다는 欲望을 가지게 되었고 高等學校 때 처음 小說을 썼다. 글을 쓰고 싶었지만 小說家가 될 수 없었다고 생각했다. 大學 때 校誌 編輯部에서 活動하며 自身보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을 많이 봐오며 그들에 비해 自身은 글을 못 쓴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글 쓰고 싶다는 欲望을 누르며 살았다. 그러다 20代 後半이 되어 글을 쓰고 싶다는 欲望이 다시 생겼다. [1]  漠然하게 글이 쓰고 싶어 高麗大學校 國文科에 進學해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그러다 小說에 빠져들어 小說을 쓰고 2年 동안 新春文藝公募展에 投稿 했지만 繼續 떨어졌다.출품하는 小說마다 심사평에 오르지 못하던 時節을 大學院에서 편혜영 , 강영숙 作家의 授業을 들으며 이겨냈다. 무엇보다 自身의 業이라는 確信으로 버텼다. 최은영은 《쇼코의 微笑》로 《작가세계》 新人賞에 當選되어 登壇했고, 第 5回 젊은 作家賞 , 第 8回 許筠文學作家賞 을 受賞했다. [2]

文學觀  [ 編輯 ]

최은영 作家는 短篇集 《쇼코의 微笑》에서 이렇게 말한다.
"自己 自身이라는 理由만으로 蔑視와 嫌惡의 對象이 되는 사람들쪽에서 世上을 바라보는 作家가 되고 싶다.그 길에서 나 또한 두려움 없이, 穩全한 나 自身이 되었으면 좋겠다."

受賞 [ 編輯 ]

  • 2013年 작가세계 新人賞
  • 2014年 第5回 文學동네 젊은작가상
  • 2016年 第8回 許筠文學作家賞
  • 2017年 第9回 構想文學賞 젊은작가상
  • 2017年 第24回 김준성文學賞
  • 2017年 第1回 李海朝小說文學賞
  • 2018年 第51回 한국일보文學賞
  • 2020年 第11回 文學동네 젊은작가상

作品  [ 編輯 ]

短篇集 [ 編輯 ]

  • 2016年 〈쇼코의 微笑〉 ( 文學동네 ) 쇼코의 微笑 / 씬짜오, 씬짜오 / 언니, 나의 작은, 순애 언니 / 韓紙와 榮州 / 먼 곳에서 온 노래 / 미카엘라 / 祕密

쇼코의 微笑  [ 編輯 ]

최은영의 첫 小說集 《쇼코의 微笑》는 2013年 겨울 《작가세계》 新人賞에 中篇小說 《쇼코의 微笑》가 當選되어 登壇되었고, 그 作品으로 다음해 文學동네 젊은작가상을 受賞하며 作品活動을 始作한 최은영이 써내려간 7篇의 作品을 收錄한 小說集이다. 사람의 마음이 흘러갈 수 있는 精密한 물매를 만들어냄으로써, 우리들을 바로 그 ‘사람의 자리’로 이끄는 作品들이라고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國籍과 言語를 가진 두 人物이 만나 成長의 門턱을 通過해가는 過程을 그려낸 標題作 《쇼코의 微笑》, 베트남戰爭으로 가까운 사람이 죽어나가는 것을 그저 바라봐야만 했던 응웬 아줌마와 '나'와 엄마의 이야기를 그린 《씬짜오, 씬짜오》, 프랑스의 한 修道院에서 케냐 出身의 靑年 韓紙와 만나게 된 영주의 이야기를 담은 《韓紙와 榮州》 等 맑고 透明한 그 목소리로 타박타박 淡淡하게 이어지는 小說들이 있다. 2016年 12月, 그해 나온 國內外 小說을 對象으로 小說家 50人이 뽑은 ‘올해의 小說’에 選定되는 等 文壇과 讀者 모두에게 뜨거운 支持를 받아온 『쇼코의 微笑』는 10萬 部 突破라는 驚異的인 記錄을 세웠다.

  • 2018年 〈내게 無害한 사람〉 ( 文學동네 ) 그 여름 / 601, 602 / 지나가는 밤 / 모래로 지은 집 / 告白 / 손길 / 아치디에서

내게 無害한 사람  [ 編輯 ]

『내게 無害한 사람』에 실린 일곱 篇의 作品은 再生 버튼을 누르는 瞬間 잊고 있던 어떤 風景을 우리 앞에 鮮明히 비추는, 한 時期에 우리를 支配했던 그런 노래 같은 小說들이다. 사랑에 빠지기 前의 삶이 가난하게 느껴질 程度로 相對에게 沒頭했지만 結局 自身의 欲心과 僞善으로 離別하게 된 지난 時節을 뼈아프게 되돌아보는 레즈비언 커플의 戀愛談을 그린, 2017 젊은작가상 受賞作 《그 여름》과 齷齪같이 싸우면서, 가끔은 서로를 理解하면서 어린 時節을 보낸 두 姊妹의 이야기를 그린 《지나가는 밤》 等의 作品이 담겨 있다.

共同 短篇集 [ 編輯 ]

  • 2018年 〈파인 다이닝〉 ( 銀杏나무 ) 選擇_최은영 / 매듭_황시운 / 僧鞋와 미오_윤이형 / 커피 다비드_이은선 / 배웅_김이환 / 病맛 파스타_노희준 / 에트르_서유미

파인 다이닝  [ 編輯 ]

“이 새벽, 잠에서 깨어 저는 當身을 생각합니다.
새벽의 부엌은 어둡고 조용합니다.
螢光燈을 켜고 저는 국을 끓일 準備를 합니다.”

<파인 다이닝>은 젊은 作家들의 視線으로 捕捉한 일곱 가지 飮食 속 이야기들이다.
일곱 篇의 코스를 여는 첫 作品 최은영의 〈選擇〉은 새벽녘 일어나 미역국을 끓이는 한 修女의 獨白으로 始作된다. 함께 修女로서의 꿈을 키워오다 非正規職 列車 乘務員으로 就職한 ‘언니’가 社側의 橫暴로 긴 싸움을 始作하게 되고, 그런 언니를 먼발치에서 지켜볼 수밖에 없는 ‘나’의 답답함과 안타까움이 미역국 한 그릇에 담긴다.

  • 2018年 〈縣男 오빠에게〉 ( 茶山冊房 ) 조남주 「縣男 오빠에게」 / 최은영 「當身의 平和」 / 金移設 「庚年(更年)」 / 최정화 「모든 것을 제자리에」 / 손보미 「이방인」 / 구병모 「下르피아이와 祝祭의 밤」 / 김성중 「火星의 아이」 / 跋文_이민경 「女性의 이야기에 오래 머무른다는 것은」

縣男 오빠에게  [ 編輯 ]

<縣男 오빠에게>는 女性의 삶을 正가운데 놓은 서로 다른 일곱 篇의 이야기이다.
다양한 文化 圈域으로 ‘페미니즘’ 이슈가 한창인 現在, 韓國 社會에서 글을 쓰는 女性으로 살아가는 3-40代 作家들이 國內 最初로 ‘페미니즘’이라는 테마 아래 發表한 小說集 『縣男 오빠에게』가 茶山冊房에서 出刊되었다. 性差別이 蔓延한 이 時代 名實共히 뜨거운 現場 報告書가 되어준 『82年生 김지영』의 조남주 作家, 그리고 現在 活潑하게 活動 中인 최은영, 金移設, 최정화, 손보미, 구병모, 김성중 等 女性 作家 7人이 함께했다.
“이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 나란한 方向으로 놓여 있기만 해도 마음을 놓기에 充分했다.”
-跋文 中에서-

“너는 속이 깊은 아이야.” 貞純은 말했다. 그女의 말은 一見 맞았다. 유진은 어린 時節부터 自己 自身의 마음속을 깊이 파내어 남들에게 말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묻어야 했으니까.내가 누구한테 말하겠니.누가 내 얘기를 들어주겠니.정순은 그렇게 말했다. 어린 時節에는 自己 存在에 對한 認定으로 느껴졌던 그 말이 時間이 지날수록 유진을 옥죄었다.

-「최은영, 「當身의 平和」」中에서-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 휴머니스트 ) 2017年 2月 ISBN   979-11608001-9-7
    • 우리가 그네를 타며 나누던 말 - 최은영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 編輯 ]

우리가 正말 살고 싶은 世上을 우리는 말할 수 있을까? 뭉뚱그리지 않고, 檢閱하지 않고, 눈치보지 않고, 正말로 살고 싶은 世上을 글로 쓸 수 있을까? 여기 美國의 페미니스트 57人과 韓國의 페미니스트 7人이 正말 살고 싶은 世上을 想像해서 펼쳐 보여준다. 結婚은 어떻게 달라지고, 트랜스젠더를 包容하는 憲法의 前文은 어떤 것이며, 女子 혼자 떠나는 旅行의 모습은 어떻게 될지, 10代 엄마의 日課는 어떻게 달라질지, 섹스에 關한 槪念은 어떤 것인지, 共同體는 暴力 事態에 어떻게 反應하는지 等을 하나하나 具體的으로 써내려간 글들의 모음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파인 다이닝>, 銀杏나무 2018
  • <縣男 오빠에게>, 茶山冊房 2018

各州 [ 編輯 ]

  1. (韓國語) “쉽게 부서지는 네게, 은영의 微笑를” . 한겨레21. 2018年 12月 21日.  
  2. “‘쇼코의 微笑’ 著者 최은영氏 제8회 許筠文學作家賞” . 《강원일보》. 2016年 9月 13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