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淸海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淸海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全羅南道 莞島 淸海鎭 遺跡
(莞島 淸海鎭 遺蹟)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私的
種目 私的 第308號
( 1984年 9月 1日 指定)
面積 482,884m 2
時代 新羅
住所 全羅南道 莞島郡 완도읍 장좌리 734番地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淸海鎭 (淸海鎭)은 後期新羅 흥덕왕 3年( 828年 ) 場보고 (張保皐)의 請에 따라 只今의 全羅南道 (全羅南道) 莞島郡 (莞島郡) 壯途에 設置하였던 陳(鎭)이다. 初期에는 海賊 을 防備하기 위한 軍事據點으로서 設置되었으며 以後 海上貿易의 主要 據點으로서 經濟的으로도 繁榮을 누렸다.

槪要 [ 編輯 ]

場보고 는 元來 新羅 의 海岸 地域 出身으로 일찍이 親舊 停年과 함께 黨으로 건너가 西周(徐州)의 巫鈴群衆所長(武寧軍中小將)을 지냈으며, 新羅 로 돌아와서는 黨의 海賊 들이 新羅 住民 을 잡아다 奴婢 (奴婢)로 팔고 있는 實相을 報告하면서 海賊 을 掃蕩하기 위한 軍事據點으로서 淸海鎭을 設置하도록 許諾해줄 것을 王에게 請했다. 은 이를 受諾하여 흥덕왕 3年(828年) 4月 張保皐를 淸海鎭大使(淸海鎭大使)로 임명하였다.

三國史記 (三國史記)》에는 張保皐가 세운 淸海鎭이 新羅 바닷길의 要衝地로 다른 이름은 조음도(助音島)이며, 《三國史記》가 編纂될 當時에 이미 只今의 이름과 같은 莞島(莞島)라 불리던 섬이라고 說明하고 있다. 莞島는 朝鮮 時代 (朝鮮時代)에는 全羅道 (全羅道) 海南縣 (海南縣)과 강진현 (康津縣)에 나누어 屬했다.

淸海鎭을 據點으로 張保皐는 1萬 名의 軍士를 거느리고 海岸에 出沒하던 海賊을 掃蕩하는 한便, 中國 · 日本 間의 海上貿易에도 介入해 富를 쌓았다. 이로써 淸海鎭은 海上貿易의 據點 港口로서 成長하여 바닷길의 要衝이 되었으며, 財力에 겸해 武力까지 갖추고 新羅 政界의 王位 다툼에도 介入해 武力으로 민애왕 을 죽이고 신무왕 을 擁立하기도 했다. 그러나 自身의 딸을 문성왕 의 車費(次妃)로 들이려던 試圖가 失敗로 돌아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張保皐는 朝廷에서 보낸 刺客 염장 에게 殺害되었고, 文聖王 13年( 851年 ) 淸海鎭은 廢止되고 그곳에 살던 住民들은 壁골군 으로 옮겼다.

《三國史記》 勸第32 잡지(雜志)제1 祭祀組에는 新羅에서 中士(中祀)로서 祭祀지내던 곳의 하나로서 淸海鎭이 言及되어 있다.

規模 · 位置 [ 編輯 ]

場보고 記念館에 展示된 淸海鎭 全體 復元 模型

韓國의 海洋史를 硏究한 東國大學校 윤명철 敎授는 古代 新羅와 黨을 오가는 航路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루트를 指摘하였는데,

  1. . 黃海中部 橫斷航路 - 산둥半島 의 燈住 · 赤山 및 密酒 等地에서 出發하여 150餘 km를 橫斷해 韓半島의 白翎島 · 德積島 等 景氣도 沿岸에 到着, 여기서 다시 南쪽으로 韓半島 西海岸을 따라 榮山江 하구권의 古耳島나 茂朱 같은 港口나 周邊 海域 等을 거치는 루트.
  2. . 黃海南部 師團航路 - 只今의 全羅南道 等地의 海岸에서 出發해 斜線으로 비껴서 航海하여 長杠 河口의 장쑤省 (江蘇省) · 저장省 (折江省) 항저우 및 밍藷芋( 닝보 )와 그 外郭의 저우산 群島 (舟山群島) 等의 中國 江南 地域 港口로 到達하는 루트(驛루트度 可能하다).
  3. . 東中國海 師團航路 - 절강 以南 地域을 出發하여 只今의 東中國海 濟州道 海域, 黑山島 , 黃海 南部를 거쳐 新羅로 到達하는 루트.

等이 있다. [1] 이들 航路에서 中國側 船着地人 산둥半島의 燈住 · 密酒, 揚子江 河口의 쑤저우 양저우 , 항저우와 밍藷芋 等地에는 黨에 滯留하는 新羅人들이 모여사는 新羅坊 (一種의 「新羅人 自治州」)李 存在했으며, 當時의 航海 技術의 限界 때문에서라도 可能한 陸地와 멀리 떨어지지 않은 沿近海 航路를 利用해야 했던 實情上 黨 - 新羅뿐 아니라 黨 - 日本 의 航路 또한 韓半島 南部 海岸을 通過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2] 이 過程에서 西海에서 南海로 돌아가는 地點에 淸海鎭이 있었다.

淸海鎭이 位置한 莞島 一帶는 南北 沿近海航路가 通過하는 곳으로 韓半島에서는 南海와 西海가 만나는 地點이자, 中國 江南 地域에서 韓半島로 北上하는 航路가 만나는 곳이기도 했다. 韓半島 西南海의 리아스式 海岸 과 密接한 섬임에도 不拘하고 潮水干滿의 差가 甚하지 않은 데다 一旦 섬 內部로 들어오면 波濤도 일지 않고, 埠頭에 가까운 곳에 山이 이어져 있어 防禦據點으로서도 유리했으며, 康津, 海南 等의 背後都市가 存在했다.

遺跡地 [ 編輯 ]

莞島 淸海鎭 遺跡(莞島 淸海鎭 遺蹟) 全羅南道 莞島郡 완도읍 장좌리 734 張도(將島)에 있는 統一新羅時代 의 軍陣(軍鎭) 遺跡이다. 1984年 9月 1日 史跡 第308號에 指定된 '莞島 淸海鎭 遺跡(莞島 淸海鎭 遺蹟)'은 莞島에서 木橋(木橋)로 이어진 壯途라는 섬이다. 莞島에서 壯途까지의 距離는 約 180m쯤 되고 하루 2次例씩 썰물 때는 바닥이 드러나 걸어갈 수도 있다. 9世紀 統一新羅時代 의 武裝 場보고 將軍은 이곳에 淸海鎭을 設置하고 海賊을 掃蕩하여 삼해(三海)의 海上權을 掌握한 海上交易로의 本據地로서 重要한 歷史的 遺跡이다.

莞島 淸海鎭 遺跡地는 發見戰까지 隣近 地域 住民들이 밭으로 使用하는 等 오랜 歲月 땅 밑에 묻혀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 1959年 颱風 사라 以後에 드러난 木柵(원목열)으로 인해 비로소 世上에 알려지게 되었다. 以後 1991年에서 1996年에 걸쳐 國立文化財硏究所 의 徹底한 發掘調査를 통해 只今과 같은 모습으로 復元되었다.

遺跡 및 遺物 [ 編輯 ]

  • 木柵(원목열) : 섬 入口 防禦用 木柵으로 推定되는 原木렬은 總 길이 331m로 大部分 참나무 기둥을 使用하였다. 이 原木렬 試料를 放射性炭素年代측정法 에 依해 分析한 結果, 9世紀 中盤頃으로 確認되었다. 이로써 張保皐 將軍이 活動한 9世紀頃에 築城·使用된것이 科學的인 根據에 依해 밝혀지게 되었다. [3]
  • 淸海鎭 性(城) : 總 길이 890m로 築城方法이 1段 또는 2段의 돌을 幅 5-6m 間隔을 두고 平行으로 配列한 뒤, 그 안쪽을 周邊의 흙으로 겹겹히 다져 단단하게 쌓아 올린 板築(版築)技法이 使用되었다. [3]
  • 법화사터 : 장좌리 뒤쪽 상황봉 기슭에 張保皐가 山東省 敵産에 세웠던 法華院을 본떠서 세웠다고 傳하지는 법화사터가 있다.
  • ' ㄷ'字形 板築遺構(版築遺構)와 우물 : 'ㄷ'字形 板築遺構는 海岸 構造物로서 國內는 勿論 中國 이나 日本 에서도 그 類例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ㄷ'字形 板築遺構는 우물을 保護하고 外城門을 補完하는 機能을 하고 있다. 우물은 殘存 깊이 5.8m이며, 이곳에서는 주름무늬甁과 鐵製便 等 多樣한 遺物 이 出土되었다. [4]
  • 外城門 : 誠意 內外를 連結하는 通路로서 有事時 敵의 攻擊을 沮止하고 敵을 逆襲하거나 擊退하는 通路이다. [4]
  • 耐性門 : 誠意 內部에 있는 두番째 出入門으로 防禦의 機能을 하고 있다. [4]
  • 古代(高臺) : 東西로 이어지는 淸海鎭 南쪽 城壁의 높은 中間地點에 位置하고 있으며 外國에서 內陸으로 통하는 길목으로 沿岸의 商船 海賊 을 監視하기 유리한 곳이다. [4]

關聯 寫眞 [ 編輯 ]

各州 [ 編輯 ]

  1. 다만 黃海中部 橫斷航路는 1. 다시 競技만에서 出發해 山東半島의 東端 或은 北端에 到着하는 直線距離 約 250km의 航路와 2. 京畿만 下段의 南陽灣이나 錦江 河口에서 直接 黃海를 가로질러 덩藷芋나 청두의 여러 港口에 到着하는, 두 가지 航路로 細分化할 수 있다.
  2. 이러한 新羅 海岸을 經由하는 沿岸航海를 통해 黨으로 갔던 初期 遣唐使들과는 달리 後記 遣唐使들은 新羅를 經由하지 않고, 규슈 南部에서 오키나와 를 지나 黨의 南部 海域으로 進入하는 남도로(南島路)와 규슈 北西部에서 아예 東中國海를 直航하는 南路(南路)의 두 航路를 使用했으나 危險負擔이 너무 컸으며, 實際로 南路를 擇했던 遣唐使 가운데 살아 돌아온 사람은 13次 遣唐使 때 單 한 番에 不過했다. 때문에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쓴 엔닌이 黨에서 日本으로 歸國하는 過程에서는 新羅坊이 있던 初鑄에서 新羅船과 新羅 수부(水夫)를 빌려, 韓半島 南部를 經由하는 黃海南部師團航路를 따라 日本으로 歸國하였다.
  3. 韓國民族文化大百科 莞島 淸海鎭遺跡 參考
  4. 現地 案內板 參照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