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잉글랜드 內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잉글랜드 內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淸敎徒 革命 에서 넘어옴)

잉글랜드 內戰
三王國 戰爭 의 一部
날짜 1642年 8月 22日 ~ 1651年 9月 3日
場所
結果 議會派의 勝利
찰스 1歲 處刑
올리버 크롬웰 獨裁治下 잉글랜드 聯邦 建國
交戰國
指揮官
찰스 1歲
찰스 2歲
올리버 크롬웰

잉글랜드 內戰 ( 英語 : English Civil War , 1642年 ~ 1651年 )은 잉글랜드 王國 王黨派 議會派 間에 있었던 內戰 이다. 1642 年에서 1646年 까지 있었던 첫 番째 內戰과 1648年 에서 1649年까지 있었던 두 番째 內戰은 찰스 1歲 의 支持者들과 議會派 間의 內戰이었고, 1649年 에서 1651年까지 있었던 세 番째 內戰은 찰스 2歲 의 王黨派와 議會派 間의 內戰이었다. 1651年 9月 3日 우스터 戰鬪 로 內戰은 議會派의 勝利로 끝났다.

內戰의 結果 찰스 1歲 는 處刑되었고 찰스 2歲 는 追放되었으며, 議會派는 잉글랜드 聯邦 (1649年 ~ 1653年 )을 構成하여 1653年에 올리버 크롬웰 호국경 으로 選出하였다. 잉글랜드 內戰은 英國 政治에서 議會가 君主에 對抗하는 첫 番째 事例가 되었고, 以後 1688年 에 일어난 名譽 革命 에 影響을 주었다.

用語 [ 編輯 ]

잉글랜드 內戰은 王黨派에 對抗하여 일어난 여러 戰爭 中 잉글랜드 內部의 事件만을 다루는 用語이다. 스코틀랜드 王國 , 아일랜드 王國 과 같은 다른 王國에서 일어난 戰爭들까지 包括하여 다룰 때에는 세 王國 戰爭 이라 부른다.

한便, 잉글랜드 內戰의 結果 樹立된 잉글랜드 聯邦 (잉글랜드 共和國)을 連續的으로 다룰 때는 흔히 淸敎徒 革命 , 잉글랜드 革命 等으로 부르기도 한다.

背景 [ 編輯 ]

君主와 議會의 對立 [ 編輯 ]

찰스 1歲

엘리자베스 1歲 ( 1533年 9月 3日 - 1603年 3月 24日 )는 平生 獨身으로 지냈으며, 自身의 後繼者로 스코틀랜드 國王 제임스 6歲 ( 1566年 6月 19日 ~ 1625年 3月 27日 )를 指目하는 遺言을 남겼다. 이에 따라 그는 제임스 1歲 로서 잉글랜드 國王으로 卽位하였다. 제임스 1世는 王權神授說 을 信奉하였으며 더욱이 잉글랜드의 政治的 事情에 對해 어두웠다. [1]

國王은 神에게만 責任이 있고 臣下에게는 책임지지 않으며, 法의 支配를 받지 않는다. 國王은 곧 法이다. [2]
 
— 제임스 1歲, 〈自由君主制의 眞正한 法〉

제임스 1世의 이러한 主張은 議會와 衝突을 일으켰다. 結局 제임스 1世는 自身에 反對하는 議員 7名을 逮捕하고 議會를 解散시켰다. 제임스 1歲의 뒤를 이어 王位에 오른 찰스 1歲 ( 1600年 11月 19日 ~ 1649年 1月 30日 ) 亦是 王權神授說을 主張하였다. 그러나, 스페인 과 戰爭을 宣布하게 되어 그렇지 않아도 劣惡한 財政이 큰 危機를 맞게 되자 稅金의 賦課를 위해 議會를 召集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새롭게 召集된 議會 亦是 國王과 繼續的인 葛藤을 벌였으나 1628年 3月 찰스 1歲가 權利請願 에 署名하자 稅金 賦課에 同意하였다. [1]

權利請願 [ 編輯 ]

權利請願은 1628年 召集된 잉글랜드 議會가 國王에게 要求한 請願書이다. 權利請願은 1215年 大憲章 에서 國王과 議會間에 合意된 事項들을 再確認 하면서 君主의 權利를 制限하는 具體的인 目錄들을 作成한 것이다. 權利請願 의 主要 內容은 다음과 같다. [3]

  • 國王은 議會의 同意없이 稅金을 徵收할 수 없다.
  • 個人 집에 兵士를 宿泊시킬 수 없다.
  • 平和時에 戒嚴令을 宣布할 수 없다.
  • 合法的인 判決을 거치지 않고는 어느 누구도 逮捕, 拘禁, 財産權 剝奪 및 其他 損害를 입을 수 없다.

主敎 戰爭 [ 編輯 ]

찰스 1歲 는 새로운 稅金을 徵收하자 權利請願이 無效임을 主張하면서 다시 議會를 解散하였다. 以後 11年間 찰스 1歲 는 議會 없이 權力을 휘둘렀다. 한便, 1639年 찰스 1歲 長老敎 가 國敎인 스코틀랜드 에 對해 잉글랜드 의 國敎인 聖公會 感謝聖餐禮 前例를 强要하자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戰爭을 벌이게 되었다. 흔히 主敎 戰爭 으로 불리는 이 戰爭의 費用 調達을 위해 찰스 1世는 議會를 召集하였다. 그러나, 召集된 議會는 國民의 不滿을 먼저 處理할 것을 主張하였다. 이에 憤怒한 찰스 1世는 議會를 解散하고 獨自的으로 戰爭을 치르게 되었고, 結局 스코틀랜드 에 敗北하여 巨額의 戰爭賠償金을 負擔하게 되었다. [4]

찰스 1歲의 議會 再召集 [ 編輯 ]

1640年 再召集된 잉글랜드 議會

찰스 1世는 巨額의 賠償金을 堪當하기 위해 다시 議會를 召集할 수밖에 없었다. 다시 召集된 議會는 國王의 實情을 批判하면서 스코틀랜드와의 戰爭에서 國王의 便에 섰던 貴族들을 處刑하였다. 찰스 1世는 議會의 要求에 따라 3年마다 한 番씩 定期的으로 議會를 開催하는 法案과 議員의 同意 없이 議會를 解散 할 수 없도록 하는 法案에 贊成해야 했으며, 國王의 任意로 徵收되는 船舶歲 等이 違法하다는 것을 認定하여야만 했다. [4]

內亂으로 [ 編輯 ]

한便, 議會는 한 때 自身들의 同志였으나 스코틀랜드와의 戰爭을 契機로 王黨派로 돌아서 아일랜드의 總督이 된 스트라포드 伯爵 의 處刑을 찰스 1世에게 强要하였다. 結局 處刑臺 앞에 서게 된 스트라포드 伯爵은 이렇게 絶叫 하였다. [5]

王后(王侯)도 사람도 믿지 말라! 그들에게는 아무 救援도 없다. [5]
 
— 스트라포드

議會는 繼續하여 찰스 1歲를 壓迫하였고 及其也 프랑스 出身의 王妃 헨리에타 마리아 아일랜드 로마 가톨릭 敎會 信者들의 叛亂과 聯關이 있다고 主張하며 彈劾을 要求하였다. [4] 더욱이 1641年 議會가 찰스 1歲의 實情을 糾彈한 臺諫州를 採擇하자 찰스 1世는 王權에 威脅을 느끼게 되었다. 그는 近衛兵 400名을 거느리고 議會에 進入하여 自身을 批判한 議員들을 逮捕하고자 하였으나 그들은 이미 逃走한 뒤였다. 이로써 議會와 國王間의 衝突은 不可避한 것이 되었다. [5]

예수회의 陰謀 [ 編輯 ]

예수회 는 改新敎會를 包容하고 가톨릭 抑壓政策을 폈던 엘리자베스 女王을 除去하려다 1585年 英國에서 추방당하기도 하였는데 以後로도 繼續 英國을 가톨릭 國家로 만들기 爲해 王黨派와 손잡고 많은 內亂과 叛亂을 企圖했다. 《敎皇 年代記》의 著者 존 줄리어스 노리치는 프랑스 國王 앙리 3歲 , 앙리 4歲 엘리자베스 1歲 女王과 제임스 1歲 의 暗殺企圖의 뒤에는 예수회가 있었다고 主張했다. 아울러 잉글랜드 內戰을 正確하게 예수회의 陰謀가 빚어낸 結實이라고 규정지었다. [6]

經過 [ 編輯 ]

議會派를 支持한 圓頭黨원의 모습

1次 內戰 [ 編輯 ]

잉글랜드 內戰 狀況(1642年 - 1645年)
赤色 - 王黨派, 綠色 - 議會派
2次 內戰 中 던바에서 철기군을 이끄는 크롬웰

1642年 찰스 1世는 外國 傭兵들로 構成된 軍隊로 優勢한 狀況에서 內戰을 始作하였다. 그러나 1645年 議會派의 主力이었던 올리버 크롬웰 이 이끄는 철기군이 1646年 6月 옥스퍼드를 陷落시키자 傳貰는 議會派로 기울었다. 1647年 敗北한 찰스 1世는 故鄕인 스코틀랜드로 避身하였으나 스코틀랜드는 40萬 파운드를 받고 그를 議會派에 넘겨주었다. [7] 捕虜가 된 찰스 1世는 와이트 섬 에 流配되었다. [8]

2次 內戰 [ 編輯 ]

찰스 1世가 처형당하자 찰스 2歲 ( 1630年 5月 29日 ~ 1685年 2月 6日 )는 프랑스 로 亡命하여 루이 14歲 에게 依託하였다. 잉글랜드 內의 王黨派들은 찰스 2歲의 復權을 위하여 議會派와 內戰을 繼續하였으나 1651年 9月 3日 우스터 戰鬪 에서 議會派에게 擊破되었다. [9]

淸敎徒 [ 編輯 ]

淸敎徒 改新敎 內에서 宗敎改革 의 純粹한 思想인 傳統 福音主義 를 따르던 브리튼섬 改新敎 信者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淸敎徒를 가리키는 英語 낱말 '퓨리턴'(Puritan)은 純粹主義者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이는 잉글랜드成功會議 聖職者 들이 로마式 禮服 使用, 職級이 아닌 階級主義를 바탕한 主敎 제 等은 그들이 생각했을 때 異質化한 로마 가톨릭 敎會 敵人 傳統 이라고 생각하여, 이 傳統 을 受容한 잉글랜드聖公會 의 傳統들에 反對했기 때문이다. 宗敎改革 의 純粹한 '傳統 福音主義者'였던 이들은 聖書 主義者였고, 人爲的인 傳統에 反對하고, 그들이 그리스도의 律法이라고 尊重하는 聖書 基督敎 信仰의 唯一한 源泉으로 理解하였다. 유럽 의 다른 地域에서와 같이 브리튼섬 에서도 傳統 福音主義 中 特히 칼뱅주의 젠트리 라 불린 貴族이 支柱가 된 新興 中産階級과 都市 商工人에게 州로 擴散되었는데 그 理由는 請負론 卽 富의 蓄積을 認定하는 敎義때문이었다. 이들은 議會派의 重要 構成員이었다. 淸敎徒는 長老派, 水平派 [10] , 獨立派 等의 敎派가 있었으며, 1次 잉글랜드 內戰以後 王의 處分을 놓고 葛藤하였다. 2次 內戰 以後 獨立派였던 크롬웰은 水平派 와 聯合하여 王의 處分에 寬大하였던 長老派를 議會에서 몰아내고 찰스 1世를 處刑하였다. [11]

結果 [ 編輯 ]

찰스 1世의 處刑과 잉글랜드 聯邦의 成立 [ 編輯 ]

1649年 1月 30日 잉글랜드 議會는 찰스 1歲를 大逆罪로 處刑하였다. 國王을 處刑한 議會는 共和政 을 宣布하고 잉글랜드 聯邦 (또는 잉글랜드 共和國 )을 樹立하였으며, 호국경 으로 올리버 크롬웰을 選出하였다. [8]

호국경 올리버 크롬웰의 政治 [ 編輯 ]

1649年 에 始作된 잉글랜드 聯邦 의 政治는 順坦치 않았다. 1651年 에 議會派가 王黨派에 勝利한 以後, 議會派는 和平派와 獨立派로 分裂되었다. 以後 獨立派의 支持를 받은 올리버 크롬웰 1653年 호국경 에 올랐는데, 크롬웰은 갈수록 議會와 摩擦을 빚게 되었고 같은 해에 議會를 解散하기에 이르렀다. 1658年 에 크롬웰이 死亡하자 結局 共和政은 崩壞되었다. [12] 이러한 獨裁 政治로 인해 크롬웰은 잉글랜드 歷史에서 '軍事 獨裁者'라는 汚名으로 記錄되게 되었다.

王政 復古 [ 編輯 ]

잉글랜드 聯邦 은 호국경 올리버 크롬웰 의 死亡과 함께 崩壞되었다. 政派들은 相對에게 絶對的인 權力을 주지 않기 위해 結局 王政 復古를 擇했다. 프랑스 亡命 해 있던 찰스 2歲 1660年 5月 29日 런던 에 入城하여 잉글랜드 의 君主가 되었다. 찰스 2世는 卽位 後 自身의 아버지 찰스 1歲 處刑에 署名한 判事 들 中 살아있던 13名을 處刑하고, 올리버 크롬웰의 무덤 을 파 斬首하는 剖棺斬屍를 施行하는 等 報復 政治를 實施하였다. [1]

찰스 2世는 華麗한 宮廷 生活을 누리며 奢侈하였으나, 政治的으로는 無能하였다. 特히 1665年 부터 1667年 까지 일어난 네덜란드 와의 戰爭에서 敗北함으로써 財政은 破綻 狀態에 이르렀다. 찰스 2世는 이러한 實情으로 人氣가 떨어지자 立地를 强化하기 위해 프랑스와 同盟을 맺고 로마 가톨릭 에 慣用的인 政策을 推進하였다. 그의 이러한 政策은 結果的으로 宗敎 改革 의 傳統을 갖고 있는 잉글랜드 에서의 그의 立地를 더욱 좁게 하는 것이었으며, 後代 王인 제임스 2歲 에 이르러 名譽革命 을 觸發시키는 原因이 되었다. [1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박은봉 (2006). 〈47張 처형당한 王-英國, 淸敎徒 革命 勃發(1642年)〉. 《世界史 100場面》. 실천문학사.  
  2. 박은봉(2006), 《世界史 100場面》에서 再引用
  3. 腸라이용, 황선영 驛, 거침없이 빠져드는 歷史 이야기(法學 便), 시그마북스, 2007, 202 - 203 쪽
  4. 김현수, 이야기 寧國寺, 청아출판사, 2008, 264 - 266쪽
  5. 구학서, 이야기 世界史 2:르네상스로부터 第2次 世界大戰까지, 청아출판사, 2006, 93
  6.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바다출판사, P679)
  7. 김영기 便, 歷史 속으로 떠나는 背囊旅行, 北코리아, 2006, 429 - 430 쪽
  8. 존 그리番, 강윤재 外 驛, 科學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들녘, 2006, 178
  9. 존 밀턴 (2007). 〈附錄:존 밀턴이 살던 時代의 英國〉. 김흥숙 驛. 《失樂園》. (西海클래식 7), 서해문집.  
  10. 안효상. 《常識밖의 世界史》. 새길. 水平派는 淸敎徒 革命그룹에서 가장 民主的인 그룹을 말한다. 이들은 財産이 있는 사람들만 政治 에 參與하던 當時 잉글랜드 의 政治制度에 反對하고, 民衆 들의 政治參與를 主張하였으므로 民主主義 의 先驅者라고 불린다. 또한 이들은 잉글랜드 아일랜드 에 對한 侵略에 反對하여 軍事行動을 拒否하는 良心的 兵役拒否 를 하였다.  
  11. 김희보, 주머니속의 世界史, 嘉藍企劃, 2006, 111쪽
  12. 李恩宰, 한卷으로 읽는 英國·獨逸史, 지경사, 2007, 97 - 100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