鐵道驛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울驛
龍山驛

鐵道驛 (鐵道驛), 또는 鄭次長 , 停車場 (停車場)은 列車 가 停車하는 場所이다. 鐵道 線路 周邊에 乘降場 等 若干의 施設物을 設置하여 만든다.

構造上의 分類 [ 編輯 ]

鐵道驛의 設置 位置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區分한다.

地上驛, 高架驛 [ 編輯 ]

高可逆의 예( 上溪驛 歷史)

地上驛은 驛이 地上에 立地하여 있는 境遇를 의미하며, 가장 一般的인 役의 形態이다. 高架役이 아닌 地上驛의 例로는 都市 鐵道 에서 長巖役 等이 있다. 高可逆은 地上에 直接 驛이 있는 것이 아니라 高價 線路로 役이 構成된 境遇를 말하며, 都市 鐵道 에서 흔하다. 高可逆은 地上驛과의 嚴密한 分類上의 種類이며, 嚴密히 區分하지 않는다면 高家役도 地上驛이다.

地下驛 [ 編輯 ]

地下驛의 예( 往十里驛 乘降場)

都市 鐵道 처럼 地下 線路에 設置된 役을 地下驛이라고 한다. 亦是 電鐵驛에 흔하며, 光明驛 도 周邊 地形보다 아래에 線路가 있으므로 地下驛이다.

半地下驛 [ 編輯 ]

地上과 地下의 境界面( 지면 )에 驛이 있는 境遇이며 서울 地下鐵 2號線 한양대役 , 釜山 地下鐵 1號線 老圃驛 李 代表的이다.

線上驛 [ 編輯 ]

線上役의 예( 寒帶앞驛 歷史)

地上驛이나 高可逆의 境遇, 役의 본 建物이 線路 위에 立地한 境遇 線上驛이라고 한다. 大韓民國 에서는 線路 위에 歷史가 있다 하여 線上驛 (線上驛)이라는 名稱을 흔히 쓰지만 [1] , 日本 에서는 교상驛 ( 日本語 : 橋上驛 쿄오조오에키 [ * ] )이라는 名稱을 쓴다. 서울驛 東大邱驛 李 代表的이다.

先荷役 [ 編輯 ]

線上驛과 反對로, 驛의 建物이 線路보다 아래에 立地한 境遇를 善하驛이라고 한다. 曙光主役 , 서천역 , 麗川役 , 反省驛 이 그 例다.

業務 內容에 따른 分類 [ 編輯 ]

鐵道驛에서는 크게 運轉 取扱, 旅客 取扱, 貨物 取扱, 기타 車輛의 取扱 等의 業務를 遂行하며, 業務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區分된다.

步通譯 [ 編輯 ]

步通譯 은 運轉 取扱( 입환 , 分期 및 合流, 待避 等), 旅客 取扱, 貨物 및 小貨物 取扱 等 鐵道驛에서 遂行하는 모든 業務를 遂行하는 役을 의미하며, 이런 業務의 責任者로서 驛長이 配置된다. 協議로 定義할 境遇 세 業務가 모두 이루어지는 役을 말한다.

旅客驛 [ 編輯 ]

旅客驛은 貨物 및 小貨物 取扱이 없는 役을 의미한다. 最近에는 貨物 取扱의 比重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運轉 取扱과 旅客 取扱을 모두 遂行하는 役을 普通逆으로 보기도 한다.

旅客驛 中에서 運轉 取扱이 없는 驛의 境遇, 그 利用客 規模와 關係없이 簡易驛 으로 定義하나, 京元線 道峯山役 처럼 簡易驛 이면서 運轉 取扱을 하는 驛도 間或 있다. 또한, 旅客驛 中 特히 都市 鐵道 廣域 鐵道 를 專擔하여 處理하도록 施設이 具備된 곳을 電鐵驛 으로 區分한다.

貨物驛 [ 編輯 ]

特히 旅客 取扱이 없이, 貨物만을 專擔하여 處理하는 役을 의미한다. 貨物 取扱을 위해서는 運轉이 必須不可缺하기 때문에 거의 大部分이 步通譯의 位相을 가진다.

大韓民國에는 부산진역 , 釜山新港驛 , 도담驛 , 도안驛 , 小異域 , 옥계驛 , 안인譯 , 흑석리驛 , 황등驛 , 河南驛 , 회덕驛 , 입석리驛 , 東山驛 , 桐益山驛 , 街賤役 , 晴天驛 , 梅浦驛 , 老齡役 , 五峯驛 , 興國寺驛 , 適量驛 , 태금驛 , 怪童驛 , 온산역 等이 있다.

操車場 및 車輛基地 [ 編輯 ]

旅客과 貨物 取扱이 없이, 運轉 取扱, 그 中에서도 입圜을 위해 特別히 마련된 곳을 의미한다.

個中 電動車와 같이, 運行 前 別途의 列車 造成作業 없이 運行하는 固定 編成 列車를 誘致, 點檢하는 곳을 따로 車輛基地 로 呼稱한다.

大韓民國에는 大戰操車場驛 , 堤川操車場驛 이 있다.

信號場 및 信號所 [ 編輯 ]

運轉 取扱의 一部, 卽 郊行과 待避만을 遂行할 境遇 信號場, 分期와 合流만을 取扱할 境遇 信號所라고 부른다. 最近, 鐵道의 CTC火爐 인하여 別途로 信號所를 編制하는 境遇는 없으며, 이 境遇 線路 床에서 分期와 合流가 일어나는 곳을 途中分期 或은 分岐點으로 稱한다.

驛長 地位에 따른 分類 [ 編輯 ]

驛의 等級이라고도 한다. 驛長 의 職制上의 職級에 따라 區分한다.

過去 鐵道廳 時節에는 驛長의 公務員 職級에 따라, 3級役부터 6級逆으로 區分한다. 이러한 等級은 役의 規模(特히 指揮總括의 範圍)와 機能에 따라서 附與가 되며, 또한 儀典上의 必要에 따라서 附與되기도 하였다.

管理役 [ 編輯 ]

過去 3級(副理事官), 4級(書記官) 驛에 該當하며, 現在 1級驛, 2級驛에 相當한다. 韓國鐵道公社 出帆 以後에는 '그룹代表逆'으로 稱해졌으나, 最近에 다시 管理役으로 呼稱이 變更되었다.

管理役은 傘下의 各 普通役을 管轄하는 逆으로, 大槪 該當 地域에서 運轉 取扱上의 據點이거나, 旅客이나 貨物의 取扱量이 큰 驛인 境遇가 많다.

步通譯 [ 編輯 ]

過去 5級(事務官) 및 6級(注射) 驛에 該當하며, 現在의 3級驛에 相當한다. 運轉 取扱 業務가 附加되어 있으며, 大槪 旅客과 貨物 取扱이 存在하며, 驛務員과 驛長이 配置되는 役을 의미한다. 步通譯은 隣近의 無人驛(무配置簡易驛)을 管理한다.

簡易驛 [ 編輯 ]

過去 6級 驛에 該當하며, 現在 3級 驛에 相當한다. 運轉 取扱이 없으나, 驛務員이 配置될 만큼 旅客이 發生하는 役을 의미한다.

無人驛 [ 編輯 ]

驛務員이 없는 逆으로, 따라서 驛長度 없다. 臨時乘降場 簡易驛 中 무配置簡易驛이 여기에 該當한다. 種種 步通譯이나 配置簡易驛이 衰退하여 驛務員 및 驛長이 撤收, 無人驛이 되기도 한다.

救助 [ 編輯 ]

鐵道驛은 基本的으로 役의 본 建物을 基本으로, 線路施設物, 旅客 및 貨物의 取扱設備, 其他 便宜施設로 이루어진다.

본 建物 [ 編輯 ]

鐵道驛이 遂行하는 各 業務를 위하여 만들어지는 建物이며, 特히 驛長 以下 各 職員이 勤務하는 施設物이다. 驛의 各 施設을 稱할 境遇 驛의 본 建物을 基準으로 名稱을 定한다(승강장 番號, 線路 番號 等). [2]

線路 施設物 [ 編輯 ]

驛에는 다양한 線路 施設物들이 있으며, 各各 所定의 機能을 가지고 있다. 基本的으로는 驛의 본 建物을 基準으로 하여 順番으로 名稱을 붙이나, 必要에 따라서 機能을 基準하여 이름을 붙이거나 이 둘을 混用하여 붙이기도 한다.

  • 本選
    • 不本選 : 列車의 發着 時, 本選에 部對하여 使用하는 線路. 列車의 郊行이나 追越 時 待避線으로 쓰거나, 交互 發着視 本選의 附隨用途로 使用한다.
    • 待避線  : 不本選 中 特히 列車의 待避에 使用하는 線路.
  • 側線
    • 貨物側線 : 貨物의 取扱, 車輛 입환 또는 誘致에 使用하는 線路.
    • 입紈扇(또는 分類選) : 車輛의 입환, 分類에 使用하는 線路.
    • 安全側線  : 單線 或은 合流役의 境遇 車輛의 果州(오버런)으로 2次 事故가 發生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設置한 짧은 線路.
      • 避難線 : 긴 下勾配에서 車輛이 굴러내릴 境遇 役을 突破해 나가지 않고 停止할 수 있도록 設置한 線路.
    • 機會選(또는 基周旋) : 列車의 着發, 車輛의 입圜에 支障이 되지 않도록 機關車 가 各 側線이나 本選을 避하여 運行할 수 있도록 設置된 線路.

旅客 및 貨物 取扱設備 [ 編輯 ]

  • 乘降場
  • 적下章 : 貨物의 積荷를 위해 設置된 場所. 貨物의 種類에 따라 取扱에 必要한 各種 設備가 追加로 設置된다.
    • 크레인
    • 펌프 : 液狀 貨物의 取扱에 使用한다.
    • 下炭場 : 無蓋貨車 等에 積載된 石炭을 쏟아내리는 設備.
    • 컨베이어 벨트
    • 지게車
    • 로더

便宜施設 [ 編輯 ]

  • 構內건널목
  • 階段 및 跨線橋, 地下通路
  • 엘리베이터
  • 에스컬레이터
  • 驛 構內 商業施設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金泉~密陽 大邱圈 廣域鐵道網 129km 建設 서울新聞 , 2009年 2月 10日 (一部 內容)
  2. 線上驛이나 先荷役의 境遇 州 出入口 方面을 基準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