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명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천명제
天命帝
後金 한
在位 1616年 2月 17日 ~ 1626年 9月 30日
卽位式 千名 (天命) 元年 1月 1日
( 1616年 2月 17日 )
前任 (初代)
後任 崇德第
攝政 동오 好호리 (1616~1617)
구왈갸 피옹돈 (1617~1618)
建州女眞 酋長
在位 1583年 ~ 1616年
前任
이름
누르하치( 滿洲語 : ??????? Nurhaci )
韓國 漢字 : 努爾哈赤
韓國 漢字 : 弩兒哈奇
韓國 漢字 : 弩爾哈齊
韓國 漢字 : 奴兒哈赤
누르價値( 滿洲語 : ??????? Nurgaci )
韓國 漢字 : 老乙可赤
韓國 漢字 : 老乙加赤
韓國 漢字 : 老可赤
韓國 漢字 : 奴可赤
別號 老醜(奴酋)
滿洲(滿住)
廟號 太祖(太祖, 滿洲語 : ?????? Taidzu )
시호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 무皇帝
(太祖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武皇帝)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예무홍문정업 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弘文定業高皇帝)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예무단의홍문정업 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弘文定業高皇帝)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 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年號 千名 (天命, 滿洲語 : ?????
???????
Abka-i Fulingga
)
칸號 癌바 겅옌 한(大英明汗, 滿洲語 : ????
????????
???
Amba Genggiyen Han )
수러 겅옌 한(聰英明汗, 滿洲語 : ????
????????
???
Sure Genggiyen Han )
壓카이 푸링가 아이신 舊룬 한(天命金?汗, 滿洲語 : ?????
???????
?????
?????
???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
身上情報
出生日 家庭 (嘉靖) 35年 4月 8日
( 1559年 5月 14日 )
出生地 建州女眞 熟水後部
死亡日 千名 (天命) 11年 8月 11日
( 1626年 9月 30日 )
死亡地 後金 묵던
王朝 後金
家門 아이신 絞로 할아
父親 아이신 絞로 탁시
母親 히타라 어머치
配偶者
子女 本文 參照
其他 親姻戚 아이신 絞로 슈르價値
아이신 絞로 야르價値
아이신 絞로 무르價値
아이신 絞로 바야라
宗敎 샤머니즘

천명제 (天命帝, 1559年 5月 14日 ( 陰曆 4月 8日 ) ~ 1626年 9月 30日 ( 陰曆 8月 11日 ))는 淸나라 의 前身인 後金 의 招待 칸으로, 淸나라의 實質的인 創業 君主로 看做된다.

建州女眞 出身으로 餘震 種族들間의 霸權鬪爭에서 勝利하여 1616年 自身을 으로 宣布하고 以後 後金 을 建國했다. 휘는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 滿洲語 : ??????
??????
???????
Aisin Gioro Nurgaci ) [1] , 廟號는 太祖(太祖, 滿洲語 : ????? Taidzu )이고, 年號는 千名 (天命, 滿洲語 : ?????
???????
Abkai Fulingga , 몽골語 : ?????????
???????
Tengri-yin Bo?ugtu )이라고 부른다. 첫番째 諡號는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무황제 (太祖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武皇帝)으로, 줄여서 타이州 호롱誤 한 (太祖武皇帝, 滿洲語 : ?????
???????
???
Taidzu Horonggo Han ), 네番째 諡號는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으로, 줄여서 고황제 (太祖高皇帝, 滿洲語 : ?????
???????
Taidzu Dergi H?wangdi )이다. 別號로는 太祖한조종 (太祖汗祖宗, 滿洲語 : ?????
???
????
Taidzu Han Mafa )이 있다. [2] 生前 圖章에 새겨진 稱號는 壓카이 푸링가 아이신 舊룬 한 ( 滿洲語 : ?????
???????
?????
?????
???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이다. [3] [4] [5]

이름 [ 編輯 ]

누르하치(奴兒哈赤, 滿洲語 : ??????? Nurgaci )의 이름은 只今까지 누르하치 · 누르카치 淚河치 等의 讀法이 있지만, 누르價値가 올바른 名稱이다. [6] 또한 그의 이름 누르價値는 滿洲語 로 멧돼지 가죽이라는 뜻을 가진 累허치(奴可齊, 滿洲語 : ?????? Nuheci )에서 由來한 것이라고 推定하기도 한다. [7]

生涯 [ 編輯 ]

누르價値는 1559年 5月 14日 에 태어났다. 飼料로 考證할 수 있는 그의 母親은 아구(阿古, 滿洲語 : ??? Agu ) 都督의 딸이며, 姓은 히타라(喜塔?, 滿洲語 : ?????? Hitara ) [8] , 이름은 어머치(額穆齊, 滿洲語 : ????? Emeci )인 그女는 탁시와의 사이에서 3男 1女를 낳았다. 첫째가 누르價値, 셋째 아들이 슈르價値 , 넷째 아들이 야르價値(雅爾哈齊, 滿洲語 : ??????? Yargaci )다. 딸은 正確한 이름이 남아있지 않다. [9] 누르價値의 집안은 建州女眞 의 熟水後部(蘇克素滸部, 滿洲語 : ???????
?????
Suksuhu Aiman )에 屬했었다. [10]

누르價値는 搖動 총병관이었고 高麗人 出身이었으며 當時 搖動을 支配하였던 이성량 의 支配를 받고 있었으며 後援 또한 받고 있었다. 搖動 에서 개원 동부에 이르는 地域에 살던 해서여진인들을 統合하여 하다국을 設立하고, 餘震 몽골 의 指導者들은 勿論 明나라 搖動 총병 이성량 過度 密接한 政治的 經濟的 關係를 맺었던 [11] 완 한( 滿洲語 : ???
???
Wan Han )의 族女 [12] 하다나라 컨저(哈達那拉 懇哲, 滿洲語 : ????
????
?????
Hada Nara Kenje )의 虐待를 받아 18歲의 나이에 퉁갸씨와의 結婚과 同時에 동생 슈르價値 等과 함께 分家했다. 탁시는 分家하는 누르價値에게 奴婢 男性 6名, 女性 5名, 마 2期, 蘇 4마리를 支給했다. 누르價値는 妻家인 퉁갸 家門으로 가서 直接 人蔘을 採取하여 明나라 商人들에 파는 等 貧困하게 살아간다. 6年 뒤, 祖父 交窓아 와 部 탁시가 舊러山城 攻防戰에서 名君의 誤認으로 殺害되자 本性 虛套阿羅로 歸還했다.

餘震 統一과 後金 建國 [ 編輯 ]

16世紀 末期, 누르價値가 征服하기 直前의 餘震 제부 는 現在 中國 둥베이 러시아 沿海州 를 包括하는 廣闊한 地域에서, 初期的 形態의 國家들을 이루거나 不足 或은 氏族 單位로 흩어져 居住하고 있었다. 明나라 는 餘震의 地域에 一種의 行政區劃人 危巢(衛所)를 200餘 個를 設置하고, 餘震의 여러 部族長을 그 首長으로 임명하여 間接的으로 統制했다. 이때 名이 設置한 餘震危巢는 種族, 人口數 等 모든 面에서 明나라 內地의 危巢와는 全혀 다른 傳統的 餘震部落에 不過하며 餘震 種族들의 部落에 危巢의 이름을 形式的으로 붙인 것에 不過하였다. [13]

建州女眞은 鴨綠江 의 北쪽으로 後너허 江 上流부터 퉁갸 江 에 걸쳐 居住했으며, 熟水後( 滿洲語 : ??????? Suksuhu )·後너허(渾河, 滿洲語 : ?????? Hunehe 旺氣얀 (完顔, 滿洲語 : ??????? Wanggiyan 東古 (董鄂, 滿洲語 : ?????
Donggo )·저千(哲陳, 滿洲語 : ????? Jecen )의 5個의 部(部) 或은 아이만(aiman)으로 나뉘어 있었다. 建州 5部는 各各은 本來 別個로 세워진 獨立 勢力이며, 各各의 集團 사이의 血緣的·種族的 結合關係는 確認되지 않는다. [14] 以外에 白頭山 一帶의 너年(訥殷, 滿洲語 : ????? Neyen )·週셔리(朱舍里, 滿洲語 : ?????? Ju?eri 얄루 岐陽 (鴨綠江, 滿洲語 : ????
?????
Yalu Giyang )의 세 아이만도 建州女眞의 一部로 分類되기도 하였다. [15]

熟水後部 出身의 누르價値의 祖父와 父親이 아타이를 攻擊하던 名君에게 殺害 當한 뒤 이성량은 그를 慰撫하기 위한 作業에 나섰다. 于先 그에게 勅書를 授與하고 말을 하사했다. 그에게 指揮 職位를 주도록 明나라 朝廷에 建議했을 可能性도 있다. 그러나 이성량과는 달리 搖動 官員들은 니칸 와이란 에게 더 많은 好意를 베풀었다. 이런 行動은 누르價値의 不滿을 샀다. [9]

當時 建州女眞에는 여러 莫强한 勢力이 있었다. 熟水後部, 後너許副, 王야부 , 동오部 等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不足은 名 朝廷에서 니칸 와이란을 支持하는 것을 보고 누르價値와 가까이 하지 않았다. 甚至於 같은 닝毆打 一族인 忌惡窓가 의 여러 兄弟들 勢力조차 니칸 와이란에게 歸順해 依支했다. [9]

누르價値 亦是 名 調整에 드러내놓고 剛하게 나갈 수는 없었다. 그는 道理 없이 몰래 니칸 와이란에게 不滿이 있거나 怨恨이 있는 建州의 작은 部族의 守令들과 緊密한 連繫를 醉했다. 代表的인 人物로는 갸무후성의 主人 加下샨( 滿洲語 : ??????? Gaha?an ), 사르후성의 主人 區와라( 滿洲語 : ?????? G?wara )와 그 아우 노미나( 滿洲語 : ?????? Nomina ) 等이었다. 그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서로 힘을 모아 니칸 와이란을 打倒하는 隊列이 同參하기로 하늘에 盟誓했다고 한다. [9]

다른 한便, 누르價値는 明나라 朝廷에 "내 祖父와 父親의 죽음은 事實 니칸 와이란의 使嗾에 依한 것아다. 그를 사로잡아 나에게 넘겨줘야 비로소 마음이 便하겠다"는 立場을 傳達했다. 名 朝廷은 當然히 그에게 回答하지 않았고, 누르價値는 扶助의 復讐를 위한 軍隊를 일으키는 빌미로 얼마 後 니칸 와이란에게 戰爭을 宣布했다. [9]

누르價値의 勢力은 크지 않았는데 建州의 各 部族에서 그를 支持한 사람은 100名에 不過했다. 그의 父親도 그이기 고작 甲옷 13벌의 微微한 遺産만 물려줬다. 그러나 누르價値는 이런 劣惡한 狀況이고 不拘하고 1583年 5月에 니칸 와이란이 城主人 투런( 滿洲語 : ????? Turen )이라는 性으로 眞空을 開始했다. 出兵 當時에 노미나가 니칸 와이란과 內通해 出征 時期를 漏泄했다. 이로 因해 니칸 와이란은 누르價値의 銳鋒을 被害 避身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투런姓은 누르價値에게 점령당하는 運命을 避하지 못했다. 25歲의 누르價値가 敢히 明나라 軍다에 支援하는 建州의 主人 니칸 와이란을 敗退시킨 것은 大事件이었다. 그의 地位는 급작스럽게 浮上하게 됐다. [9]

누르價値는 計策을 세워 노미나의 勢力을 除去한 다음 노미나가 攻擊할 것을 提議한 바르다이(巴爾達, 滿洲語 : ?????? Bardai )城까지 陷落했다. [9]

누르價値가 투런成果 사르後性을 얻은 뒤로 熟水後 富民은 大部分 누르價値의 不足으로 編入됐다. 그는 새로이 服屬시킨 이들을 아주 잘 對해주었으며 그들이 便安하게 살면서 平素에는 自身의 職業에 從事하게 했다. 그러나 누르價値의 一族은 이에 對해 不滿을 품었고 그의 1代祖, 2代祖, 3代祖, 6代祖의 子孫들이 宗廟社稷에서 盟誓한 다음 누르價値를 謀殺하려고 했다. 누르價値의 示威와 妹夫 가하샨이 이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9]

그는 가하샨의 復讐를 위해 마르둔( 滿洲語 : ?????? Mardun ) 城砦에서 激戰 끝에 大勝을 거두었다. 그는 이듬해 동오部를 合倂하는 데 成功했다. [9]

1585年 2月, 누르價値는 또다시 建州의 작은 部族인 저天賦의 자이퍈( 滿洲語 : ???????? Jaifiyan )省을 目標로 出兵에 나섰다가 撤軍하는 過程에서 胎卵江에 이르렀을 때 자이퍈과 바르다이 等의 성주가 糾合한 400餘 名의 兵力을 擊破하여 자이퍈성의 主人 너神( 滿洲語 : ????? Nesin )과 또 다른 우두머리인 바무니( 滿洲語 : ?????? Bamuni )가 화살에 맞아 죽었다. 누르價値는 돌아와서 病魔를 整頓하고 軍備의 擴充이 積極 나선 뒤 4月 저千部를 財政罰한다. 저千部는 이에 누르價値를 襲擊하기로 했다. 土毛號( 滿洲語 : ?????? Tomoho ), 腸갸( 滿洲語 : ??????? Janggiya ), 바르다이, 鐵雅號(撤兒湖), 자이퍈의 성주가 800餘 名의 兵士를 糾合해 總攻擊을 敢行했지만 누르價値는 어린 동생 무르價値와 部下를 이끌고 그들을 敗退시켰다. 1年 後 土模糊性을 陷落했고, 1587年에는 勇猛한 將帥 어이두로 하여금 바르다이성을 攻擊해 저千部를 合倂했다. [9]

熟水후부와 동오部를 兼倂하고 저千部를 滅亡한 누르價値는 1586年 7月, 니칸 와이란이 隱居한 오르魂( 滿洲語 : ????? Orhon )城을 攻擊했다. 이때 니칸 와이란은 逃走하고 니칸 와이란의 鄕兵 40人이 누르價値에게 30餘 군데 創傷을 입히는 成果를 거두었다. 하지만 누르價値는 40期를 보내 明나라 의 搖動道士(遼東都司)로 逃走하던 니칸 와이란을 追擊하도록 했고, 니칸 와이란은 明나라의 搖動變裝의 守備隊의 袖手傍觀으로 者理事에게 斬首당한 채로 누르價値에게 받쳐졌다. 누르價値는 이로써 自身의 未來 事業을 위한 鞏固한 基礎를 닦았다. 明나라 軍隊가 누르價値로 하여금 니칸 와이란을 죽이도록 放置한건 누르價値라는 存在를 認定한 까닭이었다. 이에 建州女眞의 大部分의 部族이 앞다퉈 그에게 歸順하기 始作했다. 手腕( 滿洲語 : ????? Suwan )의 우두머리 솔고( 滿洲語 : ????? Solgo ), 동오 우두머리의 孫子 好호리( 滿洲語 : ?????? Hohori ), 야르區( 滿洲語 : ????? Yarg? ) 村長 후르韓( 滿洲語 : ?????? H?rhan ) 等이 모두 1588年에 무리를 이끌고 歸順한 人物이다. 같은 해 9月 누르價値는 軍隊를 이끌고 熟水後腔과 동오部 사이의 파저강 上流의 작은 部落인 완안城을 攻擊하여 王野部를 倂合했다. [16] 建州女眞에 對한 누르價値의 統一 事業은 이로써 完全히 끝나게 됐고 [9] 이듬해 名 調整은 누르價値를 都督詹事로 임명했다. [17]

1593年 , 해서여진 예허 의 國主 富者이와 나림부루, 하다의 國主 멍거부루, 우라 의 國主 萬타이의 동생 부잔타이, 好異派의 國主 바인다리, 코르親 몽골 의 甕家代와 網구스 그리고 밍間, 週셔리( 滿洲語 : ?????? Ju?eri )의 우두머리 柳렁어( 滿洲語 : ??????? Yulengge ), 너옌( 滿洲語 : ????? Neyen )의 우두머리 서오원( 滿洲語 : ?????? Seowen ) 및 昔時( 滿洲語 : ????? Seksi )와 和親하고 9部 聯合軍을 結成하여 建州女眞 을 攻擊하였으나 [18] 누르價値가 江을 따라 난 길이 좁고 險한 舊러 山에서 埋伏하고 여러 障礙物을 設置하여 敵들을 誘引한 탓에 聯合軍은 舊러 戰鬪에서 크게 敗하였고, 이 過程에서 富者이는 落馬한 뒤 建州病 牛坦에 依해 戰死했다. [19] [20] 1595年 누르價値는 名 朝廷으로부터 任期 3年의 용호將軍(龍虎將軍)의 職牒을 받아냈으며, 1596年 朝鮮 을 相對로 여진국建州衛官屬이인주(女眞國建州衛管束夷人之主)를 自稱했다.

1599年 , 누르價値는 어르더니( 滿洲語 : ?????? Erdeni ) 박시와 까까이( 滿洲語 : ??????? G'aG'ai ) 자르구치에게 命하여 몽골 文字 를 改良한 駐션 文字 [無?點点字]를 創製하게 했고, 10月 末에는 하다가 名의 仲裁下에 예허와 同盟을 맺고 하다로 派兵된 建州의 支援軍을 沒殺하고 그 長壽를 사로잡자 슈르價値와 함께 하다를 攻擊하여 25日에 하다성을 陷落하고 國主 멍거부루를 生捕한 뒤 하다부민을 모두 建州女眞으로 社民했다. [21]

1606年, 내 칼카 바야우드의 엉거더르 他二智와 그가 引率한 5位의 使臣이 누르價値에게 쿤두런 한( 滿洲語 : ????????
???
Kundulen Han , 몽골語 : ?????????
??????
Kundelen Qa'an )이라는 尊號를 올렸다.

1607年 9月에 好異派(輝發, Hoifa)부를, 1613年 에는 우라 部를 倂合했다. 둥베이 沿海州 地域에 散在해 있던 獨立國間의 霸權鬪爭에서 勝利한 누르價値는 1616年 正月, 虛套 아라 에서 팔기 버이러 와 여덟 巖盤 ( 滿洲語 : ????? Amban )에게 가난하여 苦痛받을 여러 나라를 돌보라는 天命을 받았다는 名分으로 겅옌 한(英明汗, 滿洲語 : ????????
???
Genggiyen Han )으로 推戴됐다. 그 사이에 三代鄭은 거의 解決되었고, 明나라는 누르價値에 危機感을 느끼기 始作했고, 해서여진의 强力한 예허 部를 支持함으로써 누르價値의 對抗馬로 삼으려 했다.

1618年 4月, 누르價値는 " 7가지 큰 怨恨 (漆大寒)"이라는 檄文을 發表하고 明나라에 宣戰布告 를 했다. 이 文書에는 明나라가 如許 에 加擔하여 여진국을 攻擊한 것, 祖父 忌惡窓가와 아버지 탁시가 名君에게 사살당한 것 等이 적혀 있다.

이 무렵, 누르價値는 사위인 엉거더리 他二智와 사하랸에게 金나라 皇帝들의 前例를 言及한 것을 契機로 阿骨打 天祚帝 의 거란을 攻擊한 것과 자신의 大明戰爭을 同一視 하고, 金나라의 皇帝를 '우리'라고 부르는 等 金나라와의 同質性을 强調하면서 自身의 나라도 '아이신 舊룬'(金나라)으로 부르기 始作했다.

사르後 戰鬪 [ 編輯 ]

1619年 3月 明나라는 예허부 朝鮮 에 援軍을 要請하여 47萬에 이르는 여진 討伐軍을 結成하고 이듬해 무筍 에서 가까운 사르훠(薩爾滸, Sarh?)에서 10萬餘 名이라 稱하는 滿洲의 軍隊과 激突했다. [22] 數的으로 不利한 여진이었지만, 功을 貪한 明나라 將軍 杜松 이 後續 部隊를 기다리지 않고 性急하게 攻擊을 했기 때문에 各個 擊破할 수 있었다( 사르後 戰鬪 ). 강홍립 이 이끄는 朝鮮軍도 부차 戰鬪 에서 包圍되어 김응하 가 戰死하고, 곧 降伏하게 된다. 사르훠에서 名君에 큰 打擊을 준 누르하치는 後援者를 잃은 豫許副를 襲擊하여, 服屬함으로써 黑龍江 一帶의 野人餘震들을 除外한 女眞族을 統一했다.

永遠性 戰鬪 [ 編輯 ]

1621年 (천명 4年), 氣勢가 오른 누르價値는 瀋陽 , 療養 을 잇따라 陷落시켰고 1625年 療養 옆의 瀋陽으로 遷都했다. 이 때 金의 勢力圈은 요동 全域에 미쳤다. 1626年 (천명 9年), 連戰連勝하던 누르價値는 明나라의 本土를 攻擊하기 위해 山海關 을 陷落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그 앞에 있는 永遠性 [23] 에서 將軍 원숭환 이 포르투갈에서 輸入한 홍이포 를 大量으로 거취하고 禁軍을 맞이했다. 홍이포의 威力에 禁軍은 敗北하고, 退却했다. 永遠性 戰鬪 로 精神的으로 衝擊을 받았다.

死亡 [ 編輯 ]

永遠性 戰鬪 以後 누르價値는 몽골의 칼카 遠征을 떠났고, 또 코르親 과 同盟을 맺었다. 그렇기에 近代의 歷史學者들도 누르價値가 永遠性 戰鬪에서 戰死했다는 主張을 하나같이 믿지 못할 見解로 본다. 永遠性 戰鬪에서 砲彈으로 인해 死亡한 것은 누르價値의 아들이나 碑王으로 記錄될 뿐이다. 원숭환 은 "누르價値가 永遠의 敗戰을 羞恥로 여겨 이로 인한 火爐 腫氣가 생겼다"고 말한 바 있다. 烹손이 또한 《山中聞見錄》에 "建州局限의 등에 腫氣가 생겼다"라고 記錄했다. 따라서 누르價値의 死亡은 腫氣가 돋는 皮膚病과 關係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같은 脈絡에서 淸夏에서 溫泉浴을 한 것으로 推定된다. 다만 腫氣가 發病한 原因이 永遠性 戰鬪에서의 砲擊에 依해 다친 옛 傷處가 再發한 것일 可能性이 있다. [9] 누르價値는 後繼者로 指名하지 않고 八旗 버이러 들이 共同으로 協議하여 國家를 統治하라는 말을 遺言으로 남기고 死亡했다. 누르價値의 8男 洪 打이지 는 自身과 함께 後金 의 最高 權力者였던 多이샨 , 아민, 망굴타이의 諒解를 받아 의 地位를 繼承했다. [24] 누르價値는 複陵(福陵, 滿洲語 : ?????????
??????
H?turingga Munggan )에 安葬됐다.

家族 [ 編輯 ]

祖父母와 父母 [ 編輯 ]

  • 祖父 : 慶弔 益皇帝 (景祖 翼皇帝) 各創案(覺昌安)
  • 조某 : 益皇后(翼皇后)
  • 父親 : 玄祖 先皇帝 (顯祖 宣皇帝) 塔極細(塔克世)
  • 母親 : 線皇后(宣皇后) 희탑랍씨(喜塔臘氏)

정후 [ 編輯 ]

情實 [ 編輯 ]

봉호 시호 이름(星氏) 在位年度 生沒年度 國舅(匠人, 丈母) 別稱 備考
적匐進
(嫡福晉)

元妃
(元妃)
同家 合합납찰청 /퉁기야 下하나自稱
(?佳 哈哈納?靑)
1560年 ~ 1592年 同家 搨本破顔
(?佳 塔本巴晏)
[25]
戒福眞
(繼福晉)

繼妃
(繼妃)
俯察 곤대 /푸車 군다이
(富察 袞代)
1616年 ~ 1620年 ? ~ 1620年 俯察 망새두題號
(富察 莽塞杜諸祜)
[26]

皇后(推尊) [ 編輯 ]

봉호 시호 이름(星氏) 在位年度 生沒年度 國舅(匠人/장某) 別稱 備考
大福眞
(大福晋)

對備
(大妃)
孝子高皇后
(孝慈高皇后)
엽혁나랍 맹고姐姐 /예허나라 멍高姐姐
(葉赫那拉 孟固姐姐)
(推尊) 1575年 ~ 1603年 엽혁나랍 梁吉노
(葉赫那拉 楊吉?)
[27] [28]
大福眞
(大福晋)

對備
(大妃)
孝烈무皇后
(孝烈武皇后)
오랍나랍 아파해 /울라나라 아바하이
(烏喇那拉 阿巴亥)
( 1620年 ~ 1626年 )
<對備>
1590年 ~ 1626年 오라나랍 萬態
(烏喇那拉 滿泰)
度도호
(都都護)
[29]

側室(後宮) [ 編輯 ]

側非(側匐進) [ 編輯 ]

봉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태비(太妃) 보르地기트 下午샨 /박이제길特 號線
(博?濟吉特 浩善)
? ~ 1655年 [30]
側非(側妃) 이르乾期오로 라이 /이이근角라 罍
(伊爾根覺羅 ?)
側非(側妃) 예허나라 醜汚치 /엽혁나랍 작기
(葉赫納喇 ?奇)
孝子高皇后 의 동생.
側非(側妃) 보르地기트 氏
(博爾濟吉特氏)
? ~ 1643年
側非(側妃) 合달납라 아민철철 /하다나라 아민姐姐
(哈達納喇 阿敏哲哲)

鉏非(서복진) [ 編輯 ]

봉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鉏非(庶妃) 組가 氏
(兆佳氏)
鉏非(庶妃) 니午後루 氏
(紐祜祿氏)
1566年 ~ ?
鉏非(庶妃) 가목號角라 眞價
(嘉穆瑚覺羅 眞哥)
鉏非(庶妃) 시린기오로 氏
(西林覺羅氏)
? ~ 1646年
鉏非(庶妃) 이르乾期오로 氏
(伊爾根覺羅氏)
鉏非(庶妃) 亞制斤 / 阿只件
(阿濟根)
? ~ 1626年 천명제 事後 殉葬됨.
樂非(樂妃) 이惠下
(李惠霞)
回族 出身.
鉏非(庶妃) 德仁澤 / 더인저
(德因澤)
? ~ 1626年 천명제 事後 殉葬됨.

皇子 [ 編輯 ]

- 봉호 시호 이름 別稱 生沒年度 生母 子息 備考
長男 다라狂略牌勒
(多羅廣略貝勒)
아이신기오로 鄒衍
(愛新覺羅 ?英
/애신각라 저영)
[31] 1580年 ~ 1615年 元妃
同家 氏
3男 1女 [32]
次男 化石例親王
(和碩禮親王)
熱(烈) 아이신기오로 多이샨
(愛新覺羅 代善
/애신각라 大選)
[33] 1583年 ~ 1648年 元妃
同家 氏
8男
3男 鎭國公
(鎭國公)
近民(勤敏) 아이신기오로 아바이
(愛新覺羅 阿拜
/애신각라 아배)
[34] 1585年 ~ 1648年 鉏非
兆가씨
7男
4男 三等진국장군
(三等鎭國將軍)
極결(克潔) 아이신기오로 湯口다이
(愛新覺羅 湯古代
/애신각라 탕古代)
[35] 1585年 ~ 1640年 鉏非
뉴호록 氏
2男 [36]
5男 釐革패륵
(已革貝勒)
아이신기오로 網구르타이
(愛新覺羅 莽古爾泰
/애신각라 網고이태)
[37] 1587年 ~ 1633年 繼妃
俯察 氏
9男 [38]
6男 步國共
(輔國公)
各後(?厚) 아이신기오로 他바이
(愛新覺羅 塔拜
/애신각라 榻背)
[39] 1589年 ~ 1639年 鉏非
뉴호록 氏
8男
7男 化石腰輿親王
(和碩饒餘親王)
민(敏) 아이신기오로 아바타이
(愛新覺羅 阿巴泰
/애신각라 牙婆태)
[40] 1589年 ~ 1646年 側非
이이근角라 氏
5男 4女
8男 牌勒(貝勒)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愛新覺羅 皇太極
/애신각라 황태극)
1592年 ~ 1643年 孝子高皇后
엽혁나랍씨
11男 14女 第2代 皇帝 崇德第 (崇德帝).
9男 鎭國公
(鎭國公)
角戱(恪僖) 아이신기오로 바부타이
(愛新覺羅 巴布泰
/애신각라 派胞胎)
[41] 1592年 ~ 1655年 鉏非
가목號角라氏
3男
10男 釐革패륵
(已革貝勒)
아이신기오로 더거러이
(愛新覺羅 德格類
/애신각라 德激流)
[42] 1592年 ~ 1635年 繼妃
俯察 氏
3男 [38]
11男 釐革진국장군
(已革鎭國將軍)
아이신기오로 바部下이
(愛新覺羅 巴布海
/애신각라 派포해)
[43] 1596年 ~ 1643年 鉏非
가목號角라 氏
1男 [38]
12男 釐革英親王
(已革英親王)
아이신기오로 阿只거
(愛新覺羅 阿濟格
/애신각라 아제격)
[44] 1605年 ~ 1651年 孝烈무皇后
오랍나랍 氏
12男 [38]
13男 步國共
(輔國公)
개職(介直) 아이신기오로 라이무부
(愛新覺羅 賴慕布
/애신각라 腦毛布)
[45] 1611年 ~ 1646年 鉏非
서림각라 氏
1男
14男 化石例親王
(和碩睿親王)
衝(忠)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愛新覺羅 多??
/애신각라 다이곤)
[46] 1612年 ~ 1650年 孝烈무皇后
오랍나랍 氏
1女 [47]
15男 化石例親王
(和碩豫親王)
通(通) 아이신기오로 도도
(愛新覺羅 多鐸
/애신각라 茶卓)
[48] 1614年 ~ 1649年 孝烈무皇后
오랍나랍 氏
8男
16男 홍대자
(紅帶子)
아이신기오로 피楊口
(愛新覺羅 費揚果
/애신각라 비양과)
1620年 ~ 1640年 4男 2女

皇女 [ 編輯 ]

- 봉호 이름 生沒年度 生母 駙馬 別稱 備考
長女 團長苦輪公州
(端莊固倫公主)
눈鐵
(嫩哲)
1578年 ~ 1652年 元妃 同家 氏 三等용근온巡功
(三等勇勤溫順公)
東古 好호리
(董鄂 何和禮)
[49]
次女 化石公州
(和碩公主)
안철
(顔哲)
1587年 ~ 1646年 側非 이이근角라 氏 바투로이라거
(巴圖魯伊拉喀)

三等子
(三等子)
구어라라 다르한
(郭絡羅 達爾漢)
[50]
3女 公州(公主) 망고第
(莽古濟)
1590年 ~ 1635年 繼妃 俯察 氏 하다나라 우르구다이
(哈達那拉 吳爾古代)

다라君王
(多羅郡王)
박이제길特 灑落목두릉
(博爾濟吉特 ?諾木杜?)
[51] [52]
4女 化石公州
(和碩公主)
목고십
(穆庫什)
1595年 ~ 鉏非 가목號角라 氏 오라패륵
(烏喇貝勒)
울라나라 부잔타이
(烏拉那拉 布占泰)

一等紅衣공
(一等弘毅公)
니午後루 어이두
(?祜祿 額亦都)

三等果毅공
(三等果毅公)
니午後루 트르거
(?祜祿 圖爾格)
5女 化石公州
(和碩公主)
1597年 ~ 1613年 鉏非 가목號角라 氏 니午後루 다치
(?祜祿 達啓)
[53]
6女 化石公州
(和碩公主)
1600年 ~ 1646年 鉏非 가목號角라 氏 三等백
(三等伯)
餘虛나라 數나
(?赫那拉 蘇納)
[54]
7女 鄕軍品級
(鄕君品級)
1604年 ~ 1685年 側非 이이근角라 氏 나라 어차이
(納喇 鄂札伊)
夭折함.
8女 化石公州
(和碩公主)
송高度
(松古圖)
1612年 ~ 1646年 側非 엽혁나랍 氏 一等民양공
(一等敏襄公)
보르地기트 구르보시
(博爾濟吉特 古爾布什)
[55] 夭折함.

※受講태비를 除外한 非(妃)는 實際로 封爵된 衛護가 아닌 詐稱(史稱)으로, 後金(後金)의 名簿(命夫) 위호인 匐進(戒福眞·側匐進·서복진)을 靑(淸) 開國 後 整備된 后妃(后妃) 制度에 맞춘 것이다. [56] 元妃는 遠配(元配·初配)임을 强調하기 위한 詐稱(史稱)으로, 崇德提議 遠配 뉴호록 氏 亦是 마찬가지다.

朞年과 年號 [ 編輯 ]

年號 使用期間 年壽 備考
千名 (天命) 1616年 1626年 11年

千名제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득황, 《滿洲族의 言語》, 垈地文化史, 1995
  2. 《han i araha jak?n g?sai manjusai m?kun hala be uheri ejehe bithe sioi》 mini taidzu han mafa taidzung han mafa abkai hese be ambarme alifi, dergi oci.
  3. 李學智(1973), 42面에는, 「這裏所?的篆文番字印之後金天命皇帝印、事實上或由于當時朝鮮的通事原系蒙〔古〕學通事、因此其所解釋的後金天命皇帝七個字似乎頗有問題。由於近數年來在本所?閣大庫殘?中曾得見淸太祖、太宗時的舊?上、?存有此壹早期的滿文印璽、其滿文是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i doron 七字、而其字義應爲天命金國汗之印、竝不是後金天命皇帝七個字之篆文番字印也。而此一老滿文印、或許是淸人最早的壹顆印璽」이라는 指摘이 있다.
  4. 『淸史圖典』第一?、太祖?太宗、99
  5. 光海君日記 》 11年 1619年 4月 19日 記事에서는 누르하치[奴酋]의 稱號를 後金千名皇帝 (後金天命皇帝)로 飜譯했다.
  6. 김득황, 《滿洲族의 言語》, 垈地文化史, 1995
  7. ?崇年 (2006). 《努?哈赤?·正??朝第一帝》. 北京出版社. 2卷 머릿말쪽. ISBN   9787200016598 .  
  8. 키타라( 滿洲語 : ?????? Kitara )라고도 한다. 《taidzu dergi hvwangdi i ben gi bithe》, hafumbuha h?wangheo kitara hala.
  9. 陳捷先 (2003年 6月 1日). 《努爾哈齊寫眞》. 遠流訂閱出版社新書快訊. ISBN   9789573248750 .  
  10. 이훈. 《滿洲族 이야기》. 너머북스. 29~30쪽. ISBN   9788994606514 .  
  11. Crossley, Pamela Kyle (2002),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9?40쪽, ISBN   0-520-23424-3  
  12. 《滿洲實錄》, jai fujin i hala nara. gebu kenje. hadai gurun i wan han i gaifi ujihe uksun i sargan jui.
  13. 남의현(2009), 《中國醫名臺 東北疆埸 硏究成果와 問題點 分析》, 人文科學 硏究.
  14. 石橋崇雄 (2000). 《大?帝?》. 講談社. ISBN   978-4062581745 .  
  15. 이훈. 《滿洲族 이야기》. 너머북스. ISBN   9788994606514 .  
  16. 黃栢棟 主編, 2006, 『桓仁建州女眞志』, 桓因建州女眞志編纂會, 155쪽.
  17. 《神宗顯皇帝實錄》. 1630. ○始命建州夷酋都指揮奴兒哈赤?都督僉事  
  18. 《滿州實錄》. 1779. 癸巳年 九月內 葉赫國主布齋納林布祿 哈達國主蒙格布祿 烏拉國布占泰【滿泰弟也】 輝發國主拜音達? 嫩河蒙古科爾沁國主翁阿岱莽古明安 錫伯部 卦勒察部 珠舍?路主裕楞額 訥殷路主搜穩塞克什 九國兵馬會聚一處分三路而來  
  19. 宣祖實錄 》 189卷, 萬曆 33年 7月 16日 巫子 2番째 記事, ○平安兵使成允文馳啓: "滿浦僉使洪有義馳報: ‘據使事知譯官, 歸順胡人處, 善辭探問則 「建州 衛胡人, 或知或不知, 而北邊藩胡, 被擄於老酋來者 曰:『忽溫酋名夫者卓古, 或稱夫者漢古, 或單稱卓古、漢古, 【卓、漢二音, 胡人傳語, 或不相似而然。】 年可四十, 體中、面暫縛, 悍勇無雙。 與老ㆍ少酋、羅里等, 尋常通使講好, 而以二女妻之。 然而, 卓古與羅里, 所居地方稍近, 兩酋原爲四寸兄弟, 最爲親厚。 今次潼關之捷, 卽爲來報于老酋, 老酋使其手下可信人, 往問接戰形止, ?獲多寡, 而時未回程。』」 僉使, 於癸未年間, 始聞鍾城有忽賊之變, 自是入寇, 殆無寧歲。 僉使欲知忽溫、如許、建州衛三酋, 連和與否, 訪問於胡人, 頗得其詳。 今之所聞, 又如此則夫者卓古之爲忽溫酋, 似爲分明。 大槪前日所聞, 如許酋 羅里ㆍ忽溫酋 卓古等, 往在癸巳年間, 相與謀曰:「老可赤本以無名常胡之子?起爲酋長, 合倂諸部, 其勢漸至强大。 我輩世積威名, 羞與爲伍。」 不意合兵來攻老酋, 期於蕩滅之際, 老酋得諜大驚, 先使精兵, 埋伏道傍, 又於嶺崖, 多設機械, 以待。 而沿江峽路阻隘, 故敵兵不得成列, 首尾如長蛇, 而至老酋之兵, 所在放石, 兵馬塡江而死者, 不知其數後軍驚潰, 先鋒悉爲老酋所獲。 於是, 羅里兄夫者戰死, 忽酋 卓古, 亦被擒而來, 老酋解縛優待, 拘留城中, 作爲少酋女壻。 老酋欲爲遠交近攻之計, 始乃遣還卓古, 卓古雖以不殺爲感, 而其慙憤之心, 久而猶存。 今之通信, 實爲外親內忌。 羅里痛其兄夫者之死, 銳意報復, 至今兵連禍結。 三酋雖有鼎立之勢, 而其中老酋, 似爲孤危。 今者卓古爲小酋之壻, 相通締結, 不無其事。 在我防備, 不可小忽。’"
  20. 《太祖武皇帝實錄》. 1636. 太祖曰: 「爾?無憂,我不使汝等至於苦戰。 吾立險要之處, 誘彼來戰, 彼若來時, 吾迎而敵之, 誘而不來, 吾等步行, 四面分列, 徐徐進攻。 來兵部長甚多, 雜亂不一, 諒此烏合之?, 退縮不前, 領兵前進者, 必頭目也, 吾等?接戰之, 但傷其一二頭目, 彼兵必走。 我兵雖少,?力一戰,可必勝矣。」 次日平明起兵。 夜黑兵先攻黑機革城未下, 是日又攻, 時太祖兵到, 陣於古勒山險要之處, 與黑機革城相對, 令諸王大臣等各率固山兵分頭預備。 布陣已完, 遣厄一都領兵一百挑戰, 夜黑見之遂不攻城, 收兵來敵。 滿洲兵一戰殺九人,夜黑兵稍退。 有布戒、 金台石及廓兒沁三貝勒, 領兵合攻一處,時布戒先入, 所騎之馬被木撞倒, 有滿洲一卒【名吾談】, ?向前騎而殺之, 其兵大敗。 夜黑貝勒等見布戒被殺, 皆痛哭, 一其同來貝勒等大懼, ?皆喪膽, 各不顧其兵, 四散而走。 明安馬被陷, 棄鞍赤身, 體無片衣, 騎?馬脫出。 太祖縱兵掩殺, 屍滿溝渠, 殺至哈達國釵哈寨南吾黑運之處。 是夜結繩?路,殺敗兵甚?。  
  21. 《太祖武皇帝實錄》. 1636. 是時,哈達國孟革卜鹵與夜黑國納林卜祿因隙構兵,力不能敵,孟革卜鹵以三子與太祖?質乞援。 太祖命非英凍、剛蓋二人,領兵二千往助,納林卜祿聞之,遂令大明開原通事齎書與孟革卜鹵曰: 「汝執滿洲來援之將,挾贖質子,盡殺其兵,如此,汝昔日所欲之女,吾?與之?妻,二國仍舊和好。」 孟革卜鹵依言,約夜黑人於開原,令二妻往議。太祖聞之,九月發兵征哈達。太祖弟黍兒哈奇貝勒曰:「可令我?先鋒,試看若何?」太祖命領兵一千前進。行至哈達國,哈達兵出城拒之,黍兒哈奇按兵不戰,向太祖曰:「有兵出城迎敵。」太祖曰:「此來豈?城中無備耶?」怒喝黍兒哈奇貝勒曰:「汝兵向後!」?欲前進。時黍兒哈奇貝勒兵?阻路,遂繞城而行,城上發矢,軍中傷者甚多。至初七日,攻得其城。有大臣楊古里生擒孟革卜鹵來報,太祖曰:「勿殺」, 召至前?見畢,太祖以己之貂帽及豹?賜而養之。 哈達國所屬之城盡招服之,其軍士器械,民間財物,父母妻子,俱秋毫無犯,盡收其國而回。自此哈達國遂亡。后太祖欲以女莽姑姬與孟革卜鹵?妻,放還其國,適孟革卜鹵私通嬪御,又與剛蓋通謀欲?位, 事泄,將孟革卜鹵、剛蓋與通姦女俱伏誅。  
  22. 10萬餘 名이라고 했지만, 實際 數는 그 折半이었다고 한다.
  23. 現在의 興行性 顯性
  24. 이훈. 《滿洲族 이야기》. 너머북스. 167쪽. ISBN   9788994606514 .  
  25. 闡明提議 첫 正室夫人. 後金 建國 前 死亡.
    皇后로 追封하지 않음.
  26. 皇后로 追封하지 않음.
  27. 孝子무皇后(孝慈武皇后)
  28. 後金 建國 前에 死亡함. 崇德第 卽位 後에 皇后로 推尊됨.
  29. 闡明提議 情實이나 천명제 事後 殉葬을 강요당하여 殉葬됨.
  30. 황증조受講태비(皇曾祖壽康太妃)
  31. 洪波濤로(洪巴圖魯)/아이합도토문(阿爾哈圖土門)/광략태자(廣略太子)
  32. 初俸은 太子이고, 後에 패륵으로 降等.
  33. 孤影波濤로(古英巴圖魯)/대패륵(大貝勒)
  34. 이등진국장군(二等鎭國將軍)
  35. 三等매勒葬警(三等梅勒章京)
  36. 逆謀 罪를 지어 宗室에 逐出當하나 死後에 復元됨.
  37. 다라패륵(多羅貝勒)
  38. 後에 封號 追奪.
  39. 三等진국장군(三等鎭國將軍)
  40. 다라腰輿패륵(多羅饒餘貝勒)/다라腰輿君王(多羅饒餘郡王)
  41. 一等진국장군(一等鎭國將軍)/步國共(輔國公)
  42. 化石패륵(和碩貝勒)
  43. 진국장군(鎭國將軍)
  44. 다라패륵(多羅貝勒)/多라무영君王(多羅武英郡王)/化石英親王(和碩英親王)
  45. 俸銀將軍(奉恩將軍)
  46. 황부섭定王(皇父攝政王)/成宗醫皇帝(成宗義皇帝)
  47. 崇德第 事後에 順治帝 의 攝政王이 되며, 事後 皇帝로 追尊되나 逆謀로 인하여 追奪됨. 後에 예친王으로 復元됨.
  48. 다라豫君王(多羅豫郡王)/化石德例親王(和碩德豫親王)/補正淑德예친왕(輔政叔德豫親王)
  49. 문철(文哲)/桐過激格(東果格格)/桐課公州(東果公主)
  50. 눈鐵格格(嫩哲格格)/첨하격격(沾河格格)/檐下公州(沾河公主)
  51. 合달格格(哈達格格)/合달公州(哈達公主)
  52. 逆謀 嫌疑로 인하여 廢庶人됨.
  53. 格格(格格)
  54. 格格(格格)
  55. 送局濁(松國托)/總苦輪(聰古倫)
  56. 《?史稿.后妃傳序》:“太祖初起,草創闊略,??未有位號,但循國俗稱‘福晋’。福晋盖‘可敦’之轉音,史述后妃,后(後)人緣飾名之,非當時本稱也。”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建國)
第1代 淸나라 의 皇帝
1616年 ~ 1626年
後任
崇德第
前任
(建國)
第1代 後金 의 加한
1616年 ~ 1626年
後任
千摠 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