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참當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참當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참當歸

生物 分類 ??
界: 植物界
(未分類): 속씨植物群
(未分類): 鎭靜雙떡잎植物群
(未分類): 國花群
목: 미나리목
과: 미나리科
속: 黨歸屬
種: 참當歸
學名
Angelica gigas
Nakai , 1917

참當歸 ( Angelica gigas , Korean angelica 또는 giant angelica, purple parsnip 또는 dangquai)는 미나리科 에 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韓國 中國 , 日本 等에 分布한다. 參考로, 辛甘菜 로 불리기도 한다.

높이는 1~2m 程度로, 줄기 全體가 紫朱빛을 띠며 香氣가 많다. 꽃은 紫朱色을 띠며, 8-9月에 複繖形花序 (겹山形 꽃次例)로 무리지어 핀다. 열매는 楕圓形이고 넓은 날개가 가장자리에 달려 있다.

잎자루와 軟한 줄기를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무쳐 먹는다. 뿌리는 普通 當歸라 하며 補血 作用이 뛰어나 韓方에서 主로 生理不順 等의 婦人病에 쓴다. 거풍, 舊瘀血, 補血, 和血, 造景, 鎭靜의 效能이 있고 頭痛, 腹痛, 關節痛, 便祕를 治療한다. 參考로, 참當歸와 비슷한 個當귀 (智異羌活)가 있고 毒草 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한便으로 成分에서 기침 , 어지럼症 이나 抗癌 活性 等의 效能이 報告되고 있다. [1] 倭當歸 는 日本이 原産地인 當歸로 日本黨귀라고도 하며 國內에서는 쌈채소로도 活用한다.

當歸 [ 編輯 ]

當歸의 꽃과 봉우리

참當歸는 智異羌活 (個當귀), 바디나물 뿐만아니라 묏미나리 , 참나물 等과 區別되는 特徵들도 있지만 한便 비슷하게 보이는 類似한 點들도 共存한다.

成分 [ 編輯 ]

韓國應用生命化學會는 第52卷 第4號에서 참當歸의 主要成分으로 데쿠르新 (decursin)과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 (decursinol angelate)를 注目하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Decursinol angelate)의 含量은 뿌리>잎>꽃 順으로 높으며, 데쿠르新(decursin)의 含量은 뿌리>꽃>잎 順으로 높다는 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의 硏究結果發表를 揭載하였다. [2]

이름 [ 編輯 ]

참當歸는 高麗 때에는 단귀풀(旦貴草)으로 香名(鄕名)은 勝暗礁(僧庵草)라고 불렸다. 朝鮮時代에는 勝嚴峭不諱, 승검草不諱, 승검草 等의 이름으로 불려왔다. 그外 當歸의 別稱으로서는 문귀(文歸), 件귀(乾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傳統的으로 쓰여온 것은 참當歸(土當歸, A. gigas NAKAI)이다. 그러나 흔히 當歸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栽培도 되고 比較的 市場性도 높은 一黨귀(日當歸, A. cutiloba KITAKAWA)를 가리킬수있으며, 中國에도 當歸(當歸, A. sinensis)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참고](사이언스온-국제특허분류(IPC8판) A61K-036/237, DOI http://doi.org/10.8080/1020050085542 ,抗癌 活性을 갖는 智異羌活 抽出物 및 이를 包含하는조성물)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Patent.do?cn=KOR1020050085542
  2. [참고]참당귀(Angelica gigas)에서 分離한 pyranocurmarin 成分의 ACAT 沮害活性 및 참當歸 部位別 pyranocurmarin 成分의 含量 分析- ACAT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 and Quantification of Pyranocurmarin in Differe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 김금숙(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박춘근(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정태숙(韓國生命工學硏究院), 차선우(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백남인(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송경식(경북대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韓國應用生命化學會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第52卷 第4號 2009 187 - 194(8 pages)
  3. [참고](생명자원정보서비스-자원백과검색,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http://www.bris.go.kr/portal/resource/book/selectResourceBookDtlInfo.do?lfrcMnno=MANUIP3300300017&gubun=1&siteGb=P&menuNo=200221 Archived 2021年 11月 18日 - 웨이백 머신
  • [참고]참당귀(Angelica gigas)에서 分離한 pyranocurmarin 成分의 ACAT 沮害活性 및 참當歸 部位別 pyranocurmarin 成分의 含量 分析- ACAT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 and Quantification of Pyranocurmarin in Differe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 김금숙(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박춘근(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정태숙(韓國生命工學硏究院), 차선우(農村振興廳 國立園藝特作科學院 人蔘特作部), 백남인(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송경식(경북대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韓國應用生命化學會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第52卷 第4號 2009 187 - 194(8 pages)
  • [참고]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中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의 分離 및 精製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ngelica gigas Nakai - 김강민, 정재연, 황성우, 김묘정, 강재선 한국식품영양과학회地 第38卷 第5號 2009.05 653 - 656(4 pages)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