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住商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住商房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住商房 (朱常?, 1608年 ~ 1646年 5月 23日), 는 庚日(敬一), 老簡王 主翼類(朱翊?)의 3남이며 量車費(楊次妃)의 所生이다. 1618年 4月 노왕(潞王)에 封해졌고, 홍광제 淸나라 軍에 押送당하자 甘菊으로 옹립되었다.

生涯 [ 編輯 ]

父王 主翼類가 死亡할 當時 住商放은 6歲였고, 主翼類의 整備인 李氏(李氏)가 燔師(藩事)를 處理하였다.

1644年 2月 2日, 乳房輛(劉芳亮)李 回京釜(懷慶府) [1] 을 侵略하여 바로 東쪽인 河南省 位휘(衛輝)로 쳐들어가 盧王國이 危機에 處했다. 2月 19日 住商放은 城을 버리기로 決定하였고, 먼저 무석(無錫), 난징 順으로 移動했다가 항저우 에 到着했다.

1645年 5月, 홍광제 가 捕虜로 잡혔다는 消息이 항저우에 傳해졌고, 마私營(馬士英), 완대성(阮大?), 駐大戰(朱大典), 장병정(張秉貞), 河崙(何綸)李 議論하여 住商房을 甘菊으로 擁立하기로 하였다. 同年 6月 30日 秋太後 가 住商房을 甘菊(監國)으로 冊封하여 甘菊으로써 在位를 始作하였다.

同年 7月 1日, 黃道周(?道周)가 稱帝(稱帝)할 것을 建議했으나 마사靈의 意見에 따라 진홍범(陳洪範)을 甘菊의 使臣으로 派遣하여 靑軍과 和談하게 하였다. 3日 後, 淸軍이 항저우에 到達하자 마私營, 완대성, 駐大田 等이 모두 逃走했고 진홍범만이 항저우로 돌아와 장병정 等과 甘菊에게 降伏할 것을 建議하여 淸軍을 開城(開城)으로 맞아들인 後 降伏하였다.

同年 9月, 住商放은 捕虜가 된 홍광제와 一部 南冥 官僚들과 함께 베이징에 押送되었고, 이듬해인 1646年 5月 23日, 駐兪崇과 辰王(秦王), 辰王(晉王), 兄王(衡王), 덕왕(德王), 兄王(?王)은 母斑의 罪目으로 처형당했다. 以後 駐上方의 處刑 消息을 確認한 융無第 가 諡號를 민왕(閔王)이라 하였다.

家族 [ 編輯 ]

各州 [ 編輯 ]

  1. 現 瀋陽(沈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