主權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主權 (主權, 英語 : sovereignty )의 槪念에 對해서는 政治學者들마다 다양한 正義가 存在한다. 國家主權 또는 國權 이라 부르기도 한다. 近代的 主權의 槪念이 形成되고 있던 時期에 州權論을 펼친 장 보댕 과 나치 治下에서 政治哲學을 硏究한 바 있던 카를 슈미트 의 正義는 그 가운데서도 特히 살펴볼 만한 定義라고 할 수 있다.

主權은 領土 , 國民 과 함께 國家 를 構成하는 3大 要素 中 하나이다. 現代 世界에 어느 國家의 主權도 미치지 않는 地域은 南極 大陸 뿐이다.

歷史 [ 編輯 ]

苦戰 [ 編輯 ]

古代 로마 의 法學者 蔚彼岸 은 主權을 다음과 같이 說明한다. [1]

蔚彼岸은 主權(sovereignty) 보다는 皇帝(emperor)라고 表現했다.

中世 [ 編輯 ]

近代 [ 編輯 ]

보댕과는 다르게, 社會契約 에서 主權은 人民 의 讓渡에 依해 構成된 것으로 看做된다. 이 例에서처럼 主權 槪念은 다양한 局面을 通過해 온 것으로 보인다.

現代 國家의 主權 [ 編輯 ]

外交的 主權 [ 編輯 ]

外交的 主權은 他國과 相互 關係를 樹立할 수 있는 權利를 뜻한다. 一般的으로 修交 를 통해 外交關係가 樹立된다.

印度 에 外交權을 委任한 부탄 과 같이 屬國 의 狀態에 있는 國家는 外交的 主權을 行使할 수 없으며, 完全한 主權 國家라도 國際的으로 承認 되지 않은 國家 는 外交的 主權 行使가 制限的인데, 一例로 韓國 乙巳勒約 을 통해 外交權을 日本 에게 强制 委任했던 적이 있다.

國際社會에서는 强大國이 弱小國의 主權을 侵害하는 事例가 頻繁하게 發生하고 있다. 强大國이 弱小國에 不當한 壓力을 行使하여 自國의 뜻에 따르도록 强要하는 것이 代表的인 例이다.

聯邦 國家의 主權 [ 編輯 ]

聯邦 國家 는 排他的인 主權을 가진 地方 政府의 聯合體이다. 地方 政府가 管轄하는 地域에 對해서는 各 地方 政府가 排他的인 權利를 갖는다. 外交權과 軍事權은 一般的으로 中央 政府의 固有 權限이기 때문에, 地方 政府는 外交權을 行使할 수 없고 獨自的인 軍隊 를 保有할 수 없다. 또한, 憲法 에 明示된 中央 政府의 權限 內에서는 中央 政府의 方針에 따라야 한다.

地方 政府와 中央 政府와의 關係는 各國마다 差異가 있다. 美國 은 地方 政府의 權限에 制約이 거의 없고, 러시아 는 地方 政府의 權限에 制約이 많다.

國內問題不干涉義務 [ 編輯 ]

國家 또는 國際機構는 한 國家가 自身의 國內法에 依해 規律하는 國家管轄事項에 對해 그 正當한 卷願없이 意思를 强制하여서는 안된다는 一般國際法上의 義務이다.UN헌장 第2條 第7項은 UN의 義務로서 會員國에 對한 國內問題不干涉義務의 根據 規定이다. 이 規定에 根據하여 國家의 國內問題不干涉義務가 創設되는 것이 아니다.

國內問題의 槪念 [ 編輯 ]

國內問題는 領土的 槪念이 아니고, 流動的 相對的 槪念이다. 國際法의 領域擴大와 더불어 國內問題가 大體로 縮小되고 있다. 튀니지-모로코 國籍法 事件(1923, PCIJ)에서 ①어떠한 事項이 全的으로 한 國家의 國內管轄權에 屬하는가는 本質的으로 相對的인 問題로서 國際關係의 變化에 따라 變한다. ② 國籍과 같이 原則的으로 國際法이 規律하지 않는 事項이라도 條約 上의 義務에 依하여 國家의 自由裁量이 制限되는 境遇가 있다고 判示하였다.

干涉의 槪念 [ 編輯 ]

根據 없이 他國의 國內問題에 그 意思에 反해 武力的, 政治的, 經濟的 壓力의 方法으로 自國의 意思를 强要하는 行爲를 일컫는다. ICJ는 니키라課 事件에서 他國家의 領土 內의 叛亂勢力을 支援하는 行爲 그 自體가 非軍事的이라 하더라도 干涉에 該當하며, 武器 等의 支援과 같은 間接的인 軍事支援은 干涉에 該當하는 것은 勿論이고, UN憲章 第2條第4項이 禁止하고 있는 不法的인 武力行使나 威脅에 該當하나, 自衛權의 對象이 되는 武力攻擊으로는 看做되지 않는다고 判示하였다.

主權免除 [ 編輯 ]

The Schooner Exchange號 Case(1823, 美聯邦法院) [ 編輯 ]

主權免除에 關한 古典的 判例로 프랑스가 美國인 所有 船舶인 익스체인지(The Exchange) 號를 公海上에서 拿捕하여 프랑스 海軍에 편입시켰다. 그 後 洞船舶이 海難으로 美國에 入港하자 元 所有主가 이의 返還을 要求하는 訴訟을 美國 法院에 提起하였다. 이 事件에서 一國의 權威가 他國의 法院에 服從할 수 있는가가 爭點이 되었는데 法院은 一國의 領域管轄權은 外國主權者를 對象으로 할 수 없다라고 判示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