主敎座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西方 敎會 樣式의 主敎座
東方 敎會 樣式의 主敎座

主敎座 (主敎座, 라틴語 : Cathedra , 그리스어 : K?θεδρα )는 基督敎 에서 敎區長을 맡은 主敎 의 職銜을 象徵하는 用語이다. 初期 基督敎 時代에 敎區長主敎는 이 主敎座에 앉아서 儀式을 擧行하고, 敎導職을 遂行하였다. 이 때문에 主敎座는 곧 敎區에서 敎區長 主敎의 權威와 敎區長 主敎의 權威 있는 가르침을 象徵한다. 敎區長 主敎가 恒常 常住하며 主敎座가 있는 特殊한 敎會 主敎座 聖堂 또는 大聖堂이라고도 부른다.

配置 [ 編輯 ]

草創期 主敎座의 位置는 中央 除隊 뒤便의 後進(後陣)에 있었다. 로마 時代 公會堂( 바실리카 ) 中에는 나중에 初期 基督敎 聖堂의 建物로 用途가 變更된 것들도 있는데, 이때 執政官이 앉는 座席이 主敎座로 탈바꿈하였다. 中世 時代에는 除隊가 聖堂 內部의 東쪽 끝 半圓 形態의 壁에 자리 잡게 되면서 除隊 왼쪽에 主敎座를 놓는 慣行이 생겨났다.

西方 敎會 [ 編輯 ]

第2次 바티칸 公議會 以後, 가톨릭교회의 聖堂들은 除隊 가 壁面에 붙어있지 않고 떼어져 하나의 獨立된 構造物이 생긴 境遇가 많아졌다. 그리하여 現代에 들어 새로 新築되는 聖堂이나 旣存 聖堂을 現代 典禮用에 알맞게 改補修하는 境遇에는 古代 바실리카 樣式의 聖堂처럼 主敎座가 除隊 뒤便에 놓여지는 境遇가 많다. 主敎座 兩옆에는 主敎를 도와 前例를 執典할 司祭들이 앉는 椅子가 마련되어 있다. 名義主敎(補佐主敎, 代牧區長, 敎皇大使)는 自身의 敎區가 存在하지 않으므로 主敎座가 없다.

東方 敎會 [ 編輯 ]

東方 正敎會 東方 가톨릭교회 의 主敎座 聖堂에는 一般的으로 거룩한 食卓(제대) 뒤便 後進(後陣)에 主敎가 앉는 椅子인 主敎座가 마련되어 있으며, 主敎座 兩옆에는 主敎를 補佐하는 司祭들이 앉는 椅子들(synthranon)이 있다. 이 場所는 ‘山堂’이라고 불리며, 主敎가 없을 때에도 前例를 管掌하는 그리스도의 臨齋를 나타낸다. 이 같은 理由 때문에 種種 主敎座에 그리스도의 이콘이 그려져 있다. 그리스 正敎會 系列에서는 普通 聖堂의 南쪽 方向 壁에 있는 聖歌隊席과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러시아 正敎會 系列에서는 恰似 커다란 廣場과 같은 形態를 하고 있으며 移動이 容易하고 등받이가 없는 聖堂 灰重石의 正中央에 자리 잡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