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의 行政 區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朝鮮의 地方 行政 區域 은 全國을 8道 로 나누어 고을의 크기에 따라 地方官의 等級을 調整하고, 작은 郡縣을 統合하여 全國에 約 330餘 個의 郡縣을 두어 이루어졌다. 高麗 時代까지 特殊 行政 區域이었던 鄕, 소, 部曲도 一般 郡縣으로 昇格시켰다.

王朝의 初期에는 高麗의 制度를 그대로 踏襲하였으나 太宗 13年(1413年)에 이르러 8道路 區劃을 나누었다. 이 區劃은 以後 若干의 變更은 있었으나, 大體로 朝鮮 王朝의 末期까지 維持되었으며, 高宗 32年(1895年)에 이르러 部·郡·縣의 角 稱號를 고쳐 郡守(郡守)로 하는 한便, 8度를 23部 (府)로 고치고 富에 觀察使를 두었다. 그러나 다음해에는 다시 救濟(舊制)에 따라 13度 로 고치면서 大幅 改編하였다.

v   ?   d   ?   e   ?   h 朝鮮 行政機構 組織
議政府 六曹 李朝
承政院 好調
硬直 義禁府 禮曹
司憲府 兵曹
國王 司諫院 三四 刑曹
弘文館 共助
漢城府
外職 八道

管制 [ 元本 編輯 ]

朝鮮王朝의 地方官은 外觀(外官)이라 하여 그 水位를 차지하는 것은 道(道)의 觀察使 였고, 그 밑에 樹齡 (守令)인 府尹 (府尹)· 大都護府使 (大都護府使)· 牧師 (牧使)· 都護府使 (都護府使)· 郡守 (郡守)· 縣令 (縣令)· 縣監 (縣監) 等이 있었다. 屬縣이 存在하였던 考慮와는 달리 모든 郡縣에 地方官을 派遣하였다.

觀察使 는 種2품으로 그 職務는 管下 各地를 巡察하며 守令의 行跡과 民間의 實情 等을 觀察함에 있었으므로 本來 일정한 居處 없이 單身으로 巡歷(巡歷)하였고 따라서 觀察使의 職(職)은 반드시 巡察使(巡察使)를 겸하게 되어 있었다. 觀察使의 地方行政을 補佐하기 위하여 中央에서 派遣되는 官員으로 經歷 (經歷)· 道士 (都事)· 判官 (判官)· 中軍 (中軍)· 檢律 (檢律) 等이 있었다.

府尹 (府尹)은 種2品의 地方官으로서 觀察使와 同格이었으며, 觀察使 所在地의 府尹은 大槪 觀察使가 겸하기도 하였다. 부는 平安道 平壤·義州, 咸鏡道 永興->咸興, 慶尙道 慶州, 全羅道 全州의 總 5個 地域에 設置되었다. 朝鮮의 首都 漢城府(漢城府) 또한 行政區域上으론 部였지만 이를 擔當한 건 府尹이 아닌 判尹(判尹)으로 觀察使보다 上級인 情2品이었으며 地方職이라 여기지 않아 外觀이 아닌 景觀이 任命되었다. 首都圈의 要衝地에 設置되었던 유수부(留守府) 또한 行政區域上으론 部였으나 府尹이 아닌 有數가 長官이었고 判尹과 마찬가지로 警官이 任命되었다. 有數는 鐘2品에서 正2품으로 補任되었고 留守部는 京畿道 開城·强化·廣州·水原·春川의 5個 妻가 있었다. 留守部는 道에 屬했지만 漢城府는 道에 屬하지 않았다.

牧師 (牧使)는 府尹에 다음가는 地方官으로서 鄭3품이었고 郡邑(郡邑)의 이름이 週(州)로 된 곳 約 20個 妻의 區劃名이 목이었는데 그 長官을 바로 牧師라고 하였다.

大都護府使 (大都護府使, 略稱 府使)는 府尹에 다음가는 牧師와 同級인 情3品의 地方官으로서 本來 都護府라는 制度는 (漢)과 (唐)의 制度로 軍事上 진호(鎭護)가 그 任務였으나 朝鮮의 境遇에는 軍事的 機能은 없었고 地方區劃上의 한 名稱에 不過했다. 大都護府는 朝鮮 初期부터 後期에 걸쳐 平安道 寧邊, 咸鏡道 永興, 江原道 江陵, 慶尙道 安東·昌原의 總 5個 地域에 設置되었다.

都護府使 (都護府使, 略稱 府使)는 牧師와 大都護府使에 다음에 가는 種3品의 地方官이었다. 都護府는 中宗 臺 基準 45個 妻가 있었다.

郡守 (郡守)는 都護府使에 다음가는 種4品의 地方官으로서 軍은 全國에 約 80個가 있었다.

그 뒤로는 縣의 長官인 種5品 縣令(縣令), 種6品 縣監(縣監)이 있았다.

이들 正式的 地方官制上의 行政圈 以外에 觀察使, 病死(兵使)·搜査(水使)와 大邑(大邑)의 守令은 그 幕僚(幕僚)로 脾臟 (裨將)을 두었고, 또 鄕校(鄕校)의 指導를 위해 富·목에는 無祿官(無祿官)인 敎授(敎授), 軍·絃에는 無祿官人 訓導(訓導)가 있었다.

이 밖에 地方行政官으로 交通行政에 關한 特殊職인 察訪 (察訪)· 驛丞 (驛丞)· 度僧 (渡丞) 等이 있었다. 觀察使 및 守令의 事務는 中央官制의 축도(縮圖)로서 (吏)· (戶)· (禮)· (兵)· (刑)· (工)의 六方 (六房)으로 扮裝(分掌)케 하고, 그 事務는 土着의 吏屬(吏屬)을 任用하였으며, 李曙(吏胥) 또는 衙前 (衙前)이라 불리었다. 이와 같이 地方官廳의 不編成은 中央官署의 六曹 (六曹)와 相應하게 6房으로 되어 있었으나 地方의 특정한 房이 中央의 같은 相應組織(counterpart organization)인 弔意 直接的 統制나 서로 緊密한 聯關性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 卽 이들 地方官廳의 6房은 議政府와 6條와는 내·외직 間의 位階(位階)의 差異는 있었으나 直接的인 種的 命令系列이 確立되지는 않았으며 다만 道의 觀察使가 國王의 直接的인 指揮監督을 받고, 또 軍의 守令은 觀察使의 直接的인 指揮監督을 받았던 것이며 이들 6房은 各各 觀察使와 守令의 補助機關에 不過했다.

構成 [ 元本 編輯 ]

아래는 經國大典 (1485年) 編纂 時點이 基準이다.

京官職(京官職) [ 元本 編輯 ]

  • 漢城府(判尹:正2品) 1名
  • 開城府(留數:從2品) 2名 - 1名은 京畿 觀察使가 겸함

外官職(外官職) [ 元本 編輯 ]

8度(觀察使:從2品) 部(府尹:從2品) 大都護府
(大都護府使:正3品)
목(牧師:正3品) 都護府
(都護府使:從3品)
軍(郡守:從4品) 現(縣令:從5品) 現(縣監:從6品)
京畿 光州(廣州)·驪州·坡州
洋酒
水原·强化·富平·南陽
利川(利川)·仁川·장단
양근·풍덕·安山·삭녕
安城·麻田·高陽
龍仁·眞僞·영평·良賤·金浦 地平·抱川·適性·果川·衿川
교동·통진·橋下·漣川·음죽
陽性·陽地·加平·竹山
忠淸道 忠州·淸州·公州·紅酒 林泉·丹陽·靑風·泰安
閑散·西天·免賤·天安
瑞山·槐山·沃川·溫陽
問議 홍산·堤川·德山·平澤·稷山
回인·정산·청양·연풍·음성
청안·恩津·회덕·진잠·演算
離散(尼山)·大興·扶餘·石城
비인·남포·진천·결성·보령
해미·唐津·신창·豫算·목천
全義·延期·迎春·報恩·嶺東
황간·淸算·牙山
全羅道 全州 羅州·濟州·廣州(光州) 南原·長興·順天(順天)
潭陽
寶城·益山·古阜·靈巖
靈光·珍島·落雁·淳昌
錦山·鎭山·金堤·여산
昌平·龍膽·임피
만경·금구·能聲
光陽·龍眼·함열·扶安·咸平
强震·玉과·고산·태인·옥구
남평·흥덕·井邑·高敞·武裝
務安·求禮·谷城·長城·진원
雲峰·任實·長壽·鎭安·茂朱
冬服·和順·흥양·海南·隊正
正義
慶尙道 慶州 昌原·安東 尙州·眞珠·星州 金海·영해·密陽
先山·靑松·大邱
陜川·涵養·哨戒·淸道
永川(永川)·醴泉·永川(榮川)
흥해·蔚山·陽山·함안
김산·풍기·昆陽
盈德·慶山·東來·固城(固城)
巨濟·義城·南海
改令·居昌·삼가·의령·하양
龍宮·奉化·淸夏·언양·칠원
鎭海·河東·忍冬·進步·聞慶
檻倉·知禮·안음·高齡·玄風
산음·單性·軍威·飛雁·의흥
신녕·瘞安·英日·臟器·靈山
昌寧·私薦·기장·熊川
江原道 江陵 原州 淮陽·襄陽·春川·鐵原·三陟 평해·通川·旌善·固城(高城)
杆城·寧越·平昌
金星·蔚珍·흡곡 利川(伊川)·平康·金化·낭천
洪川·楊口·麟蹄·橫城·안협
黃海道 黃州·海州 沿岸·평산·서흥·風천 谷山·鳳山·安岳·載寧
수안·配天·莘川
新溪·甕津·文化·우봉 長連·松花·長淵·綱領
殷栗·江陰·토산
永安道(咸鏡道) 永興 安邊 京城·慶源·會寧·終聲
穩城·慶興·部令·北靑
德源·定評·甲山
三修·文川·高原·端川·咸興 弘遠·理性·吉星·明川
平安道 平壤 寧邊 按酒·정주·義州 江界·昌城·成川
朔州·숙천·구성
中華·上院·德川·개川·資産
加算·先天·곽산·鐵山·龍泉
順天(順川)·熙川·離散(理山)
碧潼·雲山·博川·委員·永遠
龍岡·三火·函鐘·領有
增産·三等·巡按·江西
陽德·孟山·泰川·강동·銀産
  • 永安道(咸鏡道)
    • 영흥부尹은 觀察使가 겸함
    • 鏡城都護府社는 北道節度使가 겸함, 北靑都護府使는 南道節度使가 겸함
  • 平安道
    • 平壤府尹은 觀察使가 겸함
    • 寧邊大都護府社는 節度使가 겸함

같이 보기 [ 元本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