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3次 朝鮮敎育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第3次 朝鮮敎育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3次 朝鮮敎育令 (第三次朝鮮敎育令)은 1938年 3月 公布한 日本의 植民地 敎育 政策이다.

施行 [ 編輯 ]

日本의 끝없는 侵略野慾은 自繩自縛이 되어 1930年代부터 軍國主義的 傾向으로 옮아가게 되었다. 1931年 9月 滿洲事變 을 일으켜, 1932年 初에는 滿洲에 ' 滿洲國 '을 세워놓고, 1933年 10月 國際 聯盟 에서 脫退하는 等 日本은 軍國主義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에 軍國主義者들은 韓國에 對해서도 敎育을 통한 民族抹殺(民族抹殺)政策을 使用하게 되었다.

1936年 8月 5日 우가키 가즈시게 가 물러나고 7代 總督으로 미나미 지로 가 就任하였다. 그는 1929-1936年까지 朝鮮軍司令官·日本陸軍大臣·關東軍司令官을 歷任한 字로, 日本 內에서도 戰爭擴大論者의 巨物이었다. 그는 1938年 3月 勅令 第103號로 第3次 '朝鮮敎育令'을 改正·發表하였다.

主要內容 [ 編輯 ]

  1. 校名을 改稱하였다. 從來 普通學校를 尋常小學校(尋常小學校), 高等普通學校를 中學校, 女子高等普通學校를 高等女學校라고 하였다.
  2. 敎育內容으론 日本語·日本史·受信·體育 等의 敎科가 强化되었다. 이때부터各級 學校에서는 學則介淨을 하여 敎育目的을 "…國民道德을 涵養함으로써 忠良有爲(忠良有爲)의 皇國臣民을 養成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라고 바꾸었다.
  3. 各級 學校의 朝鮮語 敎科目은 情과(正果)에서 獸醫科로 떨어졌다. 總督府는 될 수 있는대로 이를 敎育課程으로부터 除去하기 위하여, 特히 私立學校에 對하여는 過하지 않도록 하였다.
  4. 私立中學校 設立을 不許하였다. 總督府는 第3次 敎育令을 통하여 "內線(內鮮)人이 다같이 同一한 法規 밑에서 敎育을 받는 길을 연 所以"라고 하면서 1938年부터 1943年에 이르기까지 公立中學校 17橋, 公立高等女學校 22校를 新設하면서도 私立中學校 設置는 抑制하였다. 例를 들면, 黃海道 安岳(安岳)에 高等普通學校를 設立하려고 地方 維持 百餘 人이 50萬원의 基本金을 거둬서 設立認可를 請하였는데, 當局은 "公立으로 하라, 實業學校(實業學校)로 하라"고 拒絶하였다.
  5. 基督敎 系統 學校의 聖經 科目을 廢止시켰다.
  6. 朝鮮語를 選擇 科目化하였다.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