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모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第1言語 에서 넘어옴)

모어 (母語) 또는 母國語 (母國語) 或은 第1言語 ( 英語 : First Language )란 사람 이 태어나서 처음 習得하여 익힌 言語 를 뜻한다. 또한 모어는 人間 의 正體性 確立에 重要한 구실을 한다. [1] 이런 重要性 때문에 유네스코 ( UNESCO , 1999年 11月 17日)는 每年 2月 21日을 國際 母國語의 날 로 宣言하였다. 또한 어떤 言語를 母語로 쓰는 사람을 原語民 (原語民)이라고 한다.

2006年 2月 19日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에서 開催된 國際 모어의 날 記念大會 開幕式.

用語 整理 [ 編輯 ]

모어(母語)의 基準으로 아래와 같은 基準이 提示된다.

  • 태어나서 처음 習得한 言語에 기반할 것(origin)
  • 話者의 內的 正體性에 기반할 것(internal ID)
  • 話者의 外的 正體性에 기반할 것(external ID)
  • 話者가 가장 잘 아는 言語에 기반할 것(competence)
  • 話者가 가장 자주 使用하는 言語에 기반할 것(function)

모어(母語)와 母國語(母國語)가 意味 區別 없이 混用되어 쓰이는 일이 많으나, 嚴密한 意味에서 모어와 母國語는 다르다. 地球 上의 大部分 地域에서는 大韓民國과 같이 하나의 支配的인 言語가 쓰이는 境遇는 드물고, 多言語가 竝用되고 있다. 韓國에서는 母國語= 母國의 言語= 韓國語라는 等式이 成立하지만, 印度나 中國, 캐나다 같은 複數言語 共存 國家에서는 그 나라 國民의 모어와 母國語가 반드시 一致하지는 않는다. 母國語라는 表現을 쓰면 言語와 國家를 同一視하거나 言語에 國家正體性을 결부시키는 意味가 剛하게 된다. 모어는 英語 'Mother Tongue'의 譯語인데, 반드시 어머니로부터 말을 배웠을 境遇만을 가리켜 모어라고 하지는 않는다. 아버지나 다른 親戚, 또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배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모어의 某(母)는 'native'와 가까운 意味로 使用되고 있다.

第1言語(First Language)라는 用語는 言語學 用語로써 처음 習得한 言語라는 定義에 적합한 用語로 看做되나, 學術用語쪽에 가깝고 一般的으로는 자주 쓰이지 않는다. [2]

國語(國語)나 자국어(自國語)라는 말도 있는데, 國語 大韓民國 , 中華民國 에서 國家의 標準語로서의 이름으로 쓰인다.(또는 制限的으로 모어의 意味에 準한다는 意見도 있음) 자국어 라는 말은 他國語, 外國語와의 關係에서 相對的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以外에 固有語로는 탯말 이라는 表現도 있다. 모어는 꼭 하나의 言語에만 限定하는 것은 아니며, 두 個 以上의 言語를 母語로 習得하는 境遇가 있으며, 이런 境遇를 바이링區얼 (bilingual) 等의 用語로 表現한다.

外國語 [ 編輯 ]

外國語 (外國語)는 'foreign language'에 該當하는 말인데, 이 말의 文字 意味와 쓰임에도 多少間 問題가 있다. 一旦 習得한 모어 以外의 言語를 外國語 라고 부르는데, 이 表現도 言語를 國家와 결부시키고 있기 때문에, 國家와 言語가 一致하지 않는 境遇(캐나다 프랑스語圈에서 태어나 프랑스語를 母語로 익힌 사람이 "外國語"로 英語를 배울 境遇, 英語 는 "外國"御駕 아니라 캐나다의 "母國"어이機 때문에 意味上 맞지 않음)에는 쓰임이 語塞하다. 그러나, 모어와는 달리 외어(外語)같이 國家를 媒介로 하지 않는 表現은 大韓民國 에서 事實上 쓰이지 않고 있다. 言語學 用語로는 第2言語 (L2), 第3言語 (L3) 等의 用語를 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erri Hirst: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Childs First Language” . 2016年 3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2月 13日에 確認함 .  
  2. "K*The Native Speaker: Myth and Reality By Alan Davies ISBN   1853596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