濟州 양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濟州 양氏
濟州梁氏
나라 韓國
貫鄕 濟州特別自治道
時調 양을나 (良乙那)
中始祖 良順(梁洵)
主要 人物 梁彭孫 , 梁山甫 , 양유성 , 양응정 , 양산숙 , 양한묵 , 양기탁 , 양주동 , 양회경 , 量回收 , 양재봉 , 양달승 , 양정규 , 양영식 , 양영태 , 양삼승 , 양동관 , 양승숙 , 양형일 , 양회문 , 梁彰洙 , 양종수 , 梁香子 , 양석조 , 양학선 , 양원찬 , 양창윤 , 양치석
人口(2015年) 142,211名

濟州 양氏 (濟州梁氏)는 濟州道 를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時調는 耽羅(耽羅) 個國君王(開國郡王) 양을나 (良乙那)이다.

起源 [ 編輯 ]

耽羅 建國神話에 登場하는 세 新人(神人) 中의 한 名인 양을나 (良乙那)를 始祖로 한다. 《 高麗史 (高麗史)》 고기(古記)에 다음과 같이 記錄되어 있다. [1]

太初(太初)에 사람이 없었는데, 세 新人(神人)李 漢拏山 北쪽 기슭 某興穴(毛興穴)로부터 솟아 나왔다. 맏이는 양을나 (良乙那), 그 다음을 고을나 (高乙那), 셋째는 부을나(夫乙那)라고 했는데 세 사람은 狩獵을 하면서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었다. 어느날 나무 箱子가 東쪽 바닷가로 떠내려 온 것을 發見하고 나가서 열어 보니 그 안에 石函(石函)이 있고 붉은 띠에 紫朱빛 옷을 입은 獅子(使者) 한 사람이 따라와 있었다. 石函을 여니 푸른 옷을 입은 세 處女와 購讀(駒犢; 망아지와 송아지 等 家畜)과 五穀(五穀)의 種子가 있었다. 獅子(使者)가 "우리는 日本국(日本國)의 使臣입니다. 우리 王이 세 王女를 낳고 말하기를 「西海(西海)의 中岳(中嶽)에 信者(神子) 세 사람이 내려와 將次 나라를 열고자 하나 配匹이 없구나」 하고는 저에게 分付하여 세 딸을 모시고 여기에 오도록 한 것입니다. 마땅히 配匹로 삼아 大業(大業)을 이루십시오."라고 말한 後 忽然히 구름을 타고 가버렸다. 세 사람이 나이 順序에 따라 세 女子를 나누어 아내로 삼고서, 샘이 달고 땅이 肥沃한 곳으로 가서, 화살을 쏘아 땅을 占치고는 양을나 가 사는 곳을 第一도(第一都)라 하였고, 고을나 가 사는 곳을 제이도(第二都)라 하였으며, 부을나가 사는 곳을 第三道(第三都)라 하였다. 처음으로 五穀을 播種하고 家畜을 길러 나날이 富裕하고 子孫이 蕃盛하게 되었다.

15貸損에 兄弟 세 사람이 新羅에 照會하니 王이 큰아들을 星州(星主)라 부르고, 둘째 아들을 王子(王子)라 불렀으며, 막내아들을 道內(都內)라 불렀다. 邑號(邑號)는 耽羅(耽羅)라 하였는데, 이는 그들이 왔을 때 처음 耽津에 碇泊하였기 때문이다. 各其 寶蓋(寶盖)와 의대(衣帶)를 하사하고 돌려보냈다. 子孫이 蕃盛하면서 高(高)氏가 星州(星主)가 되고, 量(良)氏가 王子(王子)가 되며, 富(夫)氏가 道上(徒上)李 되었다. 後에 兩(良)을 量(梁)으로 고쳤다.

歷史 [ 編輯 ]

耽羅개國軍王(耽羅開國郡王) 양을나 (良乙那)의 後孫인 量탕(良宕)李 559年(眞興王 20年) 新羅에 使臣으로 豫防하여 兩(梁)氏를 下賜받았다고 한다.

中始祖 良順(梁洵)李 682年(신문왕 2) 新羅에 들어가 翰林學士(翰林學士)를 지낸 後 한라군(漢拏君)에 封해졌다고 한다.

分派 [ 編輯 ]

  • 讓步숭 (梁保崇) ▶ 遊擊公派 (遊擊公派)
  • 量龜尾 (梁龜美) ▶ 星州公派 (星主公派)

分館 [ 編輯 ]

本館 [ 編輯 ]

《三國遺事(三國遺事)》에 실린 解凍안홍기(海東安弘記)에 救한(九韓)을 列擧하였는데 乇羅(?羅)가 네 番째에 있다. 476年에 백제 문주왕 (文周王)李 耽羅國(耽羅國) 獅子(使者)에게 恩率(恩率)이란 벼슬을 주었다. 百濟 가 亡하니, 661年(文武王 元年) 耽羅 國主(耽羅國主) 佐平(佐平) 道童音律(徒冬音律)李 新羅에 降伏하였다. 1105年(高麗 肅宗 10年) 乇羅를 耽羅軍(耽羅郡)으로 改稱하였다. [2] 1416年(朝鮮 太宗 16年) 濟州목(濟州牧)李 設置되어 全羅道에 屬했다. 1946年 濟州道(濟州道)로 昇格하였고, 2006年 濟州特別自治道 로 昇格되었다.

主要 人物 [ 編輯 ]

  • 梁彭孫 (梁彭孫, 1488年 ~ 1545年) : 1516年 式年 文科에 甲科로 及第하여 정언(正言)·전랑·敎理(校理), 용담縣令(龍潭縣令) 等을 歷任했다.
  • 양응정 (梁應鼎, 1519年 ~ 1581年) : 1552年(明宗 7)·1556年 文科에 壯元 及第하여 宣祖 때 共助 參判 과 大司成을 歷任하였다.
  • 양천운(梁千運, 1568年 ~ 1637年) : 司馬試에 合格하여 監察(監察) 等을 거쳐 司贍寺主婦(司贍寺主簿)를 지냈다.
  • 양유성(梁有成, 1684年 ~ 1761年) : 1712年(肅宗 38) 武科에 及第하여 寶城郡數(寶城郡守)를 지냈다. 風采가 매우 遵守하였는데 風水(風水)의 고홍진(高弘進), 醫術(醫術)의 진국태(秦國泰), 복서(卜筮)의 문영후(文榮後)와 더불어 ‘耽羅謝絶(耽羅四絶)’이라 불렸다.
  • 양기탁 (梁起鐸, 1871年 ~ 1938年) : 大韓民國 臨時政府 主席 을 지냈다. <大韓每日申報> 主筆과 國債補償期成會의 總務로서 國權回復을 위한 愛國啓蒙運動의 有力한 指導者였다. 新民會의 總監督을 梁起鐸 先生이 맡고, 總書記에 李東寧, 財務에 전덕기, 執行은 安昌浩가 擔當하였다.
  • 양회경 (梁會卿, 1912年 ~ 1998年) : 大韓民國 大法官
  • 양정규 (梁正圭, 1933年 ~ 2011年) : 第7·9·12·14·15·16代 國會議員
  • 梁香子 (梁香子, 1967年 ~ ) : 第21代 國會議員
  • 양학선 (梁鶴善, 1992年 ~) : 2012年 夏季올림픽(30回 런던올림픽) 器械體操 男子 도마 種目 金메달리스트(體操種目 最初)

科擧 及第者 [ 編輯 ]

濟州 梁氏는 朝鮮時代 文科 及第者 14名, 武科 及第者 20名을 輩出하였다.

文科

양계벽(梁季璧) 양덕하(梁德厦) 양덕호(梁德浩) 양만용(梁曼容) 양봉래(梁鳳來) 양상기(梁相器) 양석관(梁奭觀) 양응정(梁應鼎) 양응정(梁應鼎) 양응태(梁應台) 양일위(梁日?) 양정명(梁井明) 양진손(梁震孫) 梁彭孫(梁彭孫)

武科

佯驚하(梁擎厦) 양기만(梁起萬) 양덕윤(梁德胤) 양명웅(梁命雄) 養蜂名(梁奉命) 양사숙(梁士淑) 양성표(梁聖表) 量時計(梁時啓) 양시흥(梁始興) 良心(梁沁) 양우級(梁禹及) 양운(梁澐) 양유성(梁有成) 양응정(梁應禎) 養鷹地(梁應池) 量應紅(梁應泓) 兩翼機(梁益沂) 양익표(梁益標) 양중욱(梁重郁) 洋紅發(梁弘發)

生員試

양거안(梁居安) 양거웅(梁居雄) 양견석(梁堅石) 陽달名(梁達溟) 양만용(梁曼容) 量産龍(梁山龍) 양상우(梁相瑀) 羊手中(梁守中) 양응정(梁應鼎) 양응태(梁應台) 양진남(梁軫南) 양찬진(梁燦晉) 陽天地(梁千至) 양천회(梁千會) 陽宅地(梁擇之) 梁彭孫(梁彭孫)

進士試

양경지(梁敬之) 양규호(梁圭浩) 양만용(梁曼容) 양명린(梁命麟) 量濛雨(梁夢禹) 양우철(梁禹轍) 양위남(梁渭南) 양진영(梁進永) 양천운(梁千運) 量天障(梁千章) 양치남(梁致南) 양학연(梁學淵) 양회익(梁會益)

集姓村 [ 編輯 ]

北韓 [ 編輯 ]

人口 [ 編輯 ]

  • 2000年 133,355名
  • 2015年 142,211名

量古阜 序列 論難 [ 編輯 ]

濟州 양氏, 濟州 高氏 , 濟州 夫氏 3星 順序는 古書마다 달리 表記됐다. 1281年 《 三國遺事 》, 1451年 《 高麗史 》, 1454年(端宗 2年) 《 世宗實錄地理志 》, 1484年 《 東國通鑑 (東國通鑑)》, 《耽羅期年》에는 量古阜(良高夫) 巡으로 쓰여 있지만, 영주지와 탐라지는 '高陽部'로 쓰고 있다.

1484年(成宗 15年) 刊行된 東國通鑑은 長曰良(章曰量)이라 하고 長爲良說(長位兩舌)李 굳어졌다. 1654年(孝宗4年)에 이원진(李元鎭) 牧師(牧使)도 三姓穴兆(三姓穴條)에 良高夫(量古阜)라고 썼고, 1703年(肅宗 29年)에 이형상(李衡祥) 牧師(牧使) 亦是 三聖祠(三姓祠) 上樑文(上樑門)에 量古阜(良高夫)로 썼다. 이때 祠宇(祠宇)를 完成하고 三神人(三神人)의 位牌(位牌) 順位를 定함에 있어서 三星新人 降生(三姓神人 降生)의 私的文獻과 國事를 널리 上告(詳考)韓 끝에 양을나(良乙那)를 第1位에 모시고 고을나(高乙那)를 第2位에, 부을나(夫乙那)를 第3位로 決定한 後 祭文(祭文)을 지어 位牌(位牌)를 모시고 祭祀를 올렸다. 英祖實錄에 依하면 英祖 5年(1771)에 고한준(高漢俊) 等이 主上(主賞)께 奏請하는 上疏文에도 良高夫(量古阜)로 썼다. 또한 李丙燾(李丙燾)著의 韓國史(韓國史)에도 良高夫(量古阜), 金泰能(김태능)著의 濟州島史論攷(濟州島司논고)에도 良高夫(量古阜)라 했으며 國史大事典(國師大辭典)·韓國事大事前 等에도 良高夫(量古阜)라고 記錄하였으며, 玄容駿(현용준)著 「濟州島神記(濟州島신기)」에도 良高夫(量古阜)라 收錄되어 있다.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