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제임스 1歲 (잉글랜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제임스 1歲 (잉글랜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제임스 6歲 에서 넘어옴)

제임스 6歲/1歲
James Charles Stuart
스코틀랜드 國王
在位 1567年 7月 24日 ? 1625年 3月 27日
戴冠式 1567年 7月 29日
前任 메리 스튜어트
後任 찰스 1歲
攝政
잉글랜드 國王
아일랜드 國王
在位 1603年 3月 24日 ? 1625年 3月 27日
戴冠式 1603年 7月 25日
前任 엘리자베스 1歲
後任 찰스 1歲
身上情報
出生日 1566年 6月 19日
死亡日 1625年 3月 27日
家門 스튜어트
父親 單利 警 헨리 스튜어트
母親 메리 스튜어트
配偶者 아나 애 單마르크
子女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보헤미아 王妃 엘리자베스
잉글랜드-스코틀랜드 王 찰스
宗敎 聖公會
墓所 런던 웨스트민스터 寺院
署名

제임스 1歲 (제임스 찰스 스튜어트, 1566年 6月 19日 ~ 1625年 3月 27日 )는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아일랜드 의 君主이었다. 1567年 7月 24日 스코트仁義 王 으로 卽位하여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歲 가 되었고, 1603年 3月 24日 엘리자베스 1歲 가 後嗣없이 死亡하자 잉글랜드 國王 을 繼承하여 잉글랜드의 제임스 1歲 가 되었다. [1] 當時 아일랜드 王國 의 國王은 잉글랜드 國王이 兼任하고 있었기 때문에 제임스 1世 亦是 잉글랜드 王位 繼承과 함께 아일랜드 國王을 겸하였다. 이로서 브리튼 制度 의 이 세 王國은 各自 獨自的인 議會가 있는 獨立的인 主權國 이지만 같은 君主가 君臨하는 同君聯合 을 이루게 되었고, 제임스의 스튜어트가 는 以前의 튜더家 를 代身하여 잉글랜드의 王家가 되었다. [2] 제임스는 스코틀랜드의 王位 序列에 따른 제임스 6歲보다 잉글랜드의 것을 따른 제임스 1歲로 불리는 것이 一般的이다.

제임스 1歲의 잉글랜드 國王 卽位는 線臺로 부터 오랫 동안 進行되고 있었던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사이의 複雜한 外交 關係의 産物이었다. [3] 잉글랜드와 持續的인 葛藤과 戰爭을 繼續하던 스코틀랜드의 스튜어트 王家는 헨리 7歲 의 딸 마거릿 튜더 제임스 4歲 의 아내로 맞아들여 和親을 맺었고, 夫婦는 後繼者인 제임스 5歲 를 낳았다. 그러나 두 王國은 以後로도 戰爭을 繼續하였고 제임스 4世와 5歲 모두 잉글랜드와 戰爭을 치르는 中에 死亡할 程度로 兩國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제임스 5世는 戰場에서 死亡하기 直前 自身의 後戒가 될 딸 메리 1歲 의 出生 消息을 들었다. [4] 메리 1世 亦是 波瀾萬丈하고 崎嶇한 運命을 겪었으나 헨리 7歲의 後孫으로서 잉글랜드의 王位 繼承權을 主張할 수 있는 位置였고 平生 엘리자베스 1歲 의 라이벌로 여겨졌다. 1567年 6月 스코틀랜드의 貴族들은 메리 1歲를 逐出하기 위해 反旗를 들었고 메리 1世는 잉글랜드로 亡命하였다. 이 過程에서 태어난 지 13個月에 不過하였던 메리 1世의 아들 제임스가 7月 24日 王位에 올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歲가 된다. 메리 1世는 잉글랜드에서 軟禁되어 監視를 받으며 사는 途中에도 再起를 위한 計劃을 꾸미다 發覺되어 1587年 2月 8日 處刑되었다. [5]

제임스가 幼年期를 보내는 사이 스코틀랜드는 4名의 攝政 에 依해 統治되었으며 제임스는 1578年에 親政을 할 수 있었다. 1589年 덴마크 王女 아나 와 結婚하였고 두 夫婦 사이에는 헨리 , 엘리자베스 , 찰스 와 같은 子女들이 있다. [6]

엘리자베스 1歲 時期의 잉글랜드는 國力이 크게 伸張되어 유럽의 새로운 强者로 떠올랐으나, 엘리자베스 1歲 本人은 結婚을 하지 않아 後嗣가 없었다. 1603年 튜더家의 마지막 君主였던 엘리자베스 1世가 死亡하자 스코틀랜드의 國王이자 헨리 7歲의 曾孫子였던 제임스가 잉글랜드의 王位를 繼承하게 되어 잉글랜드의 제임스 1世로 卽位하였다.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및 아일랜드의 세 王國 모두에서 國王으로서 君臨하게 되자 1617年 스코틀랜드를 訪問한 그는 스스로를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의 王"으로 稱하였는데 이 名稱은 後날 英國 의 正式 國號로 자리잡게 된다.

제임스 1世는 在位期間 동안 런던에 있으면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議會를 單一化 하고자 試圖하였으나 成功하지는 못하였다. 한便, 그는 아일랜드에서는 얼스터 地域에 對한 植民政策과 北아메리카 大陸 內의 잉글랜드 植民地 擴大를 推進하였다.

제임스의 스코틀랜드 在位 期間은 57年 246日로 스코틀랜드 國王 가운데 가장 길다. 제임스가 잉글랜드의 王位를 繼承瑕疵 끊임 없던 스코틀랜드의 不安 要素들은 大部分 解消되었지만, 以前까지 戰爭 相對였던 스튜어트가 를 새로운 王家로 받들게 된 잉글랜드人들의 反撥은 만만치 않았다. 1605年 火藥 陰謀 事件 은 占領軍으로 비추어진 스튜어트가를 認定하지 않는 暗殺 試圖였고, 이미 마그나 카르타 以後 오랜 傳統이 된 잉글랜드 議會 와 國王의 協治는 제임스 1世에게 不便한 것이었다. 그는 王權神授說 과 이에 따른 絶對王政 을 志向하여 議會와 反復的인 葛藤을 빚었다. 제임스의 이러한 性向은 後繼者 찰스 1歲 찰스 2歲 에게도 이어져 結局 內戰 革命 을 겪는 原因이 된다.

제임스 1世 治下의 잉글랜드는 繼續하여 蕃盛하였다. 文化 面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 존 던 , 벤 존슨 , 프란시스 베이컨 과 같은 作家들이 있었고 [7] 제임스 1歲 스스로가 《 惡魔론 》(1597年), 《自由 君主制의 참된 法律》(1598年), 《王權에 對한 助言》(1599年)과 같은 여러 作品을 著述한 作家이었다. [8] [9] 제임스 1世는 잉글랜드 內의 宗敎的 葛藤에 對한 對應으로 聖經 英語 로 飜譯하도록 하여 《 킹 제임스 聖經 》을 出刊하였다. 제임스는 잉글랜드 國敎會 를 中心으로 하는 宗敎的 統合을 圖謀하여 1604年 《 聖公會 祈禱書 》의 改訂版에 淸敎徒 의 要求 事項 一部를 받아들였다. [10]

제임스 1世는 固執이 세고 神經質的인 面이 있었고 正當한 主張이라 할 지라도 말할 때를 살피는 要領이 없었다. 이 때문에 제임스 1世는 한 때 프랑스의 앙리 4歲 를 가리키던 " 基督敎世界 에서 가장 賢明한 바보"라는 別名을 얻었다. [11] 當代人 17世紀부터 20世紀까지도 제임스에 對한 評價는 議會와의 不和와 國政 運營의 無能으로 잉글랜드 內戰의 背景을 만든 君主라는 것이 主流를 이루었지만, 20世紀 後半 以後 그의 平和를 維持하려던 努力과 宗敎的 寬容을 再評價하며 신중하고 思慮깊은 性格이었다고 보는 趨勢이다. [12] 제임스 1世는 유럽의 宗敎的 葛藤에 介入하는 것을 꺼렸고 特히 30年 戰爭 에서 中立을 지키려 努力하였다. 한便 議會는 가톨릭과 맞서는 改新敎를 支援하기 위해 스페인과 戰爭을 벌여야 한다는 强勁派가 漸次 浮上하였다. [13] 제임스 1世는 王世子였던 찰스 1歲를 스페인의 王女와 結婚 시켜 이 狀況을 打開하고자 하였으나 오히려 스페인의 冷待를 받아 失敗하였고, 그 代身 프랑스의 王女를 며느리로 맞게 된다. 1625年 3月 27日 제임스 1世가 死亡하자 찰스 1歲 가 王位를 이었다.

攝政 時期 [ 編輯 ]

出生 [ 編輯 ]

1574年 製作된 제임스의 幼年期 肖像畫.

제임스는 스코틀랜드의 메리 1歲 가 再婚한 男便 單利 警 헨리 스튜어트 사이에 낳은 외동아들이다. 메리 1世와 單利 卿은 모두 잉글랜드 헨리 7歲 의 딸이자 헨리 8歲 의 누나인 마거릿 튜더 의 孫子女이었는데,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歲 와 結婚하였던 마거릿 튜더는 제임스 4世가 戰爭 中 死亡하자 앵거스 伯爵 아치볼드 더글러스 와 再婚하여 單利 京義 家門에서도 할머니가 되기 때문이다.

메리1世와 單利 警 夫婦는 스코틀랜드가 處한 안팎의 어려움 때문에 困難을 겪었다. 잉글랜드와 戰爭을 하며 제임스 4世와 5歲 두 國王이 年 이어 戰爭 中에 死亡하였던 스튜어트가는 여러 面에서 프랑스 王家에 依支하여 때로는 亡命地로 삼았고 때로는 軍事的 援助를 받으면서 로마가톨릭 을 받아들였다. 더욱이 메리 1世는 幼年期를 프랑스에서 亡命하며 보냈고 프랑수아 2歲 와 婚姻하여 한 때 프랑스의 王妃로 지냈기 때문에 가톨릭 信仰을 지니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當時 스코틀랜드는 長老敎 가 多數를 占한 改新敎 國家였고 議會 亦是 長老敎가 掌握하고 있었기 때문에 끊임 없이 叛亂에 시달려야 하였다. 이들의 結婚은 政略的인 選擇이었기 때문에 사이가 그리 좋지 않았다. [14] 單利 卿은 叛軍과 祕密裏에 共謀하여 메리 1歲의 個人 祕書였던 이탈리아 出身의 다비드 리치誤 를 殺害하였다. [15] 當時 메리 1世는 妊娠 中이었고 석 달 뒤 제임스를 出産하였다.

제임스는 1566年 6月 19日 에든버러性 에서 태어났다. 長男이었던 제임스는 스코틀랜드 君主의 後繼者 에게 自動으로 附與되는 로스視 工作 , 스코틀랜드의 王子,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總管理人의 地位를 받았다. 제임스의 出生 5日 後 잉글랜드의 外交官 헨리 길리그루는 아직 몸이 回復되지 않아 奸臣이 입을 열 수 있었던 메리 1歲를 謁見할 수 있었다. 그는 "아기가 乳母를 빨고 있었고 健康해 보였으며 훌륭한 王子임을 證明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記錄하였다. [16] 제임스는 1566年 12月 17日 스털링性 에서 가톨릭 前例에 따라 洗禮를 받았다. 代父母 는 프랑스의 샤를 9歲 ,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歲 , 사보이 工作 에마누엘레 필리베르土 이었으며 이들을 代身하여 外交 使節들이 洗禮式에 參加하였다. 메리 1世로부터 平素 "곰보 聖職者"라 불렸던 세인트엔드루의 大主敎 존 해밀던이 洗禮를 執典하였고, 메리 1世는 當時 慣習에 따라 大主敎가 아이에게 침을 뱉는 것을 拒否하였다. [17] 아마도 아이에게 天然痘가 옮겨질까 두려웠을 것이다. 洗禮式 記念 宴會에서 프랑스 사람 바스티앙 파게가 考案한 假裝行列이 社티로스 扮裝을 하고 登場하였고 잉글랜드 側은 이를 自身들에 對한 侮辱으로 받아들여 火를 냈다. [18]

이듬해인 1567年 2月 10日 제임스의 生父 單利 驚異 살해당하였다. 아마도 다비드 리치오를 죽인 것에 對한 復讐였을 것이다. 제임스는 單利 京義 作爲였던 올버니 工作 과 로스 伯爵의 地位를 承繼하였다. 이미 스코틀랜드人 사이에서 反撥이 컸던 메리 1歲가 單利 警 事後 殺害의 背後로 指目되던 보스웰 伯爵 제임스 헵번과 再婚하자 叛亂이 일어났다. 1567年 6月 改新敎를 信奉하는 貴族들이 主軸이 된 叛軍이 메리 1世를 逮捕하여 로츨레븐성에 가두었다. 이 때 갖 돐을 맞은 제임스는 어머니와 떨어졌고 다시는 만날 수 없게 되었다. 貴族들은 메리 1世에게 兩位를 强要하였고 1567年 7月 24日 生後 13個月의 제임스가 메리 1歲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의 國王이 되었다. 國王이 너무 어렸기 때문에 제임스 5歲의 私生兒였던 머레이 伯爵 제임스 스튜어트가 攝政 이 되었다. [19] 이로서 스코틀랜드는 세 番이나 갖태어난 아기가 君主로 卽位하는 狀況을 맞게 되었다.

攝政 [ 編輯 ]

제임스는 마르 伯爵 夫婦에게 맡겨졌고 [20] 그들은 스털링性에서 비밀스럽게 育兒를 하였다. [21] 1567年 7月 29日 性柔를 바르는 戴冠式 이 열렸고 제임스는 스코틀랜드 國王이 되었다. [22] 戴冠式은 長老敎에 依해 進行되어 존 녹스 가 說敎를 하였다. 以後 제임스는 스코틀랜드 敎會 徹底한 敎育을 받으며 長老敎 信者가 되었다. 스코틀랜드 樞密院은 조지 뷰캐넌 , 피터 영, 에덤 어스킨, 데이비드 魚市킨과 같은 人物들을 제임스의 敎師로 임명하였다. [23] 首席 敎師였던 뷰캐넌은 當時의 敎授 慣習대로 어린 王을 때리며 訓育하였지만, 同時에 제임스가 平生 文學과 學問에 對한 熱情을 갖게 하였다. [24] 뷰캐넌은 後날 《스코트人의 正當한 王權아래》에서 그가 "神을 두려워하는 改新敎徒이자 君主制의 限界를 받아들이는 國王"을 기르고자 하였다고 밝혔다. [25]

1568年 메리 1世는 로츨레븐성을 脫出하여 王座를 되찾고자 하였으나 攝政인 머레이 伯爵이 이끄는 軍隊와 벌인 랭사이드 戰鬪에서 敗北하자 잉글랜드로 亡命할 수 밖에 없었다. 當時 잉글랜드에는 平生 라이벌 關係였던 엘리자베스 1歲 가 王座에 있었고 메리 1世는 곧바로 軟禁되었다. 1570年 1月 23日 스코틀랜드의 攝政 머레이 伯爵이 暗殺되자 [26] 제임스의 親祖父였던 레녹스 伯爵 매슈 스튜어트 가 攝政이 되었지만 이듬해 메리 1歲의 支持者로부터 襲擊을 받아 重傷을 입었다. [27] 다시 攝政의 자리는 마르 伯爵에게 넘어갔으나 그는 모턴 伯爵 제임스 더글라스의 宴會에 參席하였다가 "深刻한 病에 걸려" 1572年 10月 28日 스털링性에서 死亡하였다. [28]

마르 伯爵의 攝政 자리는 바로 모턴 伯爵이 이었다. 그는 只今까지 잦은 不和를 입은 攝政들과 달리 有能하였지만 [29] 탐욕스런 行跡으로 敵을 만들었다. [30] 제임스의 親父인 單利 京義 四寸이자 레녹스 伯爵의 爵位를 받은 프랑스 出身의 에스메 스튜어트가 스코틀랜드에 入國하여 제임스의 銃身으로 자리잡자 모턴 伯爵은 急速히 影響力을 잃었다. [31] 1579年 10月 19日 이제 갖 13歲가 된 제임스는 에딘버러에서 入城式을 갖고 成年이 되었음을 宣布하고 親政을 하게 되었다. [32] 제임스는 攝政이었던 모턴을 親父 殺害의 背後로 疑心하고 있었고 1581年 6月 2日 處刑하였다. [33] 같은 해 8月 8日 제임스는 레녹스 伯爵을 工作으로 昇格하였다. 그는 當時 스코틀랜드에서 唯一한 工作이었다. [34] 15歲가 된 제임스는 1年 餘 동안 레녹스의 影響 아래 있었다. [35]

스코틀랜드 統治 時期 [ 編輯 ]

1586年, 20歲의 제임스

레녹스는 스코틀랜드로 入國하면서 改新敎로 改宗하였지만, 그가 받던 國王의 寵愛에 不滿을 품었던 長老敎 貴族들은 둘 사이에 "肉體的 情慾"이 있을 것이라 疑心하였다. [30] 1582年 8月 고우리 伯爵 윌리엄 루스벤과 앵거스 伯爵 아치볼트 더글라스는 제임스를 루스벤性으로 誘引하여 가두었고 [36] 레녹스 工作을 國外로 追放하였다. 스코틀랜드 宗敎改革 의 主導者이자 제임스가 直接 임명한 王室 牧使였던 존 크레이그는 1582年 9月 19日 說敎에서 "王께서 울었다"고 목소리를 높이며 會衆을 꾸짖었다. [37]

1583年 6月 27日 제임스는 포클랜드에서 脫出하였고 [38] 스코틀랜드에 對한 더 많은 統制權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그는 스코틀랜드 敎會에 對한 王室의 統制를 强化하기 위한 法律을 公表하고 自身의 個人 敎師였던 뷰캐넌의 主張을 非難하였다. [39] 1584年에서 1603年 사이 제임스는 效率的인 政府를 構成하고 西레스턴과 존 마이瑟랜드의 支援을 받으며 貴族들과 比較的 安定的인 平和를 이룰 수 있었다. [40] 1596年 여덟 名의 貴族들로 構成된 팔人會가 構成되어 國家의 財政을 맡았다. 그러나 1年 만에 에딘버러에서 이들을 가톨릭주의者라며 反對하는 暴動이 일어났고 제임스가 宮廷을 린리스고右로 옮기면서 解散되었다. [41]

1600年 8月 國王을 拉致하려는 試圖가 다시 일어나면서 제임스는 루스벤 一家에게 暴行당했다. [42] 그러나 제임스의 銃身이었던 존 램지가 이들을 죽임으로서 이 番의 拉致 試圖는 不發되었다. 루스벤가는 제임스가 自身들에게 많은 金錢的인 빚을 지고 있다고 主張하였지만, 이는 自身들의 行動을 正當化하기 위한 핑계일 可能性이 높다. 어찌되었든 當事者들이 모두 死亡하자 金錢 問題에 對한 眞僞는 밝힐 方法이 없게 되었다. [43]

1586年 2月 8日 제임스의 母后인 메리 1世는 잉글랜드에 對한 역모죄로 處刑되었다. 제임스는 이 處刑을 "터무니없고 異常한 節次"라며 憤怒했지만, 돐이 지난 以後 만나본 적도 없고 자라면서 生父 單利 京義 殺害 背後라고 알고 있던 어머니의 죽음에 個人的인 슬픔을 느끼지는 않았다. 오히려 메리 1歲의 죽음은 제임스의 王位를 굳건히 하는 結果를 가져왔다. 이 해 7月 6日 제임스는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世와 베릭 條約 을 採決하고 和親을 맺었다. 엘리자베스는 베릭 條約에 和答하여 제임스에게 每年 補助金을 보내 그가 스코틀랜드를 掌握할 수 있도록 도왔다. [44] 이 즈음 엘리자베스 1世는 제임스를 自身의 後繼로 豫定한 듯 하다. 스스로도 後嗣가 없었고 王位 繼承 順位에서도 가장 가까운 血族이 제임스였기 때문이다. [45] 1588年 잉글랜드가 스페인 無敵艦隊 와 싸울 危機를 맞자 제임스는 엘리자베스에게 "陛下의 親아들이자 同胞"로서 支持를 보냈다. [46]

結婚 [ 編輯 ]

單마르크의 아나. 1605年 무렵 존 드 크리츠 가 그린 肖像畫.

國王이 여러 名의 政府를 두는 것은 當時 유럽에 蔓延하였던 慣習이었지만, 제임스는 젊었을 때부터 女性에게 거의 關心을 보이지 않아 純潔하다는 評判을 얻었다. 그러나 제임스는 事實 게이 性向이 있었고 레녹스를 잃은 後에도 여러 男性 同伴者를 두었다. [47] 個人的 性向과는 相關 없이 제임스는 王權 强化를 위해 結婚하여야 하였다. 제임스의 相對는 改新敎 왕가인 덴마크 프레데리크 2歲 의 딸 아나 애 單마르크 王女 였다. 1589年 8月 스코틀랜드의 使節이 코펜하겐 에 當到하여 代理 結婚 을 치렀을 때 아나의 나이는 14歲에 不過하였다. 使節團은 새 王妃를 모시고 스코틀랜드로 向했지만 暴風을 만나 노르웨이 海岸에 碇泊하였다. 이 消息을 들은 제임스는 3百 名의 隨行員을 이끌고 리스 에서 出港하여 노르웨이로 向했다. [48] 이 航海는 當時 유럽에서 매우 浪漫的인 이야기로 퍼졌다. 둘은 11月 23日 오슬로 主敎宮에서 結婚式을 올렸다. 아나는 7萬5千 덴마크 리그스달러 를 持參金으로 準備하였고 아나의 어머니 조피 秋 메클렌부르크귀슈트로프 貢女 가 別途의 1萬 달러를 祝儀金으로 내놓았다. [49] 제임스와 아나는 헬싱외르 에서 暫時 머물다 코펜하겐 에 들러 튀코 브라헤 를 만난 뒤 1590年 5月 1日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50] 남아 있는 記錄을 볼 때 夫婦는 琴瑟이 좋았다. 제임스는 아나에게 愛情을 보였고 忍耐心있는 모습으로 對했다. [51] 夫婦의 長男이자 王世子였던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이 疾病에 걸려 1612年 18歲의 나이로 死亡하자 王世子의 자리는 동생 찰스 에게 승계되었다. 두 兄弟 사이에는 딸 엘리자베스 가 있었고 後날 보헤미아 로 시집갔다. 아나는 1619年 3月 死亡하였다.

魔女사냥 [ 編輯 ]

제임스는 덴마크를 訪問하였을 때 當時 流行하던 魔女사냥 을 目擊하였고 [52] , 魔法 이 惡魔의 使役이라는 神學的 觀點을 지니게 되었다. [53] 1563年 魔法 禁止法이 制定되었고, 그 해 스코틀랜드에서는 史上 最大 規模의 魔女사냥이 進行되었다. 이들 中에 一部는 國王의 船舶이 暴風을 만나게 詛呪하였다는 嫌疑로 有罪를 받았는데 代表的인 事例로 아그네스 샘슨 이 있다. [54]

1597年 제임스는 魔法 行爲에 反對하는 《 惡魔론 》을 著述하였다. 後날 셰익스피어는 《 맥베스 》에서 이 冊의 많은 句節을 利用하였다. [55] 제임스는 魔女로 起訴된 女性들의 拷問을 直接 監督하기도 하였다. [55] 1599年 以後 제임스는 魔女사냥에 懷疑를 품게 되었고 [56] 後날 잉글랜드에서 아들 헨리에게 쓴 便紙에는 "네가 發見한 魔女에 對한 小小한 造作에 對해서. 나 亦是 發見한 그러한 發見들을 네가 이어받기를 神께 企圖한다. …… 大多數의 奇跡은 오늘날 그저 幻想일 뿐이었다고 證明되었고 너는 이를 통해 判事들이 이들에 對한 非難을 信賴하는 데 얼마나 조심스러워야 하는 지 알아야 할 것이다."라고 적었다. [57]

高原과 島嶼 地域 [ 編輯 ]

헤브리디스 諸島 의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은 오랫동안 노르드게일인 圖書 榮州 들의 領地였다. 1493年 제임스 4歲 가 이들의 作爲를 解除하자 이에 反撥하는 叛亂이 들끓었다. 제임스 4世는 이를 鎭壓하였으나 以後 이 地域에 對한 統治 能力은 不足하였고 意志도 없었다. 그 結果 16世紀 동안 叛亂의 時期라 불릴 만큼 어지러운 狀況을 맞았다. [58] 스코틀랜드의 北西部 高原地帶 게일人 들이 모여사는 게일턱크 를 形成하고 있었고 宗敎改革은 스코트人 들이 密集해 사는 中部地域과 달리 느리게 傳播되고 있었다. [59]

1540年 제임스 5歲 는 클랜의 代表들에게 同行을 强要하여 헤브리디스 制度를 巡訪하면서 이 地域을 안정시키고자 하였지만, 얼마지나지 않아 클랜들을 다시 서로 싸우기 始作하였다. [60] 이러한 狀況은 제임스 6歲의 統治 期間에도 달라지지 않았고 스코틀랜드의 公式 文書는 高原地帶 사람들을 "野蠻的"이며 "信仰이 없다"고 描寫하고 있었다. [61] 제임스 4世는 게일어 를 流暢하게 驅使하였고 이는 아마도 제임스 5歲 亦是 마찬가지 였을 것이지만, 제임스 6歲 時代에 이르러 게일語는 "아일랜드語"로 불려 外國語로 取扱되었음을 暗示한다. 스코틀랜드 議會는 高原地帶 클랜들의 宗敎改革 不振의 原因이 게일어 使用에 있다고 보고 이를 廢止하려 試圖하였다. [62]

1609年 ~1625年 사이 鑄造된 스코틀랜드 金貨

이러한 背景에 속에서 제임스 6世는 1598年 파이프 의 貴族들로 構成된 파이프 神社 冒險臺 의 "가장 野蠻的인 루이스섬 "을 문명화하겠다는 植民計劃을 承認하였다. 제임스는 地域 住民들을 "合意가 아닌 惡習의 根絶"로 다루라고 하였다. 式民家들은 스토너웨이 에 上陸하였으나 무르도크와 네일 맥레오드가 이끄는 地方 軍隊에 依해 逐出되었다. "冒險臺"는 1605年에 再次 試圖하였으나 같은 結果를 맞았고 1607年 세 番째 試圖에서야 橋頭堡를 確保할 수 있었다. [63] 1609年 公表된 아이오나 勅書 는 클랜의 代表가 高原地域에 開設되는 改新敎 牧師를 支援하도록 强制하였고, 吟遊詩人을 不法化하였으며, 履行 結果를 定期的으로 에든버러에 報告하도록 하였다. 클랜의 代表는 後繼者를 스코틀랜드 低地帶 로 보내 英語를 使用하는 改新敎 學校에서 敎育을 받도록 하여야 했다. [64] 이로서 "게일語의 根絶, 傳統 文化의 破壞 및 그 保有者에 對한 彈壓을 특별한 目的으로 하는" 過程이 始作되었다. [65]

北方 軍도 의 榮州이자 제임스 6歲의 四寸이었던 오크니 伯爵 패트릭 스튜어트가 아이오나 勅書에 反撥하다 投獄되었고 [66] 그의 親아들 로버트는 叛亂을 일으켰다 鎭壓되어, 오크니 伯爵 富者는 絞首刑에 處해졌다. [67] 그들의 影池는 沒收되어 오크니 諸島 셰틀랜드 諸島 는 王室의 所有가 되었다. [67]

王權神授說 [ 編輯 ]

1597에서 1598年 사이 제임스는 《自由 君主制의 참된 法律》과 《王權에 對한 助言》을 執筆하였다. 《참된 法律》에서 제임스는 王權神授說 을 主張하였고 [68] 國王은 特權 으로 새로운 法令을 制定할 수 있으며, "君主가 惡政을 펼칠 때 災殃을 내리는" 神에게 責任을 질 뿐이라는 絶對主義 를 正當化하고자 하였다. [69]

《王權에 對한 助言》은 當時 네 살이었던 王世子 헨리의 敎育서로 執筆된 것으로 보다 實用的인 指針들을 담고 있다. [70] 이 글은 제임스의 文章力을 보여주는 事例로 評價된다. [71] 제임스는 議會를 單純히 宮廷의 一部로 理解하고 있었고, 이는 以後 잉글랜드 國王으로 卽位 한 뒤 當面하였을 議會와의 葛藤을 豫告하고 있다. 제임스는 "새로운 法令을 制定할 必要가 없다면 議會는 開催하지 말라"고 後繼者에게 助言한다. [72] 《참된 法律》에서 제임스는 모든 領地가 國王이 먼저 있고 나서 敍任에 따라 分配되었기 때문에 本質的으로는 國王의 所有였으며, 法律 亦是 國王이 創始者이자 制定者이므로 君主가 優先한다는 論理를 폈다. [73]

文藝 振興 [ 編輯 ]

攝政 時期를 마치고 親庭에 나선 1580年代와 1590年代 동안 제임스는 自國의 文學 振興을 强調하였다. 그는 18歲였던 1584年 《스코틀랜드 詩文學에서 遵守하고 避해야할 몇 가지 規則과 注意事項》을 發表하여 스코트어 詩文學에 르네상스的인 原則을 適用시키고자 하였다. [74] 제임스는 또한 音樂 敎育 改革에도 關心을 보였다. [75]

제임스는 윌리엄 파울러, 알렉산더 몽고메리 等의 詩人과 音樂家를 宮廷에 불러 모았고 이들은 델포이 카스탈리아 샘물에 모였다는 뮤즈 로 빗대어져 캐스탈리안 밴드 로 불리며 자코鄙諺 時代 를 代表하였다. 제임스는 特히 알렉산더 몽고메리를 寵愛하였다. [76] 제임스 스스로가 詩 짓기를 좋아하여 이들과 어울렸다. [77]

1590年代 後半에 이르러 제임스가 잉글랜드 王位를 繼承할 可能性이 높아지자 스코틀랜드 文學 傳統에 對한 擁護는 시들해졌고 [78] 윌리엄 알렉산더를 비롯한 宮中 詩人들은 英語로 글을 쓰기 始作하였다. 이들은 1603年 제임스의 잉글랜드 王位 繼承과 함께 런던으로 따라갔다. [79] 잉글랜드에서도 제임스는 文學의 振興과 後援에 積極的이었지만 [80] 스코틀랜드 文學은 더 以上 그의 關心事가 아니었다. [81]

잉글랜드 王位 繼承 [ 編輯 ]

제임스의 잉글랜드 卽位로 王室의 紋章은 튜더의 薔薇와 스코틀랜드의 엉겅퀴를 折半씩 나타낸 것으로 바뀌었다.

1601年 엘리자베스 1歲의 銃身이자 잉글랜드의 總理였던 로버트 세실 은 後繼 問題 上衣를 위해 제임스와 祕密裏에 書信을 주고받기 始作하였다. [82] 1603年 엘리자베스 1世가 危篤해지자 세실은 제임스에게 卽位 宣言文 草案을 보냈다. 3月 24日 이른 아침 엘리자베스 1世가 死亡한 뒤 제임스는 런던에서 새 王으로 宣布되어 잉글랜드의 제임스 1世가 되었다. [83] [84]

1603年 4月 5日 에든버러를 떠나면서 제임스는 3年마다 돌아오겠다고 約束하였지만 이 約束은 지켜지지 않았다. 잉글랜드에 들어서자 地域 領主들이 길을 따라 나와 歡待하였고 제임스는 自身이 새로 卽位하게 된 領地의 富裕함을 보고 "돌로 된 소파에서 자다가 깃털 이불을 덮은 寢臺로 바뀌었다"고 놀라움을 나타내었다. 그는 5月 7日 런던에 到着하였고 [83] [85] 臣民들이 모여들어 歡呼하자 새로운 承繼에 反撥이 크지 않다는 事實에 安堵하였다. [86] 런던의 住民들은 새 國王을 보기 위해 수 없이 몰려들었다. [87]

7月 25日 웨스트민스터 寺院 에서 제임스의 戴冠式이 擧行되었다. 間歇的으로 發生하는 黑死病 猖獗때문에 祝祭가 制限되어 있던 런던은 오랫만에 사람들로 북적였다. 1604年 3月 토머스 데커 벤 존슨 같은 劇作家들이 제임스의 卽位를 祝賀하며 《王室의 런던 入城》을 發表하였고 [88] 여기서 데커는 제임스의 런던 入城을 "거리는 男子들로 매워지고 露店商 마다 아이들이 몰려들고 窓門마다 女子들이 얼굴을 내밀고 구경하였다"고 描寫하였다. [89]

그러나 제임스 卽位 當時 잉글랜드는 많은 問題를 안고 있었다. 貿易의 獨占과 무거운 課稅가 廣範圍한 不滿을 불렀고 아일랜드와 있었던 戰爭의 費用 때문에 政府는 40萬 파운드의 負債를 지고 있었다. [90]

잉글랜드 統治 初期 [ 編輯 ]

1605年 무렵의 肖像畫 그림에 表現된 尖晶石 으로 만든 帽子의 裝身具 "三兄弟 保釋"은 消失되어 傳해지지 않는다.

잉글랜드의 모두가 제임스를 歡待한 것은 아니었다. 卽位한 해인 1603年부터 國王 市域 陰謀가 있어 바이 陰謀 메인 陰謀 가 摘發되었고 한 때 엘리자베스 1歲의 銃身이었던 월터 롤리 等이 이 陰謀에 連累되어 處刑되었다. [91] 새로운 國王의 卽位로 政府의 變化를 期待하였던 사람들은 그가 細實果의 密約대로 前代의 樞密院 을 그대로 維持하자 失望하였지만 [91] 제임스는 얼마 지나지 않아 오랜 後援者였던 헨리 하워드와 그의 조카 토머스 하워드, 그리고 스코틀랜드 貴族 다섯 名을 樞密院에 追加하여 親政體制를 强化하였다. [91]

엘리자베스 1歲 末年부터 제임스와 連絡을 주고받던 세실은 如前히 政府의 日常的 運營을 맡았고 솔즈베리 伯爵으로 昇格되었다. 宮廷의 總理이자 司法官人 大法官 토머스 색빌 을 起用하였다. [91] 이로서 잉글랜드 內政 問題를 銃身에게 넘긴 제임스는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統合과 各國과의 外交 問題에 集中할 수 있었고, 餘暇도 즐길 수 있었다. 그는 特히 사냥을 즐겼다. [91]

1530年代 헨리 8歲 時期에 웨일스 는 이미 잉글랜드에 完全히 合倂되었고 아일랜드 의 君主 亦是 잉글랜드의 國王이 兼任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君主인 제임스가 잉글랜드의 王位를 繼承하자 세 王國은 모두 같은 君主가 君臨하는 同君聯合 을 이루게 되었다. 제임스는 이를 바탕으로 세 나라를 아예 單一한 議會와 法律이 適用되는 單一國家로 統合하고자 하였지만, 移轉 부터 잉글랜드를 警戒해 온 스코틀랜드는 勿論이고 지난 時期 줄곧 스코틀랜드 侵攻을 試圖하였던 잉글랜드에서 조차 反對에 부딪혔다. [92] 제임스는 잉글랜드 議會 에 "우리는 모두 같은 섬에 살고 있지 않나"면서 自身을 "그레이트 브리튼의 王"으로 宣布할 것을 要求하였으나 1604年 4月 下院은 旣存의 法律을 根據로 拒否하였다. 그러나 그해 10月 제임스는 議會의 拒否에도 不拘하고 獨斷的으로 自身을 "그레이트 브리튼의 王"으로 부르도록 하였다. 프란시스 베이컨 은 잉글랜드 法律 어디에도 "推進, 導入 또는 保證"이라는 用語를 使用하지 않는다면서 제임스의 稱號 亦是 잉글랜드 法令에서 使用될 수 없다는 見解를 傳했다. [93] 그러자 제임스는 自身의 影響力이 보다 剛하게 作用하는 스코틀랜드 議會에게 이 稱號를 使用하도록 强要하였고, 두 王國의 鑄貨 製造, 宣言文, 條約 等에 明記하도록 하였다. [94]

제임스의 國政은 內治보다 外交에서 成果가 있었다. 1604年 8月 제임스는 20年 가까이 이어진 잉글랜드-스페인 戰爭 을 終熄하는 平和條約을 採決하였다. [95] 그러나 스페인이 要求한 가톨릭 敎徒에 對한 宗敎의 自由 保障은 제임스에게 끊임없는 딜레마였다. 밖으로는 스페인과 프랑스 等으로부터 가톨릭 彈壓에 對한 不信을 받는 사이 안에서는 樞密院을 中心으로 제임스의 宗敎 寬容冊에 對한 反對의 목소리가 强했기 때문이다. [96]

火藥 陰謀 事件 [ 編輯 ]

가이 포크스 等의 가톨릭 교도 몇몇은 제임스의 卽位에 對해 改新敎의 國家 掌握이자 스코인의 잉글랜드 占領으로 여겼다. 이들은 잉글랜드 議會의 두番째 회기 開院 前날인 1605年 11月 5日 밤 議事堂 建物 地下에 火藥을 잔뜩 넣어두었다가 發覺되었다. 제임스는 王室과 國家의 構成員 大多數가 犧牲될뻔한 일에 매우 놀랐다. [97] 火藥 陰謀 事件 의 事前 摘發 消息은 빠르게 번져나갔다. 제임스는 이를 오히려 自身에 對한 支持를 올리는 素材로 使用하였고, 솔즈베리 伯爵이 된 세실은 이를 利用하여 議會의 豫算 增大를 실현시킬 수 있었다. [98] 失敗한 陰謀에 連累된 포크스와 다른 사람들은 處刑되었고 [99] 後날 잉글랜드에는 여기에서 비롯된 가이 포크스의 밤 祝祭가 열리게 되었다.

議會와의 關係 [ 編輯 ]

國王과 議會가 攻滅할 수 있었던 火藥 陰謀 事件 以後 둘은 異例的인 協力 關係를 보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葛藤 樣相을 보였다. 君主와 議會 사이에 敵對感이 形成된 것은 아니었지만 서로의 立場을 理解하려는 態度는 不足하였다. [100] 1604年 7月 7日 議會의 閉會 演說에서 제임스는 國家들의 完全한 統合도 豫算의 增大도 同意하지 않은 議會에 對해 不滿을 털어 놓았다. 그는 "고마워할 줄 모르는 곳에 感謝를 표하지는 않을 것"이며 "나는 바보를 稱讚할 만큼 雅量이 있지도 않기" 때문에 "當身들에게 주어진 自由를 앞으로는 보다 謙遜하게 使用하여야 할 것"이라고 演說하였는데 [101] 이는 앞으로 있을 議會와의 持續的인 葛藤을 豫告한 것이었다.

제임스는 統治 期間 내내 漸漸 財政的 壓迫에 몰렸다. 제임스의 卽位 初期 王室이 直轄 領地에서 얻는 收益은 年間 35萬 파운드 程度였다. 이는 잘만 使用하면 戰爭을 벌이지 않는 限 그럭저럭 宮廷을 運營할 수 있을 程度의 金額이었지만 17世紀 동안 유럽 全體에서 일어난 인플레이션 으로 인한 貨幣 價値 下落이 財政 壓迫의 原因으로 作用하였다. 以後 王室의 直轄 輸入은 持續하여 늘어났지만 제임스는 씀씀이가 放蕩했고 財政 管理에도 無能했다. [102] :348-349 1610年 2月 세실은 議會에 王室 所有地 10個를 政府에 讓渡하는 對價로 王室의 負債를 蕩減하기 爲해 一時拂 60萬 파운드의 金額과 年間 20萬 파운드의 基金을 要求하였으나 議會는 會期 내내 이의 承認을 미루며 지루한 協商을 이어나갔다. [103] 結局 忍耐心이 바닥난 제임스는 1610年 12月 31日 議會를 解散하였다. 그때까지 協商을 이끌었던 세실은 "쓰디 쓴 쓸개汁에서 單 꿀을 끌어낼 수 있다고 期待했냐"면서 이를 "陛下의 가장 큰 失策"이라고 非難하였다. [104] 그러나 議會의 召集과 遲遲不進한 協商, 그리고 제임스의 解散 宣言은 以後로도 反復되어 1614年 召集된 議會는 9週 만에 解散되어버렸다. [105] 제임스는 以後 1621年까지 議會없이 獨斷으로 統治했지만 잉글랜드는 이미 議會의 同意없이 새로운 稅金 項目을 新設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다른 方式으로 財政 問題를 解決하려 하였다. 제임스는 利潤에 밝은 商人 라이오넬 크랜필드를 管理로 雇用하는 한便, 名目上 주어지는 男爵 等의 爵位를 팔았다. [106]

王世子의 結婚 協商 [ 編輯 ]

제임스는 長男의 死亡以後 王世子를 承繼한 웨일스공 찰스 를 스페인의 마리아 아나 王女 와 結婚시키고자 努力하였는데, 이는 外交的 理由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받을 수 있는 持參金이 財政 問題의 相當 部分을 解決할 수 있을 것이라 期待하였기 때문이다. [107] 뿐만아니라 스페인과의 政略 結婚은 或是나 있을 수 있는 두 國家의 戰爭을 防止하여 戰爭 費用을 아낄 수 있다는 點에서도 魅力的이었다. [108] 이 結婚 協商은 1614年부터 거의 10年 동안 進行되었는데 거기에는 協商이 進行되는 동안에는 戰爭이 없을 것이라는 제임스의 腹心도 깔려있었다. [109]

스페인과의 結婚 推進은 흔히 스페인黨이라 불렸던 하워드와 같은 親가톨릭 性向의 官吏와 外交官들의 支持를 받았지만 잉글랜드 內의 改新敎徒들은 크게 不信하는 雰圍氣였다. 1616年 런던탑에서 풀려난 월터 롤리 는 남아메리카로 金을 찾아 떠나면서 스페인과 交戰하지 말라는 嚴命을 받았다. [110] 그러나 롤리의 遠征은 大失敗로 끝났고 期於이 스페인街 交戰을 벌여 롤리의 아들이 戰死하였다. [111] 제임스는 스페인 宥和 政策에 反對하는 大衆들때문에 터진 憤怒를 롤리에게 돌렸고 그가 잉글랜드로 歸還하자 處刑하였다. [112] 1618年 30年 戰爭 이 일어나자 제임스의 外交政策은 더욱 위태로워졌다. 1620年 제임스의 딸 엘리자베스와 結婚하여 사위가 된 改新敎 君主 프리드리히 5歲 폰 데어 팔츠 보헤미아 에서 逐出되고 가톨릭이었던 페르디난트 2歲 가 그 자리를 차지하였고 프리드리히의 本據地인 라인란트 는 스페인의 侵攻을 받았다. 이듬해인 1621年 제임스는 프리드리히 支援을 위한 軍事 遠征 資金을 위해 議會를 召集하였다. [113] 議會는 프리드리히를 支援하기에는 크게 모자란 豫算을 策定하면서 엘리자베스 1歲 時期부터 짭잘한 재미를 주었던 카리브海 地域의 스페인 船舶에 對한 史略 再開를 要求하였다. [114] 잉글랜드에서 反가톨릭 情緖와 스페인에 對한 敵對感은 뿌리깊은 것이었고 1621年 11月 에드워드 코크 가 主導하여 스페인과의 戰爭과 王世子 찰스의 結婚 協商 中斷을 促求하는 反가톨릭法 請願書가 提出되었다. [115] 제임스는 王室의 結婚은 君主 特權 이며 議會가 干涉할 일이 아니라고 斷乎히 拒否하고 再論할 境遇 處罰하겠다고 宣言하였다. [116] 反가톨릭法 主唱者들은 國王이 言論의 自由를 包含한 議會가 갖는 權利를 尊重하여야 한다고 맞섰다. [117] 제임스의 戀人이자 銃身이었던 버킹엄 工作 과 스페인의 代謝 곤도마르 伯爵이 이들의 要求를 들어주어서는 안된다고 부추기는 가운데 제임스는 이들의 要求를 議事錄에서 削除하고 議會를 解散하였다. [118]

1623年 初 유럽이 新舊敎 兩大 勢力을 갈려 戰爭을 치르고 있고 잉글랜드도 자칫 이 巨大한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될 一觸卽發의 狀況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임스는 當時 22歲였던 王世子 찰스를 스페인에 直接 보내 協商을 마무리 지으려 하였다. 그는 自身의 銃身 버킹엄 公爵을 함께 보내 스페인과의 交涉을 主導하도록 하였다. [119] 찰스와 버킹엄 工作을 맞은 스페인 王室의 態度는 冷冷하였다. 當場에 結婚 當事者인 王女 마리아 아나가 가톨릭 敎徒가 아닌 찰스를 嫌惡하였고, 스페인은 結婚 成事 條件으로 잉글랜드의 反가톨릭 法案 撤廢를 要求하였다. 스페인이 잉글랜드의 約束 履行을 理由로 찰스에게 結婚 後에도 1年間 스페인에 머물라고 要求하자 어떻게든 協商을 成功시키고자 努力하였던 버킹엄 公爵의 忍耐心은 바닥이 났고 結婚 協商은 決裂되었다. [120] 한때 스페인과의 同盟에 앞장섰던 버킹엄 公爵은 이제 스페인을 包含하여 當時 유럽의 거의 折半에서 君臨하고 있던 합스부르크 帝國 과의 決戰을 促求하기 始作하였다. [121] 버킹엄 公爵은 제임스를 說得하여 戰爭 基金을 마련하기 위한 議會를 召集하였고 1624年 2月 開院하였다. 이때 열린 議會 亦是 反가톨릭 政策이 쏟아졌으나 제임스는 이 要求들을 拒否할 理由가 없었다. 이로서 政策 樹立의 主導權은 제임스에게서 王世子 찰스와 버킹엄 工作으로 옮겨갔다. [122] 王世子와 버킹엄 公爵은 그 동안 戰爭 介入을 極度로 反對하였던 財務長官 라이오넬 크랜필드를 彈劾하고 議會가 스페인과의 戰爭을 支持하도록 하였지만 [123] 제임스는 버킹엄 公爵에게 當場의 政策에 걸림돌이 된다고 忠臣을 逐出하는 前例를 남기는 것은 危險한 일이라고 警告하였는데 이는 제임스 事後 버킹엄 公爵에게 닥칠 事態를 豫言한 셈이 되었다. [124] 議會는 스페인에 對한 明白한 敵對感을 表明하고 있었지만 戰爭을 議決하지는 않았다. 王世子 찰스는 이러한 議會의 모습에 크게 失望하였고 以後 自身의 卽位 時代에 議會를 不信하는 原因으로 作用하였다. [125]

宗敎 政策 [ 編輯 ]

卽位 初 있었던 火藥 陰謀 事件의 餘波로 잉글랜드의 反가톨릭 情緖는 거셌다. 1606年 5月 議會는 敎皇反對法을 議決하여 모든 市民에게 敎皇에 對한 否定과 王에 對한 忠誠 盟誓를 强要할 수 있도록 하였다. [126] 그러나 제임스는 個人的으로 宗敎에 對해 慣用的이었고 形式的인 忠誠 誓約만 있다면 祕密裏에 進行되는 宗敎 集會는 默認하였다. [127] 스스로가 스코틀랜드에서 長老敎道路 成長하였던 제임스는 잉글랜드 國敎會 의 首長이 된 뒤로도 獨占的 國校의 地位를 그다지 내켜하지 않았다. 제임스 立場에서는 國敎會 信徒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內의 가톨릭 信者도 언젠가는 自身을 支援해 줄 수 있는 勢力이었기 때문이다. 제임스는 卽位 以後 런던탑 에 가두었던 가톨릭 貴族 老섬벌랜드 伯爵 헨리 퍼시 에게 "조용히 지내고 慈悲를 베푸는 사람은 누구라도 迫害하지 않을 것"이라고 壯談하면서도 "外的으로는 法律에 順從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便紙를 보냈다. [128]

1611年 出刊된 《 킹 제임스 聖經

한便 이 時期 잉글랜드에는 長老敎 의 一派인 淸敎徒 가 廣範圍하게 擴散되고 있었다. 이들은 初期에 國敎會의 前例를 認定하는 가운데 追加的인 禮拜와 嚴肅한 生活 等으로 自身들의 信仰을 構築하고 있었으나, 1603年 賤人請願 을 통해 堅振聖事 , 結婚 半指, 그리고 "司祭"라는 用語 等을 廢止하고 聖職者의 象徵이었던 帽子와 中白衣 着用을 義務가 아닌 選擇的 事項으로 해 줄 것을 要求하였다. [129] 請願 初期 國敎會 順應이 嚴格히 强要되자 淸敎徒는 프랑스의 위그노 와 같은 迫害를 憂慮하였으나 [130] 以後 統治 過程에서 제임스는 가톨릭의 祕密 美社와 마찬가지로 淸敎徒의 集會 亦是 默認하였다. [131] 제임스는 前例 와 祈禱書를 整備하여 宗敎的 統合을 이루려 하였다. 1604年 새로운 共同 祈禱書를 製作하면서 淸敎徒의 一部 要求를 受容하자 國敎會 側은 不滿을 표했지만 [132] [133] 제임스는 當時 여러 版本으로 因해 解釋이 紛紛했던 聖經을 새롭게 英語로 飜譯하기로 마음먹었고, 1611年 《 킹 제임스 聖經 》이 完成되었다. 자코鄙諺 時代의 傑作으로 評價받는 이 聖經은 [134] [135] 오늘날에도 널리 使用되고 있다. [134]

한便 제임스는 이미 長老敎 로 改革된 스코틀랜드 敎會 를 自身의 影響力 아래 두고자 駐交際 再建을 試圖하였다. 이 試圖는 當然하게도 强力한 反撥에 부딛혔다. 3年 마다 에든버러에 돌아오겠다던 約束을 한 番도 지키지 않았던 제임스는 1617年 聖公會 意識 執典을 위해 에든버러로 갔고 이것이 잉글랜드 國王 卽位 以後 처음이자 마지막 訪問이었다. 잉글랜드 國敎會의 主敎들이 퍼스 5個 條項 을 强要하였으나 反撥만 샀을 뿐이었다. [136] 제임스는 在位 동안 스코틀랜드 敎會 問題를 어쩌지 못하였고 이는 아들 찰스에게 남겨진 遺業이 되었다. 찰스 1世는 卽位 後 戰爭을 통해 스코틀랜드 敎會에 駐交際를 强制하려다 失敗하고 結局 스튜어트 王家의 세 王國은 內戰과 戰爭으로 빠져들게 된다 .

제임스 在位 時期까지만 해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어떤 宗敎도 敢히 國王을 相對로 反旗를 든다는 것은 想像도 할 수 없었다. 제임스는 內部의 많은 反對에도 不拘하고 國外의 宗敎 戰爭에 加擔하지 않고자 必死的으로 努力하였고 잉글랜드는 그 前 時期 어느 때보다 평화로운 日常을 보내고 있었다. [99] :353-354

銃身과 派閥 [ 編輯 ]

제임스의 銃身 버킹엄 工作 조지 빌리어스

제임스는 平生동안 宮廷의 여러 男性들과 緊密한 關係를 維持하였다. [137] 스코틀랜드 時節 앤 머레이를 政府로 두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138] 그의 性的 正體性은 同性愛者또는 兩性愛者이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그는 自身의 關心事를 글로 著述하는 學問的 態度를 보였고 무엇보다 極端的 紛爭을 避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前代의 엘리자베스 1世가 보여준 好戰的이고 豁達한 行動과 對比되어 [139] " Rex fuit Elizabeth, nunc est regina Iacobus "(엘리자베스는 王이었고 이제 제임스는 女王이라네)와 같은 말들이 만들어졌다. [140]

제임스의 男性 戀人으로 指目되는 사람들로는 레녹스 工作 에스메 스튜어트, 서머싯 伯爵 로버트 카, 그리고 버킹엄 工作 조지 빌리어즈 等이 있다. [141] 特히 버킹엄 公爵은 잉글랜드에서 王族이 아닌 者에게 처음으로 주어진 工作 作爲여서 當代에도 온갖 風聞을 몰고 다녔으며, 제임스의 戀人일 뿐만 아니라 國政 運營의 同志였고 王世子의 後見人 노릇도 하였다. 王世子 찰스와 함께 스페인으로 結婚 協商을 다녀 올 때에는 프랑스와 스페인 宮廷에서 뛰어난 外貌와 華麗한 言辯, 그리고 춤솜씨로 有名하였다. 當代 잉글랜드 下院 議員이었던 존 오글랜더는 "國王 제임스가 銃身들, 特히 버킹엄 公爵에게 對하는 모습과 같이 自身의 어여쁜 配偶者를 달콤하게 對하는 男便을 본 적이 없다"고 評하였다. [142] 2004年에서 2008年 사이 進行된 노샘프턴셔의 애페소프 宮殿 復元 作業 過程에서 제임스와 버킹엄 公爵의 寢室을 連結하는 祕密 通路가 發見되었다. [143]

둘의 關係가 性的인 것은 아니었다는 主張도 있기는 하다. [144] 제임스 스스로가 《王權에 對한 助言》에서 "藍色은 良心上 容恕될 수 없는 일"이라 쓴데다, 아내인 덴마크 王女 아나와 琴瑟도 좋았고 7名의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145] 그러나 當代의 위그노 詩人이었던 테오필 드 비오 는 "잉글랜드 國王이 버킹엄 工作과 흘레붙는 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라고 記錄하였다. [146] 버킹엄 工作 스스로가 남긴 記錄에도 "陛下가 저를 如前히 사랑하는지 …… 개가 主人과 함께 寢臺에 누워 머리를 내밀듯 하던, 決코 잊지 못할 그 때 보다 더 나은지"와 같은 句節이 있다. [147] 하지만 버킹엄 公爵의 이러한 搜査는 17世紀 宮中 生活의 脈絡에서 性的인 關係가 아니라 그저 國王의 寵愛를 바라는 臣下의 處地에 對한 比喩로 解釋될 수도 있기 때문에 [148] 이것이 둘 사이의 同性愛를 確定한다고 斷定짓기엔 模糊하다. [149] 여러 情況을 綜合하면 아마도 제임스는 兩性愛者였을 수 있다. [150]

1612年 엘리자베스 1歲 時期부터 行政을 管掌하였던 솔즈베리 伯爵이 死亡하였을 때 眞心어린 哀悼를 표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有能한 行政 官僚의 죽음으로 제임스의 宮廷 運營은 放漫해졌고 評判이 나빠지기 始作하였다. [151] 제임스는 솔즈베리 伯爵의 後任으로 스코틀랜드에서 로버트 카를 불러들였다. 信賴할 수 있는 臣僚를 통해 國政을 管轄하겠다는 생각이었지만 제임스가 公務를 等閑視 하였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出身의 國務長官 登場은 派閥 形成의 結果를 맞았다. [152]

로버트 카는 强力한 權限을 받았지만 實際 行政 經驗은 全혀 없었기 때문에 잉글랜드에서 自身을 支援할 有力者의 도움이 必要했고, 노샘프턴 伯爵 헨리 하워드를 비롯한 一群의 貴族들이 빠르게 徒黨을 形成하였다. 로버트 카는 政府의 文書 作成에도 서툴러 토머스 오버베리에게 依存하였다. [153] 이러한 無能에 겹쳐 카는 行實도 좋지 못하였고 結局 鉏폭스 伯爵의 딸이자 에식스 伯爵夫人이었던 프란시스 하워드와 姦淫하였다. 이 일은 잉글랜드 政界의 커다란 스캔들로 發展하였고 제임스는 서머싯 伯爵으로 冊封한 카를 지키기 爲해 프란시스 하워드와 에식스 伯爵 사이의 結婚이 無效라고 宣言하고 로버트 카와 프란시스 하워드가 結婚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워드의 都堂과 토머스 오버베리는 서로를 靜寂으로 여기고 있었고 로버트 카가 프란시스 하워드와 結婚하려 하자 극렬히 反對하였다. 하워드가는 結婚의 障礙物을 치우기 위해 오버베리를 러시아 大使로 派遣하고자 하였고 오버베리는 只今 런던을 떠나면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이란 두려움에 이를 拒否하였다. 제임스는 大使 任命 拒否를 王命 不服從으로 여기고 오버베리를 런던탑에 가두었다. 그런데 런던탑에 收監된 오버베리는 1613年 9月 15日 급작스래 死亡하였고 檢査 結果 毒殺되었음이 判明되었다. [154] 오버베리 死亡 後 카는 프란시스와 婚禮를 올렸다. 런던탑의 國事犯을 暗殺한 것은 重大한 犯罪였지만 犯人은 五里霧中이었다. 그렇게 時間이 흐른 1615年 些少한 契機로 프란시스 하워드가 오버베리 死亡 直前에 毒藥을 購入하였다는 것이 밝혀졌고 結局 로버트 카와 프란시스 夫婦가 暗殺을 公募하였다는 것이 暴露되었다. 로버트 카는 結局 處刑되었고 이 過程에서 國王과 連累된 수많은 所聞이 떠돌며 제임스의 宮廷은 不正 腐敗의 溫床으로 비추어졌다. [155] 하워드가 亦是 沒落하여 以後 제임스 1世의 治世에서 버킹엄 工作을 넘볼 派閥은 存在하지 않게 되었다. [156]

死亡 [ 編輯 ]

末年에 이르러 제임스는 各種 疾患에 시달렸다. 그는 關節炎 , 痛風 , 腎臟 結石 等으로 苦痛받았다. [157] [158] 제임스는 齒牙 또한 잃었고 술을 많이 마신 것도 健康 惡化를 불렀다. [157] [159] 제임스가 漸次 重病을 자주 앓게 되자 國政 運營은 거의 버킹엄 公爵의 水中에서 處理되었다. 버킹엄 公爵은 國王의 死後에도 自身의 地位가 維持되도록 그렇지 않아도 自身에게 依存的이었던 王世子 찰스에 對한 統制權을 强化하였다. 御醫였던 테오도르 드 마이데른이 제임스가 "알리칸테 와인과 같이 붉은" 小便을 보았다고 記錄한 것을 볼 때 [160] 그가 포르피린症 을 앓았을 수 있다는 推測이 있다. 포르피린症은 後날 제임스의 後孫 가운데 하나인 조지 3歲 도 앓았는데 이 病은 油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임스는 腎臟 結石을 앓았고 要路의 出血도 小便을 붉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포르피린症은 지나친 推測이라는 主張도 있다. [161]

이미 衰弱하였던 제임스는 各種 疾患과 發作 끝에 異質 까지 感染되어 1625年 3月 27日 死亡하였다. 5月 7日 어수선 한 가운데 葬禮式이 열렸고 [162] , 腸레를 主管한 主敎 존 윌리엄스는 " 솔로몬 도 藥 60歲를 살고 평화롭게 昇遐하였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제임스 國王 陛下도 그렇습니다."라고 說敎하였다. [163] 제임스는 웨스트민스터 寺院에 安葬되었지만 正確한 무덤 位置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19世紀 發掘 過程에서 헨리 7歲 時期 지어진 納骨堂에서 石棺이 確認되었다. [164]

事後 [ 編輯 ]

제임스 1世 治世의 잉글랜드는 큰 紛爭 없는 平和와 낮은 稅金으로 安定的인 歲月을 보냈고, 사람들은 그런 제임스를 널리 哀悼하였다. 王室 直轄地의 稅金이 턱없이 不足하였기 때문에 제임스는 國王에게 收租權이 있는 專賣事業 稅金과 貿易歲에 依存하였고 그래서 더더욱 國家間 紛爭을 避할 수 밖에 없었다. 神經質的인 性格과 거친 말套, 放蕩한 生活, 財政的 無能과 같은 數 많은 短點에도 不拘하고 百姓들은 大體로 國王을 支持하였다. 켈리 伯爵은 제임스를 哀悼하며 "陛下께선 평화롭게 살다 평화롭게 죽었습니다. 새로운 國王 또한 그를 따르기를 祈禱합니다."라고 企圖하였지만 [165] 伯爵의 祈禱는 헛된 것이 되고 말았다. 새롭게 執權한 찰스 1歲 는 버킹엄 工作과 함께 無謀한 軍事 遠征을 敢行하다 失敗하였고 以後 漸次 內憂外患의 수렁으로 빠져들었다. [166] 제임스는 사냥과 같은 餘暇 活動을 하면서 種種 政務를 等閑視 하였고 늘 銃身과의 스캔들에 휩싸여 엘리자베스 1歲가 愼重하게 쌓아올렸던 王室의 威嚴은 크게 毁損되었다. [167]

제임스 治下에서 始作된 잉글랜드의 얼스터 植民 政策은 以後로도 繼續되어 얼스터 地域의 잉글랜드 出身 改新敎徒 人口는 꾸준히 增加하였다. 이는 現代에 이르기까지 아일랜드 의 葛藤 要素 가운데 하나로 남았다. 또한 1607年 버지니아州 제임스타운 이 세워진 以來 北아메리카 植民地 政策도 繼續되어 [168] 以後 150年 동안 잉글랜드는 北아메리카의 支配權을 놓고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等의 國家와 戰爭을 겪었다. 제임스는 同君聯合 으로 묶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를 單一한 國家로 統合하고자 試圖하였고, 結局 1707年 그레이트브리튼 王國 과 1801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聯合王國 을 거쳐 오늘날 英國 의 바탕이 되었다. [169]

宗敎的 葛藤과 함께 國王과 議會의 不和가 치솟았던 17世紀 中盤 무렵 스튜어트 王家 를 反對하던 側은 제임스가 絶對主義 를 支持하면서도 政治的 無能으로 잉글랜드 內戰 의 불씨를 키웠다고 보았다. 제임스 1世는 自身의 後繼者인 아들 찰스 1歲 에게 絶對君主의 野望을 심어주었고 그 때문에 結局 內戰이 일어났다는 見解이다. [170]

이러한 見解는 1956年 지어진 데이비드 헤리스 윌슨의 제임스 1歲 評傳에 이르기까지 維持되었다. [171] 그러나 20世紀 後半 以後 제임스의 平和를 위한 努力과 宗敎的 寬容에 對한 再評價가 이루어지는 趨勢이다. [172]

家計도 [ 編輯 ]

제임스 1歲가 잉글랜드의 王位를 繼承할 수 있게 만들어준 家系圖이다. 엘리자베스 1世와 제임스 1歲의 사이를 寸數로 따져 보면 6寸間이며 行列로 따지면 할머니와 孫子 사이가 된다.

 
 
 
 
 
 
 
 
 
 
 
 
 
 
 
 
 
 
高祖父 第2代 레녹스 伯爵 매슈 스튜어트
 
 
 
 
 
 
 
曾祖父 第3代 레녹스 伯爵 존 스튜어트
 
 
 
 
 
 
 
 
 
 
 
高祖母 엘리자베스 해밀턴 [173]
 
 
 
 
 
 
 
祖父 第4代 레녹스 伯爵 매슈 스튜어트
 
 
 
 
 
 
 
 
 
 
 
 
 
 
高外祖父 第1代 애솔 伯爵 존 스튜어트
 
 
 
 
 
 
 
曾祖母 애솔 伯爵 영애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高外祖母 엘러노어 싱클레어 [174]
 
 
 
 
 
 
 
父親 單利 警 헨리 스튜어트
 
 
 
 
 
 
 
 
 
 
 
 
 
 
 
 
 
高外祖父 앵거스 警 조지 더글러스
 
 
 
 
 
 
 
症外祖父 第6代 앵거스 伯爵 아치볼드 더글러스
 
 
 
 
 
 
 
 
 
 
 
高外祖母 엘리자베스 드러먼드 [175]
 
 
 
 
 
 
 
조某 앵거스 伯爵 영애 마거릿 더글러스
 
 
 
 
 
 
 
 
 
 
 
 
 
 
高外外祖父 헨리 7歲 (=外外高祖父)
 
 
 
 
 
 
 
症外祖母 잉글랜드 王女 마거릿 튜더 (=外曾祖母)
 
 
 
 
 
 
 
 
 
 
 
高外外祖母 잉글랜드 王女 요크의 엘리자베스 [176] (=崴嵬高祖母)
 
 
 
 
 
 
 
제임스 1歲 (잉글랜드), 6歲 (스코틀랜드)
 
 
 
 
 
 
 
 
 
 
 
 
 
 
 
 
 
 
 
 
外高祖父 제임스 3歲
 
 
 
 
 
 
 
外曾祖父 제임스 4歲
 
 
 
 
 
 
 
 
 
 
 
外高祖母 마르그레테 애 單마르크 王女 [177]
 
 
 
 
 
 
 
外祖父 제임스 5歲
 
 
 
 
 
 
 
 
 
 
 
 
 
 
外外高祖父 헨리 7歲 (=高外外祖父)
 
 
 
 
 
 
 
外曾祖母 잉글랜드 王女 마거릿 튜더 (=症外祖母)
 
 
 
 
 
 
 
 
 
 
 
崴嵬高祖母 잉글랜드 王女 요크의 엘리자베스 [178] (=高外外祖母)
 
 
 
 
 
 
 
母親 메리 1歲
 
 
 
 
 
 
 
 
 
 
 
 
 
 
 
 
 
外外高祖父 르네 2歲 드 로렌 工作
 
 
 
 
 
 
 
外外曾祖父 클로드 드 기즈 工作
 
 
 
 
 
 
 
 
 
 
 
崴嵬高祖母 필리파 폰 겔더른 貢女 [179]
 
 
 
 
 
 
 
外祖母 마리 드 기즈 貢女
 
 
 
 
 
 
 
 
 
 
 
 
 
 
崴嵬外高祖父 프랑수아 드 방돔 伯爵
 
 
 
 
 
 
 
外外曾祖母 앙투아네트 드 방돔 伯爵 영애
 
 
 
 
 
 
 
 
 
 
 
外崴嵬高祖母 마리 드 생폴 伯爵 영애 [180]
 
 
 
 
 
 

家族關係 [ 編輯 ]

덴마크의 앤 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子女들은 다음과 같다. 3男 4女를 낳았으나 大部分이 夭折하고 1男 1女만이 살아남았다.

寫眞 이름 生日 死亡 기타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1594年 2月 19日 1612年 12月 8日 腰絶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1596年 8月 19日 1662年 2月 13日 프리드리히 5歲 폰 팔츠 의 否認
마거릿 1598年 12月 24日 1600年 腰絶
찰스 1歲 1600年 11月 19日 1649年 1月 30日
로버트 1602年 1月 18日 1602年 5月 27日 腰絶
메리 1605年 4月 8日 1607年 12月 16日 腰絶
소피아 1607年 1607年 腰絶

各州 [ 編輯 ]

  1. Ralph Anthony Houlbrooke (2006). 《James VI and I: Ideas, Authority, and Government》 . Ashgate Publishing, Ltd. 25쪽. ISBN   978-0-7546-5410-0 .  
  2. The Crown United , The 400th Anniversary of the Union of the Crowns.
  3. JAMES I, KING OF GREAT BRITAIN (1566-1625) - JAMES VI OF SCOTLAND AND I OF ENGLAND , Royal correction trust.
  4. Fraser, Antonia (1994) [1969]. Mary Queen of Scots.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ISBN 978-0-297-17773-9 . p. 11
  5. 1587 - Mary Queen of Scots beheaded ,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6. James I.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Britannica 1911
  7. Milling 2004 , 155쪽.
  8. Fischlin & Fortier 2002 , 39쪽
  9. Rhodes, Richards & Marshall 2003 , 1쪽 : "제임스 6歲/1世는 英國 君主 가운데 가장 많은 著作을 남긴 國王이었다. 그는 스스로 詩를 짓기도 하였고 飜譯을 하기도 하였으며 魔法이나 담배와 같은 主題로 글을 쓰기도 하였다. 聖經 에 對한 註解나 君主의 業務에 對한 指針, 政治哲學 에 對한 論文, 議會의 演說文 等 그가 남긴 著述은 多樣하다. 또한 當代 잉글랜드 作家들에 對해서도 즐거이 後援하였다."
  10. Cummings, Brian , 編輯. (2011). 《The Book of Common Prayer: The Texts of 1549, 1559, and 1662》. Oxford World's Classics .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737쪽.  
  11. Smith 2003 , 238쪽 : "基督敎世界의 가장 賢明한 바보라는 別名은 元來 프랑스의 앙리 4世에게 붙여졌던 것이지만 엔書니 웰던은 바로 앞에서 제임스의 矛盾的인 性向을 살펴볼 수 있었고 그의 冊 《國王 제임스 1世와 宮廷》에서 제임스에게 이 別名을 붙였다. Stroud 1999 , 27쪽 에서 再引用하자면: '賢明한 사람이라면 그를 基督敎世界의 가장 賢明한 바보라 부르고 싶을 것이다. 그는 些少한 일에 對해서는 賢明하게 굴었지만 무거운 事件들에 對해서는 어리석었다.' "
  12. Croft 2003 , 6쪽 : "史學者들은 제임스를 신중하고 思慮깊은 人物로 再評價하고 있다.; Lockyer 1998 , 4?6쪽 ; Smith 2003 , 238쪽 : "過去의 史學者들과 對比되어에 비하여 오늘날 제임스 時代 硏究에서는 그가 어리석다는 評判을 그리 眞摯하게 다루지 않으며 오히려 賢明한 處身에 注目한다."
  13. Davies 1959 , 47?57쪽
  14. Guy 2004 , 236?237, 241?242, 270쪽 ; Willson 1963 , 13쪽 .
  15. Guy 2004 , 248?250쪽 ; Willson 1963 , 16쪽 .
  16. Joseph Bain, Calendar State Papers Scotland , vol. 2 (Edinburgh, 1900), p. 290.
  17. Donaldson 1974 , 99쪽.
  18. Thomson 1827 , 171?172쪽.
  19. Guy 2004 , 364?365쪽 ; Willson 1963 , 19쪽 .
  20. 1567年 3月 29日 메리 1世가 마르 伯爵 夫婦에게 보낸 便紙. Stewart 2003 , 27쪽 에서 再引用: "우리 王國의 어떤 貴族도 苦痛만 줄 뿐이어서 우리 사랑하는 아들이 들어갈 수 있는 城이라 不利만한 곳도 居住할 곳도 마땅치가 않아 믿을 곳이라곤 두셋 뿐이네."
  21. Stewart 2003 , 33쪽 ; Willson 1963 , 18쪽 .
  22. Croft 2003 , 11쪽.
  23. Willson 1963 , 19쪽.
  24. Croft 2003 , 12?13쪽.
  25. Croft 2003 , 13, 18쪽.
  26. Spottiswoode, John (1851), History of the Church in Scotland , Edinburgh: Oliver & Boyd, vol. 2, p. 120 .
  27. Croft 2003 , 13쪽.
  28. Thomson 1827 , 248?249쪽.
  29. Stewart 2003 , 45쪽 ; Willson 1963 , 28?29쪽 .
  30. Croft 2003 , 15쪽.
  31. Lockyer 1998 , 11?12쪽 ; Stewart 2003 , 51?63쪽 .
  32. Wiggins, Martin; Richardson, Catherine (2012). 《British Drama 1533?1642: A Catalogue》. II: 1567?1589.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42?244쪽. ISBN   978-0-1992-6572-5 . OL   25969471M .  
  33. 데이비드 칼더우드 의 記錄, Stewart 2003 , 63쪽 에서 再引用: "그래서 改革의 首長이자 守護者였고 國王의 側近이였던 이 貴族은 이제 달갑지 않은 去來의 結果로 終末을 맞았다."
  34. Stewart 2003 , 63쪽.
  35. Lockyer 1998 , 13?15쪽 ; Willson 1963 , 35쪽 .
  36. Stewart 2003 , 66쪽.
  37. Law 1904 , 295, 297쪽.
  38. "Ruthven, William", by T. F. Henderson, in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 Volume 50 (Smith, Elder, & Co., 1897)
  39. Croft 2003 , 17?18쪽 ; Willson 1963 , 39, 50쪽 .
  40. Croft 2003 , 20쪽.
  41. Croft 2003 , 29, 41?42쪽 ; Willson 1963 , 121?124쪽 .
  42. Lockyer 1998 , 24?25쪽 ; Stewart 2003 , 150?157쪽 .
  43. Croft 2003 , 45쪽 ; George Nicolson quoted by Stewart 2003 , 154쪽 : "It is begun to be noted that the reports coming from the King should differ"; Williams 1970 , 61쪽 : "The two principal characters were dead, the evidence of eyewitnesses was destroyed and only King James's version remained"; Willson 1963 , 126?130쪽 .
  44. Goodare, Julian (2000). 〈James VI's English Subsidy〉. Goodare, Julian; Lynch. 《The Reign of James VI》. East Linton: Tuckwell. 115쪽.  
  45. Lockyer 1998 , 29?31쪽 ; Willson 1963 , 52쪽 .
  46. Croft 2003 , 23쪽.
  47. Croft 2003 , 23?24쪽.
  48. Willson 1963 , 85쪽.
  49. Kerr-Peterson, Miles; Pearce, Michael (2020). 《James VI's English Subsidy and Danish Dowry Accounts, 1588?1596》. Scottish History Society Miscellany XVI. Woodbridge. 35쪽.  
  50. Stevenson, David (1997). 《Scotland's Last Royal Wedding》. Edinburgh: John Donald. 99?100쪽.  
  51. Willson 1963 , 85?95쪽.
  52. Croft 2003 , 26쪽.
  53. Willson 1963 , 103쪽.
  54. Willumsen, Liv Helene (2020年 12月 1日). “Witchcraft against Royal Danish Ships in 1589 and the Transnational Transfer of Ideas” . 《International Review of Scottish Studies》 45 : 54?99. doi : 10.21083/irss.v45i0.5801 .  
  55. Keay & Keay 1994 , 556쪽.
  56. Croft 2003 , 27쪽 ; Lockyer 1998 , 21쪽 ; Willson 1963 , 105, 308?309쪽 .
  57. Akrigg 1984 , 220쪽 ; Willson 1963 , 309쪽 .
  58. Hunter 2000 , 143, 166쪽.
  59. Hunter 2000 , 174쪽.
  60. Thompson 1968 , 40?41쪽.
  61. Hunter 2000 , 175쪽.
  62. Thompson 1968 , 40?41쪽 ; Hunter 2000 , 175쪽
  63. Hunter 2000 , 175쪽 ; Rotary Club of Stornoway 1995 , 12?13쪽
  64. Hunter 2000 , 176쪽.
  65. MacKinnon 1991 , 46쪽.
  66. Croft 2003 , 139쪽 ; Lockyer 1998 , 179쪽
  67. Willson 1963 , 321쪽.
  68. James quoted by Willson 1963 , 131쪽 : "Kings are called gods by the prophetical King David because they sit upon God His throne in earth and have the count of their administration to give unto Him."
  69. Croft 2003 , 131?133쪽.
  70. Willson 1963 , 133쪽.
  71. Croft 2003 , 134?135쪽 : "James wrote well, scattering engaging asides throughout the text"; Willson 1963 , 132쪽 : " Basilikon Doron is the best prose James ever wrote".
  72. Croft 2003 , 133쪽.
  73. Quoted by Willson 1963 , 132쪽 .
  74. Jack 1988 , 126?127쪽.
  75. See: Jack, R. D. S. (2000), " Scottish Literature: 1603 and all that 保管됨 11 2月 2012 - 웨이백 머신 ", Association for Scottish Literary Studies , retrieved 18 October 2011.
  76. Jack, R. D. S. (1985), Alexander Montgomerie , Edinburgh: Scottish Academic Press, pp. 1?2.
  77. Jack 1988 , 125쪽.
  78. Jack 1988 , 137쪽.
  79. Spiller, Michael (1988), "Poetry after the Union 1603?1660", in Craig, Cairns (general editor), The History of Scottish Literature , Aberdeen University Press, vol. 1, pp. 141?152. Spiller points out that the trend, although unambiguous, was generally more mixed.
  80. See for example Rhodes, Neil (2004), "Wrapped in the Strong Arm of the Union: Shakespeare and King James", in Maley, Willy; Murphy, Andrew (eds), Shakespeare and Scotland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38?39.
  81. Jack 1988 , 137?138쪽.
  82. Lockyer 1998 , 161?162쪽 ; Willson 1963 , 154?155쪽 .
  83. Croft 2003 , 49쪽.
  84. Willson 1963 , 158쪽.
  85. Martin 2016 , 315쪽 ; Willson 1963 , 160?164쪽 .
  86. Croft 2003 , 50쪽.
  87. Stewart 2003 , 169쪽.
  88. Stewart 2003 , 172쪽 ; Willson 1963 , 165쪽 .
  89. Stewart 2003 , 173쪽.
  90. Croft 2003 , 50?51쪽.
  91. Croft 2003 , 51쪽.
  92. Croft 2003 , 52?54쪽.
  93. Willson 1963 , 249?253쪽.
  94. Croft 2003 , 67쪽 ; Willson 1963 , 249?253쪽 .
  95. Croft 2003 , 52?53쪽.
  96. Croft 2003 , 118쪽.
  97. Stewart 2003 , 219쪽.
  98. Croft 2003 , 64쪽.
  99. 옥스포드 英國 人命 辭典 》 온라인版. 옥스포드 大學校 出版部 .   (Subscription 또는 UK 公共圖書館 會員 必須.)
  100. Croft 2003 , 63쪽.
  101. Quoted by Croft 2003 , 62쪽 .
  102. 케네스 O. 모건 便, 寧國寺學會 驛, 《옥스퍼드 寧國寺》, 한울, 8刷, 2016年 ISBN   978-89-46061-330
  103. Croft 2003 , 75?81쪽.
  104. Croft 2003 , 80쪽 ; Lockyer 1998 , 167쪽 ; Willson 1963 , 267쪽 .
  105. Croft 2003 , 93쪽 ; Willson 1963 , 348쪽 .
  106. Willson 1963 , 409쪽.
  107. Willson 1963 , 348, 357쪽.
  108. Schama 2001 , 59쪽.
  109. Kenyon, J. P. (1978). Stuart England .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Books. pp. 88?89.
  110. Willson 1963 , 369?370쪽.
  111. Croft 2003 , 104쪽 ; Willson 1963 , 372?373쪽 .
  112. Willson 1963 , 374?377쪽.
  113. Willson 1963 , 408?416쪽.
  114. Lockyer 1998 , 148쪽 ; Willson 1963 , 417쪽 .
  115. Willson 1963 , 421쪽.
  116. Willson 1963 , 422쪽.
  117. James quoted by Willson 1963 , 423쪽 : "We cannot with patience endure our subjects to use such anti-monarchical words to us concerning their liberties, except they had subjoined that they were granted unto them by the grace and favour of our predecessors."
  118. Willson 1963 , 243쪽.
  119. Croft 2003 , 118?119쪽 ; Willson 1963 , 431?435쪽 .
  120. Cogswell 2005 , 224?225, 243, 281?299쪽 ; Croft 2003 , 120쪽 ; Schama 2001 , 64쪽 .
  121. Croft 2003 , 120?121쪽.
  122. Krugler 2004 , 63?64쪽 : "그 둘보다 漸次 老衰하고 있던 君主에게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 그해 말 王世子와 國王의 銃身은 스페인과 結婚 協商에서 받았던 數値를 자주 擧論하며 스페인에 對한 政策 變更을 懇請하였다."
  123. Croft 2003 , 125쪽 ; Lockyer 1998 , 195쪽 .
  124. Carlton 1995 , 52쪽 ; Gregg 1981 , 99쪽 ; Hibbert 1968 , 64쪽 .
  125. Croft 2003 , 126쪽 : "1625-9年 사이의 이러한 意見 差異는 未來의 國王과 議會 사이의 關係를 豫見하게 하였다."
  126. Stewart 2003 , 225쪽.
  127. Willson 1963 , 228쪽.
  128. Akrigg 1984 , 207?208쪽 ; Willson 1963 , 148?149쪽 .
  129. Willson 1963 , 201쪽.
  130. Croft 2003 , 156쪽 ; Stewart 2003 , 205쪽 : "In seeking conformity, James gave a name and a purpose to nonconformity"; Basilikon Doron quoted by Willson 1963 , 201, 209쪽 : "In things indifferent, they are seditious which obey not the magistrates".
  131. Croft 2003 , 158쪽.
  132. Cummings, Brian , 編輯. (2011). 《The Book of Common Prayer: The Texts of 1549, 1559, and 1662》. Oxford World's Classics .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737쪽.  
  133. Spinks, Bryan D. (2006). 〈Anglicans and Dissenters〉. Wainwright, Geoffrey; Westerfield Tucker. 《The Oxford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503-504쪽. ISBN   978-0-1951-3886-3 .  
  134. Croft 2003 , 157쪽.
  135. Willson 1963 , 213?215쪽.
  136. Croft 2003 , 166쪽 ; Lockyer 1998 , 185?186쪽 ; Willson 1963 , 320쪽 .
  137. Bucholz & Key 2004 , 208쪽 : "... his sexuality has long been a matter of debate. He clearly preferred the company of handsome young men. The evidence of his correspondence and contemporary accounts have led some historians to conclude that the king was homosexual or bisexual . In fact, the issue is murky."
  138. Bain, Joseph (1894), 《Calendar of letters and papers relating to the affairs of the borders of England and Scotland》 2 , Edinburgh: Creative Media Partners, 30?31, 44쪽, ISBN   978-1-0157-9859-5 , OL   46169615M  
  139. Bucholz & Key 2004 , 208쪽 : "... his sexuality has long been a matter of debate. He clearly preferred the company of handsome young men. The evidence of his correspondence and contemporary accounts have led some historians to conclude that the king was homosexual or bisexual . In fact, the issue is murky."
  140. Hyde, H. Montgomery (1970). 《The Love That Dared Not Speak its Name》. London: Heinemann. 43?44쪽.  
  141. e.g. Young, Michael B. (2000), King James and the History of Homosexuality , New York University Press, ISBN   978-0-8147-9693-1 ; Bergeron, David M. (1991), Royal Family, Royal Lovers: King James of England and Scotland ,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 Routledge Dearborn Publishers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142. Bergeron, David M. (1999). 《King James and Letters of Homoerotic Desire》 .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 348쪽.  
  143. Graham, Fiona (2008年 6月 5日). “To the manor bought” . 《BBC News》 . 2008年 10月 18日에 確認함 .  
  144. e.g. Lee, Maurice (1990), 《Great Britain's Solomon: James VI and I in his Three Kingdoms》,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978-0-2520-1686-8 .  
  145. Lockyer 1981 , 19, 21쪽 ; Weir, Alison (1996).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 Random House. 249 ?251쪽. ISBN   0-7126-7448-9 .  
  146. Norton, Rictor (2000年 1月 8日), “Queen James and His Courtiers” , 《Gay History and Literature》 , 2015年 12月 9日에 確認함 .  
  147. Lockyer 1981 , 22쪽.
  148. Bray, Alan (2003). 《The Friend》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7 ?170쪽. ISBN   0-2260-7180-4 .   ; Bray, Alan (1994). 〈Homosexuality and the Signs of Male Friendship in Elizabethan England〉. Goldberg, Jonathan . 《Queering the Renaissance》. Duke University Press. 42?44쪽. ISBN   0-8223-1385-5 .  
  149. Ackroyd, Peter (2014). 《The History of England》. III: Civil War. Macmillan. 45쪽. ISBN   978-0-2307-0641-5 .   ; Miller, John (2004). 《The Stuarts》. Hambledon. 38쪽. ISBN   1-8528-5432-4 .  
  150. Dabiri, Emma. “Filled with 'a number of male lovelies': the surprising court of King James VI and I” . 《BBC Scotland》. BBC . 2020年 8月 28日에 確認함 .  
  151. Willson 1963 , 333쪽 : "Finances fell into chaos, foreign affairs became more difficult. James exalted a worthless favourite and increased the power of the Howards. As government relaxed and honour cheapened, we enter a period of decline and weakness, of intrigue, scandal, confusion and treachery."
  152. Willson 1963 , 334?335쪽.
  153. Willson 1963 , 349쪽 ; Francis Bacon , speaking at Carr's trial, quoted by Perry 2006 , 105쪽 : "Packets were sent, sometimes opened by my lord, sometimes unbroken unto Overbury, who perused them, registered them, made table-talk of them, as they thought good. So I will undertake the time was, when Overbury knew more of the secrets of state, than the council-table did."
  154. Barroll 2001 , 136쪽 : "Rumours of foul play involving Rochester and his wife with Overbury had, however, been circulating since his death. Indeed, almost two years later, in September 1615, and as James was in the process of replacing Rochester with a new favourite, George Villiers, the Governor of the Tower of London sent a letter to the king informing him that one of the warders in the days before Overbury had been found dead had been bringing the prisoner poisoned food and medicine"; Lindley 1993 , 146쪽 .
  155. Davies 1959 , 20쪽 : "Probably no single event, prior to the attempt to arrest the five members in 1642, did more to lessen the general reverence with which royalty was regarded in England than this unsavoury episode."
  156. Croft 2003 , 98?99쪽 ; Willson 1963 , 397쪽 .
  157. Croft 2003 , 101쪽.
  158. Willson 1963 , 378, 404쪽.
  159. Willson 1963 , 379쪽.
  160. Rohl, John C. G. ; Warren, Martin; Hunt, David (1998), Purple Secret: Genes, "Madness" and the Royal Houses of Europe , London: Bantam Press, ISBN   0-5930-4148-8 .
  161. e.g. Dean, Geoffrey (2002), The Turnstone: A Doctor's Story ., Liverpool University Press, pp. 128?129.
  162. John Chamberlain quoted in Croft 2003 , 129쪽 and Willson 1963 , 447쪽 : "All was performed with great magnificence, but ... very confused and disorderly."
  163. Croft 2003 , 129?130쪽 ; “Great Britains Salomon A sermon preached at the magnificent funerall, of the most high and mighty king, Iames, the late King of Great Britaine, France, and Ireland, defender of the faith, &c. At the Collegiat Church of Saint Peter at Westminster, the seuenth of May 1625. By the Right Honorable, and Right Reuerend Father in God, Iohn, Lord Bishop of Lincolne, Lord Keeper of the Great Seale of England, &c.” . 《quod.lib.umich.edu》 . 2021年 4月 1日에 確認함 .  
  164. Stanley, Arthur (1886),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London: John Murray, 499?526쪽.  
  165. Croft 2003 , 130쪽.
  166. Stewart 2003 , 348쪽 : "A 1627 mission to save the Huguenots of La Rochelle ended in an ignominious siege on the Isle of Re , leaving the Duke as the object of widespread ridicule."
  167. Croft 2003 , 129쪽.
  168. Croft 2003 , 146쪽.
  169. Croft 2003 , 67쪽.
  170. Croft 2003 , 3?4쪽 : "Often witty and perceptive but also prejudiced and abusive, their status as eye-witness accounts and their compulsive readability led too many historians to take them at face value"; Lockyer 1998 , 1?4쪽 .
  171. Croft 2003 , 6쪽.
  172. Cramsie, John (June 2003), “The Changing Reputations of Elizabeth I and James VI & I” , 《Reviews and History: Covering books and digital resources across all fields of history》 (review no. 334)  
  173. 第1代 해밀턴 警 제임스 해밀턴 의 영애
  174. 第1代 케이스네스 伯爵 윌리엄 싱클레어 (케이스네스는 갈리브(Gallaibh)로도 불림)의 영애
  175. 第1代 드러먼드 警 존 드러먼드 의 영애
  176. 에드워드 4歲 의 딸
  177. 크리스티안 1歲 의 딸
  178. 에드워드 4歲 의 딸
  179. 아돌프 폰 겔더른 工作 의 영애
  180. 피에르 2歲 드 생폴 伯爵 의 영애

參考 資料 [ 編輯 ]

追加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前任
메리 1歲
스코틀랜드의 王
1567年 - 1625年
後任
찰스 1歲
前任
從祖母 엘리자베스 1歲
잉글랜드 아일랜드 의 王
1603年 - 1625年
後任
찰스 1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