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정성일 (鄭聖一, 1959年 7月 4日 ~)은 大韓民國 映畫 評論家 利子 映畫 監督 이다.

生涯 [ 編輯 ]

獨逸 文化院에서 後援하는 大學生들의 모임인 '同壻 映畫 硏究會'에서 活動을 始作한 文化院 世代 [1] 또는 映畫狂 1世代 [2] 의 代表的 人物이다.

映畫에 關한 旺盛한 執筆과 함께 1992年 부터 連載限《말》誌의 固定 칼럼과 라디오 프로그램《 정은임 의 FM 映畫 音樂》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알려졌다. 映畫 月刊誌《로드쇼》의 編輯次長과《 키노 》의 編輯長을 지냈으며, 여러 映畫祭의 프로그래머와 委員으로 活動하면서 映畫 아카데미와 韓國藝術綜合學校 等에서 敎授로 再任하였다. 映畫 監督 데뷔作〈 카페 느와르 (Cafe Noir〉는 2009年 第66回 베네치아 映畫祭 批評家 週間에 招請되었다.

著書 [ 編輯 ]

  • 정성일 編著,『韓國映畫硏究 1』. 임권택, 오늘, 1987.05
  • 정성일 저,『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 1,2』, 현실문화연구, 2003.06. (1: ISBN   89-87057-23-2 , 2: ISBN   89-87057-24-0 )
  • 정성일 엮음,『김기덕 - 野生 或은 贖罪羊』, 幸福한책읽기, 2003.08. ( ISBN   89-89571-19-7 )
  • Chung Sung-ill,『Korean Film Directors - "IM Kwon-taek"』, Seoul Selection, 2007.03. ( ISBN   978-89-91913-13-4 )
  • 정성일 저,『必死의 耽讀: 정성일의 韓國映畫 批評活劇』, 바다출판사, 2010.08. ( ISBN   9788955615449 )
  • 정성일 저,『언젠가 世上은 映畫가 될 것이다: 정성일, 정우열의 映畫偏愛』, 바다출판사, 2010.08. ( ISBN   9788955615432 )

各州 [ 編輯 ]

  1. '70~'90 韓國의 시네마테크/70年代 - 유럽古典에 耽溺한 文化院世代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씨네21》(1998年 8月 18日 第164號)
  2. 김홍준 정성일의 整合 4담 - 映畫의 黃昏, 그러나 "살아라" Archived 2016年 3月 4日 - 웨이백 머신 -《씨네21》(2001年 2月 13日 第289號)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