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漸移層理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漸移層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正漸移層理(왼쪽)와 逆漸移層理(오른쪽)를 比較한 그림.
正漸移層理(왼쪽)와 組立漸移層理(오른쪽)을 比較한 그림.

漸移層理 ( , graded bedding )는 層理 面의 한 쪽에서 反對쪽까지 堆積 粒子의 크기가 일정하게 變化하는 것으로, 大部分 粒子가 큰 堆積物 이 밑에 位置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粒子의 크기가 작아지는 正漸移層理( normal grading )로, 上向細粒火 樣相을 띈다. [1] 漸移層理는 一般的으로 層理가 形成된 堆積 環境 이 時間이 흐를수록 運動 에너지(흐름의 速度)가 줄어드는 環境이었음을 나타내며, 에서 第一 흔하게 나타나지만, 저濁癌 이 形成되는 境遇에는 急激한 흐름으로 빠르게 形成되기도 한다.

逆漸移層理( reverse grading 또는 inverse grading )는 위로 올라갈수록 粒子의 크기가 커지는 上向組立火 樣相을 띄며, 普通 土石流가 흐르며 堆積層을 形成할 때 나타나는데, [2] 運動體 가 일어날 때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3] 逆漸移層理는 風蝕 에서도 나타난다. [4] 漸移層理는 브라질 땅콩 效果 의 代表的인 例示이다.

모습 [ 編輯 ]

漸移層理는 碎屑 粒子가 席畵面에 平行하게 크기別로 整列되는 現象으로, 用語 自體에 地質 斷面의 形成 過程이 內包되어 있다. 物理的인 觀點에서 點이 層理는 서로 크기가 다른 堆積物 여러 種類가 쌓일 때 만들어지는데, 좁은 環境에서 物質이 아래로 떨어질 境遇 物質의 密度別 무게 差異로 인해 物質이 크기別로 分離되는데, 孔隙率 이 높은 堆積物은 위로, 낮은 堆積物은 아래로 모여, 堆積 側面에 層理가 形成된다. 堆積物이 分離되는 程度는 媒質의 粘度에 對한 固體 堆積物의 沈澱 程度에 따라 決定된다. 漸移層理를 最初로 識別한 사람은 1669年 니콜라스 스테노 로, 層理 속에 化石이 保存되는 現象을 硏究하던 中 漸移層理를 說明하는 假說을 提示하였다. [5]

形成 [ 編輯 ]

堆積物이 層을 이루기 위해 가장 重要한 것은 週期性으로, 寢殿 程度가 다른 物質이 한 番에 쌓이는 事件이 繼續 일어나야 한다. 層이 形成되는 데 定해진 時間은 없으며, 이 때문에 形成된 層의 크기는 數 미터에 達하기도 한다. [6]

形成 條件 [ 編輯 ]

一般的인 層理가 形成되기 위한 過程은 다음이 있다. [6]

  • 風化 : 堆積物이 形成되기 위해서는 固體 物質이 物理的 또는 化學的으로 分解되어야 한다.
  • 浸蝕: 風化와 비슷한 原理로 物質이 分解되어 移動한다.
  • 沈澱: 物理的 또는 化學的인 沈降으로 堆積物이 水平面에 平行하게 내려앉아야 한다.

層理가 形成될 때 다짐 作用, 交結 作用, 古畫 作用이 일어나면 層理가 維持되는 데 도움이 된다. [6]

起源 [ 編輯 ]

堆積 作用 [ 編輯 ]

風蝕이나 流體 속에서의 堆積이 일어날 때, 時間이 흐르며 運動 에너지가 減少할 境遇, 堆積物은 粒子의 크기에 따라 일정하게 整列된다. 물이나 空氣의 흐름이 느려지면, 濁度가 낮아지고, 瑣屑物에 包含된 副有司 또한 堆積된다. 流體의 흐름이 빠르게 일어날 때에는 粒子가 整列되기 힘들어, 漸移層理가 나타나지 않는다.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넓은 水路에서는 물이 천천히 흐르며 堆積物을 大量으로 運搬하여, 漸移層理가 넓게 形成된다. [7]

生碎屑 作用 [ 編輯 ]

生碎屑은 普通 生化學的 角巖 等 硅質 生物이 續成 作用을 받아 생긴 物質에서 形成되며, 늪에서 썩는 植物이 沈澱되는 境遇에도 漸移層理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境遇에는 數千 年 後에 泥炭 이나 石炭 이 만들어진다. 또한 이貝類, 새우, 海綿動物 等 海洋 生物은 먹이를 찾는 過程에서 海底 의 堆積物을 섞기 때문에, 이 過程에서도 漸移層理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有機物로 構成된 漸移層理는 數百萬 年에 걸쳐 壓力을 받으면 셰일 이나 오일 셰일 로 變한다. [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llaby, Michael, 編輯. (2013). 〈fining-upward succession〉. 《A Dictionary of Geology and Earth Sciences》 Four版.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19쪽. ISBN   9780199653065 .  
  2. Tucker, M. (2003). 《Sedimentary Rocks in the Field》 . Wiley. 115쪽. ISBN   978-0-470-85123-4 .  
  3. Gray, J.M.N.T.; Shearer, M.; Thornton, A.R. (2006). “Time-dependent solutions for particle-size segregation in shallow granular avalanch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462 (2067): 947?972. doi : 10.1098/rspa.2005.1580 .  
  4. Duffield, W.A.; Bacon, C.R.; Roquemore, G.R. (1979). “Origin of reverse-graded bedding in air-fall pumice, Coso Range, Californi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5 (1?2): 35?48. Bibcode : 1979JVGR....5...35D . doi : 10.1016/0377-0273(79)90031-3 .  
  5. Gould, S.J. (1983). 〈Chapter 5: The Titular Bishop of Titiopolis〉 . 《Hen's Teeth and Horse's Toes: Further Reflections in Natural History》. New York: W.W.Norton. ISBN   978-0-393-31103-7 . 2023年 1月 11日에 確認함 – Google Books 經由.  
  6. Dennis, John G. (1987). 《Structural Geology: An Introduction》. Dubuque: Wm.C. Brown. ISBN   978-0697001337 . OCLC   570971437 .  
  7. Fritz, William J.; Moore, Jonnie N. (1988). 《Basics of physical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 New York: Wiley. ISBN   978-0471615866 .  
  8. Buatois, Luis A.; Encinas, Alphonso (April 2011). “Ichnology, Sequence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volution of an Upper Cretaceous Rocky Shoreline in Central Chile: Bioerosion Structures in a Transgressed Metamorphic Basement”. 《Cretaceous Research》 32 (2): 203?212. doi : 10.1016/j.cretres.2010.12.003 . hdl : 10533/129392 .  
參考 資料
  • Monroe, James S., and Reed Wicander. The Changing Earth: Exploring Geology and Evolution, 2nd ed. Belmont: West Publishing Company, 1997. ISBN   0-314-09577-2 pp. 11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