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幼 (朝鮮)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長幼
張維
朝鮮 孝宗의 國舅
신풍부원군 新豊府院君
身上情報
出生日 1587年 12月 25日 ( 1587-12-25 )
死亡日 1638年 3月 17日 ( 1638-03-17 ) (50歲)
家門 덕수 張氏
父親 장운익
母親 密陽 朴氏
配偶者 靈駕夫婦인 金氏
子女 1男 2女
장선징 · 인선왕후

長幼 (張維, 1588年 1月 22日 (陰曆 1587年 12月 25日 [1] ) ∼ 1638年 4月 30日 ( 陰曆 3月 17日 [2] ))는 朝鮮 의 文身이다. 本貫은 덕수 (德水). 字는 支局(持國). 號는 溪谷(谿谷)·묵소(默所)이다. 孝宗妃 인선왕후 의 아버지이다. [3] 官職은 右議政 에 이르렀고, 事後 領議政 에 追贈되고 신풍부원군에 追封되었다. 諡號는 문충(文忠)이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期 [ 編輯 ]

板書 장운익(張雲翼)과 어머니 密陽 朴氏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13歲에 아버지를 잃고 不遇한 少年期를 보냈다. 김장생 의 門下에서 受學하였고, 어려서부터 崔明吉 , 趙翼 , 이시백 과 切親하여 사우정(四友情)으로 불렸다. [4] 右議政 김상용 의 사위가 되었다.

官僚 生活 [ 編輯 ]

1605年 (宣祖 38) 鄕試에 壯元을 했고, 1609年(光海君 1) 文科에 及第를 했다. 以後 藝文館·承文院 等에서 官職生活을 始作했다. [3] 官職生活을 하던 中에 김직재 의 玉이 일어나면서 妹弟 皇上이 김직재 獄事에 連累되어 逆賊으로 逮捕되면서 그는 姻戚이라는 理由로 罷職을 當하기도 했다. 以後 12年 동안 張維는 故鄕인 安山 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隱居하며 讀書와 著述에 專念했다. 이 무렵에 大家의 文章을 거의 다 接했으며, 著書 《묵소高》를 엮기도 했다. [3]

1623年 仁祖反正 에 加擔하여 定社功臣 (靖社功臣)으로 新風群(新豊君)에 封해졌고, 吏曹佐郞과 暗行御史 等을 지냈다. 그러나 그는 모시던 國王을 쫓아낸 일을 부끄러워 하였다고 한다. [3] 그는 功臣이면서도 功臣의 專橫을 批判하고 所長 官人들을 保護하다 左遷을 當하기도 했다. [3] 以後 大司諫, 大司憲, 大提學, 吏曹判書, 兵曹判書, 工曹判書 等을 지냈다. 仁祖 14年 丙子胡亂 이 勃發하자 崔鳴吉과 함께 强化를 主張하였다. 丙子胡亂 後 외아들 장선징의 處仁 며느리 韓氏가 淸나라 에 끌려갔다가 俗寰되어 돌아오자 仁祖에게 上疏를 올려 아들과 韓氏를 離婚하게 해 달라고 請했으나 仁祖가 이를 許諾하지 않았다. [5]

生涯 後半 [ 編輯 ]

1637年 議政府 右議政 에 除授되었다. 그러나 母親喪을 理由로 18次例의 上疏 끝에 물러났다. 事後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에 封해지고 議政府 領議政 에 追贈되었다. [3] 그의 많은 著述은 大部分 丁卯胡亂 때 紛失되었고 《谿谷集》(谿谷集), 《谿谷漫筆》(谿谷漫筆), 《음부경주해》(陰符經主解) 等이 남아 있다.

評價 [ 編輯 ]

그는 朝鮮時代의 思想이 偏僻함을 指摘하여 “中國에는 學術에 갈래가 많아 정학자(正學者)도 있고 單學者(丹學者)도 있고 井州(程朱)를 배우는 者도 있고 陸氏(陸氏)를 배우는 者도 있어 聞慶(門經)李 佛日(不一)한데 우리나라는 侑食無識(有識無識)할 것 없이, 冊끼고 글 읽는 사람은 다 井州(程朱)를 송(誦)하여 다른 學(學)이 있음을 듣지 못하나 우리 士習(士習)이 果然 中國보다 훌륭하고 그런 것인가?”라고 反問하였다. 그러나 尤庵 송시열 은 張維에 對해 "그는 文章이 뛰어나고 義理가 精子와 走者를 主로 하였으므로 그와 더불어 比較할만한 이가 없다"고 評價하였다. [4] 그는 陽明學을 先學이라고 비의(非議)함을 辯駁하였으며, 天文·地理·醫術·兵書·그림·글씨에 能通했고, 特히 文章에 뛰어나 申欽 이정구 , 移植 과 더불어 朝鮮 中期 4代 文章家인 月相계택(月象谿澤) 4代價로 꼽혔다.

家計 [ 編輯 ]

  • 할아버지 : 長日(張逸)
    • 아버지 : 장운익(張雲翼)
    • 어머니 : 密陽 朴氏
      • 否認 : 靈駕夫婦인 金氏(永嘉府夫人 金氏, ? ~ 1654) - 김상용 (金尙容)의 딸
      • 동생 : 長身 (張紳)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송시열, 『宋子大全』 卷156, 溪谷(谿谷) 張公(張公) 信徒悲鳴
  2. 『仁祖實錄』, 仁祖 16年(1638) 3月 17日 1番째 記事
  3. 87. 溪谷 張維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경기일보 2008-12-2
  4. 윤홍식·오병문, 2006, 朝鮮선비들에게 배우는 마음 챙김의 智慧, 鳳凰東萊.
  5. 《朝鮮王朝實錄》 人組 36卷, 16年(1638 無人 / 名 숭정(崇禎) 11年) 3月 11日(甲戌) 2番째記事
  6. 《朝鮮王朝實錄》顯宗 22卷, 15年(1674 甲寅 / 靑 康熙(康熙) 13年) 6月 4日(精油) 1番째記事 - 人選 王后 指紋 中 "王后에게 언니가 있었는데 얼굴에 腫氣가 나 苦生하고 있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