者 (이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字)는 漢字 文化圈 , 特히 中國 이나 韓國 , 日本 에서 成年이 되는 冠禮 때 받는 이름인 官命 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한다. 이는 이름이 父母가 주신 것으로서 父母님이나 스승, 王(或은 皇帝) 外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認識하던 것에 起因한다. 따라서 慣例 前까지 쓰던 이름인 兒名(兒名)이 따로 있다.

大槪 兄弟의 序列에 따라 특정한 글字가 들어가는 境遇가 많다. 例를 들어, 이름에 원(元)이나 백(伯), 맹(孟)이 들어가면 맏아들임을 意味한다. 三國志 에서 初期 吳나라의 기틀을 다졌던 손책 (孫策)의 境遇 맏이로 者가 百部(伯符)였고 그 다음 동생이며 그 뒤를 이어 오나라 皇帝에까지 올랐던 둘째 孫權 (孫權)은 自家 中모(仲謀)였다. 그러나 韓國의 境遇 朝鮮 時代에 들어오면 이러한 原則이 무너지기도 하였으며, 맹(孟)이 들어가면 맏이지만 本夫人에게서 태어나지 못한 庶子였다는 말도 있다.

兄弟들 間의 나이 差가 그다지 많지 않을 때에는 돌림字 를 使用하여 맏이부터 順序대로 백(伯) · 中(仲) · 숙(叔) · 界(季) 巡으로 字를 짓는 境遇가 있었고, 5名이 넘는 兄弟일 境遇 막내는 有(幼)로 끝내게 되었다. 例를 들어, 三國志 에서 私馬八達(司馬八達)로 有名했던 사마랑 · 四魔의 兄弟의 境遇, 첫째부터 막내까지 各各 백달(伯達) · 仲達(仲達) · 熟達(叔達) · 啓達(季達) · 顯達(顯達) · 慧달(惠達) · 아달(雅達) · 유달(幼達)로, ‘달(達)’李 돌림字처럼 統一되어 있어서 自家 重達人 四魔의 가 둘째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馬氏五常(馬氏五常)으로 알려졌지고 通稱 "白米(白眉)"였던 馬糧 銀 自家 計上(季常)으로 兄弟 中에 넷째임을 알 수 있고, 그 동생인 마속 銀 自家 有償(幼常)으로 兄弟 中에 막내였음을 알 수 있고, 五常(五常)이므로 兄弟가 모두 賞(常)李 돌림字로 쓰인 다섯 名의 兄弟였던 것을 알 수 있다. 字(字)로만 알려진 사람은 옛 楚나라 項羽 中華民國 장제스 가 有名하다.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