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임천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임천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임천택 ( 1903年 3月 19日 ~ 1985年 9月 6日 )은 쿠바 韓人 1世代이자, 韓國의 獨立運動家이다.

生涯 [ 編輯 ]

1903年 京畿道 光州市 에서 태어나 두살 때인 1905年 3月 어머니와 함께 멕시코 유카탄으로 移民을 갔다. 이곳에서 16年을 보낸 뒤 1921年 쿠바에 들어가 마탄사스 에 定着했다. 1922年 대한인국민회 書記로 活動하며 마탄사스 地域에 민성국語學校를 세웠다. 1923年에는 카르데나스 地域에 眞性 國語學校를 設立했다. 이 學校의 校長으로 쿠바 韓人들에게 祖國의 言語와 風習을 잊지 않도록 努力했다. 1930年에 카르데나스 地域에 天道敎 쿠바宗理院을 열고 敎理事業과 民族魂 심기에 努力을 기울였다. 1932年에는 청년학원을 設立했다.

이 무렵 김귀희 女史와 結婚해 生活이 安定되자 本格的인 光復運動을 벌이기 始作했다. 쿠바의 3個 地方에 흩어진 韓人地方會를 糾合해 수도 아바나 에 `再쿠바 漢族團'을 만들었고, 1934年부터는 上海 臨時政府 와도 直接 連絡을 주고받으며 獨立資金 募金 等 光復運動 後援에 積極的으로 나섰다.

漢族團은 그 當時 쿠바 政府로부터 正式으로 政治活動 認可를 받은 뒤 臨時政府 後援과 쿠바居住 韓人들의 安全保障, 韓國獨立 承認에 對한 宣傳作業, 獨立後援金 募金 等에 關한 公式活動에 들어가 어려운 形便임에도 1937年부터 1944年까지 國民會 義務金과 光復軍 後援金, 獨立資金 等으로 相當額을 보내면서 臨時政府의 後援者 役割을 톡톡히 했다. [1] 1938年엔 大韓女子애국단 쿠바支部 創設에 앞장서 쿠바에서의 祖國 獨立運動에 이바지하기 始作했다.

大韓人국민회의 쿠바支會 會長이자, 獨立資金을 모아 臨時政府에 傳達하며 韓人을 위해 살아온 그의 獨立資金 送金記錄은 金九의 白凡逸志에도 記錄돼 있다. 誠金은 天道敎 式이었다. 重勞動에 시달리면서도 獨立運動 資金을 모았다. 끼니마다 食口數대로 한 숟가락씩 性味(誠米)를 모아 마련한 돈을 臨政에 보냈다. [2]

1953年 `큐바韓人移民歷史'를 썼다. 국판으로 32面 程度인 이 `移民史'는 지난 53年 여름에 임천택氏가 쿠바 마탄사스 自宅에서 쓴 것으로 이듬해 2月 美國 하와이에 있던 韓人 消息紙인 `하와이 태 平壤週報'에서 發行됐다. 1995年 8月 12日 42年만에 처음 公開됐다. 故임천택氏와 日帝 時代부터 交流가 있던 방암(芳巖) 계연집(桂淵集) 先生의 아들인 계훈모氏가 所藏해 오던 것인데 光復 50周年 記念 韓民族 祝電 開催에 參加하기 위해 임천택氏의 9男妹 中 長男인 임은조氏가 來韓함에 따라 林氏를 만나 公開한 것이다. [3]

解放 後 曺國과 다시 連結을 試圖했던 임천택은 分斷과 戰爭, 距離上의 어려움 그리고 1959年의 쿠바革命 等이 겹치면서 그 끈은 끊어지고 말았다. [4]

1985年 別世했다. 政府는 쿠바에서 生을 마친 그를 代身해 韓國을 訪問한 딸 마르타 림 氏를 통해 1997年 建國訓長 愛國章을 追敍했고 그의 遺骸는 2004年 奉還돼 大田국립현충원에 安葬됐다. [5]

家族 [ 編輯 ]

夫人 김귀희氏와의 사이에 9男妹를 뒀다. 長男 헤로니모 임 (임은조)는 쿠바의 産業食糧部 次官을 歷任했다. 韓人 最初의 國立 아바나 法大生으로 1959年 動機인 피델 카스트로 쿠바 革命 에 加擔하였으며 警察廳 人事擔當館, 産業部 次官, 동아바나 人民委員長 等을 歷任하고 1988年 退任했다. 退任 以後 택시運轉을 하며 韓人會를 이끌었으며 2006年 1月 19日 別世했다. 그의 長男은 쿠바 東方大學 經濟學 敎授인 넬슨 腸 림이다. [6]

3女인 마르타 임(임은희)은 國立 아바나 大學 出身으로 마탄사스 綜合大學에서 哲學敎授로 33年을 在任했다. 歷史學者인 쿠바人 男便과 함께 10年의 功을 들여 《쿠바의 韓人들》이라는 冊을 펴내고 現在 1千名 程度로 把握되는 韓人 後孫들을 糾合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7]

4女 이르마 림 킴의 3歲 넬슨 임은 쿠바 아바나 相對 學長으로 歷任 中이다.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