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進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一進會 (一進會)는 1904年 8月 송병준 獨立協會 出身 윤시병 , 유학주 , 東學敎 이용구 等이 組織한 大韓帝國 時期의 代表的인 親日的인 性格을 띄고 있는 團體이다.

1904年 8月 18日 漢城府 에서 송병준 이 日本軍을 背景으로 “維新會”를 組織하였다가, 8月 20日 에 다시 “一進會”로 會名을 改稱하고, 그해 9月에 東學 의 殘存勢力을 組織한 이用具의 “진보회”를 買收·吸收하여 一進會에 統合하였다. 以後 會長 李容九와 송병준 主導 下에 1910年 大韓帝國 이 日帝에 强制 竝呑될 때까지 日帝의 軍部나 統監府 의 背後操縱 下에 日本의 侵略과 竝呑의 앞잡이 行脚을 벌였다.

一進會라는 이름은 '朝鮮과 日本이 하나로 나가는 모임' 이라는 뜻으로 여기에서의 一陣(一進)은 朝鮮과 日本은 하나라는 뜻이다. 一部에서는 親日 團體이기 때문에 一進會(日進會)로 誤解하는 境遇가 있으나 이는 잘못된 漢字 兵器이다. 實際로 이 漢字가 쓰였던 一進會 가 存在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쪽은 反日 및 抗日 目的으로 結成된 朝鮮 獨立運動家 및 愛國者들로 構成된 團體이다.

槪要 [ 編輯 ]

創立過程 [ 編輯 ]

일찍이 閔氏 勢道家問議 迫害를 받아 10餘 年間 日本에 亡命하여 있던 宋秉畯이 러日 戰爭 이 勃發하자 日本軍의 오타니 基쿠조 訴狀을 따라 軍事 通譯으로 歸國하였다. 宋秉畯은 정국이 日本에게 유리하게 展開되자 日本軍을 背景으로 政治活動을 꾀하다가 漢城府에서 全 獨立協會 會員이었던 윤시병, 유학주 等과 頻繁한 接觸 끝에 1904年 8月 18日 '維新會'를 組織하고 臨時 會長에 윤시병을 推戴했다. 8月 20日 에 다시 特別會를 開催하여 '一進會'로 會名을 改稱하고 다시 會長에 윤시병을, 副會長에 유학주를 推戴하였다. 이때 大韓帝國 政府에서는 勅令으로 警務使 신태휴 로 하여금 그들의 解散을 命令하였으나, 日本 憲兵들이 이를 막았고, 오히려 警務廳 巡檢을 鈐束한다고 威脅하여 그들의 會合을 擁護하였다.

一進會는 發足과 同時에 4代 綱領을 내걸었는데, 그 內容은 다음과 같다.

  • 皇室을 尊重하게 하고 國家의 基礎를 鞏固하게 할 것
  • 人民의 生命과 財産을 保護하게 할 것
  • 政府의 改善政治를 實施하게 할 것
  • 軍政과 財政을 整理하게 할 것

一進會는 創立의 綱領과 趣旨에서 提示한 非情(秕政)에 對한 國政改革이나, 이 해 9月에 一進會의 急先務로서 會員의 一心團結의 標的인 斷髮着帽와 洋服차림을 하는 等 文明의 開化를 急激히 서둘렀다. 그러나 理解 10月 22日 에 評議員 會議를 開催하고, 一進會의 趣旨가 日本軍略上에 조금도 妨害가 없다는 뜻을 議決하여 이날 駐韓日本軍司令官 陸軍大將 하세가와 요시미치 , 憲兵隊長 다카야마, 그리고 駐韓 日本公使 하야시 곤스케 에게 傳達한 公的 書翰 內容에는 一進會가 追求하는 國政改革이나 單發着帽 等 表面上의 趣旨와는 달리 日帝 侵略에 同調하여 親日色彩를 公公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는 一齊 大韓帝國 侵略의 方向과 竝行한 表裏가 不動한 常套的인 口號에 不過했다. 이때 各種 社會團體가 漢城府 를 舞臺로 活動하였을 뿐 全國的인 脂肪組織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實情이었는데, 一進會의 活動 亦是 漢城府 를 舞臺로 하였을 뿐, 그나마도 大衆의 基盤을 가지지 못하고 日帝의 保護下에 겨우 命脈만을 維持해 오고 있었다. 이 무렵 이용구 等이 東學의 殘餘勢力을 糾合하여 利害 9月 下旬에 組織한 '진보회'는 綱領과 趣旨에서 提示한 國政改革이나 甲辰開化運動은 全國的인 基盤을 가지고 있음에 着眼하여 송병준 銀 두 團體의 合同을 推進한 結果, 理解 12月 2日 진보회를 買收,吸收하여 一進會에 統合하였다.

組織 [ 編輯 ]

이용구 는 地方支部 會員의 거의가 진보회의 會員이라는 美名 下에 13道地方 總會長 職에 앉게 되었으며, 裏面에서 一進會를 操縱하던 송병준 은 이듬해 評議員場(評義員長)에 就任하였다. 宋秉畯은 日帝의 計略的인 凶計에 呼應하여 윤시병 을 멀리하고 李容九를 買收하여 1905年 12月 22日 總會에서 會長에 이용구, 副會長에는 윤시병, 脂肪總會長에 송병준, 評議員張에 홍긍섭 을 選出하였다. 一進會는 日本人을 顧問으로 採用하는 한便 日本軍의 支援을 祕密裏에 받아 活動했다. 一進會 會員은 創立 當時 300名, 진보회와 統合한 뒤 곧 數萬의 會員이 되고, 韓日 倂合 以後에는 이른바 '100萬의 會員'이라는 口號를 내걸었으나 實際는 10萬名쯤 되었다. 이와 같이 組織된 一進會와 連繫性을 가진 外郭團體나 周邊團體가 또한 組織되어 日帝와 一進會의 四柱와 買收 工作에 依해 離合集散을 거듭하면서 日帝 侵略의 앞잡이 行脚을 벌였다. 一進會는 漢城府 를 中心으로 하여 日本軍의 保護 下에 겨우 命脈만을 維持하여 온 組織이 微微한 團體로부터 始作해 日本의 支援下에 廣範圍한 脂肪組織을 가진 全國的인 團體로 登場하게 되었다.

運營 [ 編輯 ]

一進會는 그 運營의 財政捻出 問題에 對한 規則을 보면, '會員으로부터 會費를 徵收하여 使用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實際로는 正規的인 會費 徵收는 그다지 많지 않았고, 일정한 收入의 財源도 거의 없었다. 처음부터 宋秉畯이 日帝의 軍事機密비에 依하여 運營되어왔다. 一進會가 賣國的인 行脚의 旗幟를 漸次 鮮明히 내세움에 따라 日本 帝國 은 이를 利用하고자 5萬원을 몰래 支援하여 특별한 保護를 하였고, 러日 戰爭 中 一進會 會員들의 日本軍을 위한 輸送, 偵探, 勞役 等에 對한 日本軍으로부터의 銃領袖古今 8萬 9940원, 戰爭 終了 後 統監府 로부터 1907年 1月부터 半年間 每月 2000원씩의 機密補助金, 理解 5月 15日 日本陸軍性으로부터 10萬 원을 各各 交付받았으며, 이해 8月에는 痛感 이토 히로부미 로부터 補助金으로 26萬원을 받았다. 또 宋秉畯이 이토 히로부미와 日本 外務省 長官 가쓰라에게 보낸 便紙에서나 이토 히로부미가 가쓰라에게 보낸 便紙 等의 內容으로 미루어 보아, 이때 一進會가 이토 히로부미와 가쓰라 等 日帝 當局者들로부터 이따금 金品을 받아 賣國 行爲를 敢行하고 있었음이 確實했다. 結局 日本軍의 特務機關이나 統監府와 巧妙히 結付되어 日帝의 財政的인 支援을 받은 것이다. 一進會의 規則에는 拷問을 두도록 되어 있지 않았으나 一進會의 背後에서 日本人 拷問들이 活動했음을 勘案하면, 實際로는 日帝 特히 軍部에서 派遣된 日本人들로 構成된 顧問이 그 背後에서 操縱하였다.

活動 [ 編輯 ]

日帝 侵略政策 積極 隨行 [ 編輯 ]

一進會가 創立勃起된 처음부터 解散될 때까지의 時日을 전후해서 日本 國粹主義者들이나 浪人들이 各各 幕後의 操縱者나 顧問으로서 日帝의 侵略과 一進會의 賣國 行脚을 위한 計策을 傳受하였으며, 日辰會員들은 그들의 計策을 實踐하는데 汲汲했다. 于先, 一齊 의 侵略政策 遂行에 直接 協力한 것이다. 日帝가 러日 戰爭 이 일어난 直後인 1904年 2月 23日 大韓帝國 과 맺은 韓日議定書 , 그 해 8月 22日 에는 第1次 韓日協約 을 締結하여 이른바 '拷問政治製劑'를 確立하여 植民地 方案을 推進하고 있었다. 이에 一進會는 日帝 當局에 協力하는 積極的인 行脚으로서 日帝의 戰爭遂行에 必要한 日本軍을 위해서 北進輸送隊의 軍需品 運搬( 1905年 6月 10日 ~ 1905年 10月 20日 ), 咸鏡道 로부터 肝도 에 이르는 一帶를 出入하면서 러시아軍에 對한 動態를 偵探하고, 京義線 鐵道附設工事( 1904年 10月 ~ 1905年 9月)를 日帝가 急激히 서두르자 日辰會員들은 自進해서 이 工事에 20餘萬 名의 會員을 거의 無報酬로 勞役을 動員하였으며, 100餘名의 死傷者까지 내어 큰 犧牲을 아끼지 않았다. 戰爭이 日帝에서 有利하게 終結되고, 이 무렵 英國 , 美國 等 列强과의 國際的인 均衡과 體面을 無難히 維持해 가면서 1905年 7月에 美國 과 祕密裏에 締結한 가쓰라-태프트 密約 , 1905年 8月 英國과 맺은 第2次 英日 同盟 , 1905年 9月에는 러시아 帝國 과 締結한 포츠머스 條約 이 成立됨에 따라 東洋의 大勢는 日帝에 依해 左右하게 되었다.

大韓帝國 을 保護菊花한다는 所聞이 流布되고 大韓帝國 의 朝野가 警戒心을 늦추지 않는 가운데, 一進會에서는 機先을 制壓하기 위해서 日本人 拷問이 기초한 文件인 宣言書에 修正을 加하여 1905年 11月 6日 에 外交權의 移讓을 提唱한 이른바 '一進會 宣言書'를 發表하였다. "日本의 保護指導를 받기 위해 內治, 外交權을 日本에 一任해야 된다."는 것으로서 乙巳勒約 이 强要되기 10餘日 前에 發表된 이 宣言書는 一進會의 賣國 行爲 正體를 公表한 것이었다. 11月 17日 日帝는 强制로 乙巳勒約을 締結하여 大韓帝國은 外交權이 完全히 强奪되고, 이듬해 2月에 日帝 統監府가 漢城府 에 設置되었으며, 條約 締結의 主動者인 이토 히로부미가 初代 統監이 되었다. 그리하여 大韓帝國 은 日帝 植民地化의 第一步가 된 것이다. 또한 只今까지 軍部의 保護下에 있던 一進會는 그 關係를 끊고 統監府의 麾下에서 日本人 顧問인 우치다 료헤이 의 手中에 들어가게 되었고 더욱 賣國 行爲 앞잡이에 들어갔다. '一進會 宣言書'와 乙巳勒約에 對한 全 國民의 激忿은 絶頂에 達하고 있는 反面에 日辰會員들은 夫日行爲의 反對給付로 條約이 締結된 直後 郡守로, 半年 後에는 觀察使(道知事)까지 起用되고, 드디어 宋秉畯은 李完用 內閣에서 農商工部大臣(뒤에 內部大臣에 昇進)李 되었다.

1907年 一進會가 日本 帝國 皇太子 다이쇼 大韓帝國 訪問 때 서울 南大門 앞에 세운 大型 아치. 寫眞에는 一進會의 이름이 담긴 大型 아치 위에 太極旗 日章旗 가 交叉해 있으나 아치의 中間에 '받들어 맞이한다'는 意味의 '奉迎(奉迎)'이라는 文句와 함께 中央에 日本 王室을 象徵하는 菊花 文樣이 새겨져 있다.

日帝는 一進會를 利用함으로써 侵略政策을 無難히 强行하려고 했다. 한便, 一進會는 機關紙 國民新報 를 發刊해 이를 통해 日帝의 侵略行爲를 積極 擁護했다. 1907年 7月에는 헤이그 密使 事件 을 契機로 하여 宋秉畯은 李完用과 結託하고, 日帝 當局에 迎合해서 高宗皇帝의 兩位를 强要,脅迫하고 同時에 日辰會員들에게 兩位를 재촉하는 示威를 하게 하여 마침내 高宗 皇帝 는 兩位를 하게 되었다. 日帝는 1907年 7月 24日 韓日 신협약 을 締結하고 統監府의 內政干涉을 合理化했을 뿐만 아니라 大韓帝國 政府로 하여금 1907年 7月 24日 新聞紙法 , 7月 27日 에는 保安法 을 公布케 하여 韓國民의 正當한 意思表示와 抗日運動, 愛國啓蒙運動에 規制를 加했다. 여기에 一進會와 正面으로 對立했던 啓蒙運動團體人 大韓自彊會 가 一次的으로 解散을 當했다. 이어 韓國軍의 解散이 斷行되어 全國的으로 抗日義兵이 蜂起하자 日帝는 莫大한 兵力과 軍備를 投入하여 無慈悲한 殺戮戰을 펼쳤고 一進會는 顧問인 우치다 료헤이, 다케다 限時 [1] 等의 조종하에 義兵을 鎭壓할 이른바 ' 自衛團 '을 組織하여 義兵討伐에 앞장섰으며 甚至於 義兵을 '暴徒'로 여겼다. 이와 같은 一進會의 賣國 行脚은 當時 義兵들로부터 커다란 憤激을 사게 되었는데, 1907年 7月부터 1908年 5月까지 義兵에게 입은 一進會願의 被害는 射殺子 9260名, 負傷者 10名, 燒却家屋 360號, 財産 損害額 5萬 501원 31錢에 達할 程度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無數한 一進會院이 義兵에게 被害를 입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07年 10月 日本 帝國의 皇太子 요시히吐 親王 이 來韓하였을 때에도 一進會는 日本人 拷問의 조종하에 歡迎綠門(歡迎錄門)을 세우고, 土産物 獻納과 提燈(提燈) 行列等 맞이했다. 一進會는 京鄕各地에서 遊說,講演會 等을 거듭 開催하기도 하였는데, 그들의 性格에서 보아 國民들을 煽動하고 輿論造作하기 위한 工作에서 비롯되었다. 한便 一進會의 外郭團體인 機關紙 國民新報 社, 侍天敎 回, 慈善婦人會 는 一進會에 迎合했다. 또한 周邊團體인 慈惠婦人會 , 東洋愛國婦人會 , 大韓新聞 사는 日帝의 韓國侵略의 앞잡이 行脚을 擔當하였다.

프로파간다 役割 및 輿論造作 煽動 [ 編輯 ]

이어 一進會는 日帝의 프로파간다 役割을 하여 國內의 輿論을 이른바 '合邦의 方向'으로 誘導하려고 하는 커다란 役割을 했다. 一進會는 重大한 政治的 事件이 있을 때마다 '宣言書' 基礎 作成, 遊說, 講演會 等의 賣國行脚을 敢行했다. 1909年 에 이르러 日帝는 司法權 및 監獄事務를 奪取하는 己酉約條 를 締結하고, 軍部까지 廢止하는 等 온갖 彈壓을 恣行했다. 또한 警察權 强奪에 이어 1909年 3月 26日 出版法 도 公布하는등 韓國民의 言論을 無慈悲하게 彈壓하였다. 이러한 때에 이토 히로부미 가 痛感에서 물러나고, 部痛感人 소네 아라스케 가 統監이 되었다가 無能하다 하여 곧 물러나게 하고, 이듬해 5月 데라우치 마사打케 가 統監이 되었다. 데라우치 痛感은 '韓國倂合實行에 關한 方針'에 따라 7月에 '倂合處理方案'을 城안하여 一進會의 閣議를 거쳐 이를 處決하였다. 이제 日帝에 남은 하나의 措置는 이른바 '倂合'의 公表만 남았다. 그러나 1909年 10月 26日 이토 히로부미 安重根 에게 하얼빈 에서 射殺되었다. 이토의 죽음에 對하여 一進會는 '謝罪團'과 '東亞찬영회'를 組織하여 이 機會에 日帝 當局과 統監府 에 잘보일려고 했다. 이와 때를 같이해서 日帝의 '大寒强勁派'인 가쓰라, 야마가타 等을 비롯한 그들의 顧問인 우치다 료헤이 , 다케다, 스기야마 시게마루 等이 一進會의 合邦聲明을 造作하였다. 1909年 12月 4日 에 發表한 一進會의 이른바 一連의 '合邦聲明書'는 庚戌國恥 가 斷行되기 約 8個月 前의 일로서 "韓民族의 幸福과 福祉를 위해 韓日兩國은 合邦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一進會의 聲明은 日帝가 造作한 輿論 換氣手段이었다는 것은 그들의 性格으로 보아 너무나 明確한 것이었기에 韓國 國民의 激憤을 불러일으켜 聲討와 糾彈의 對象이되었다. 그 根據로 大韓每日申報 는 紙上을 통하여 이를 '老獪宣言'(奴會宣言)이라 酷評하였을뿐만 아니라 中樞院議長 김윤식 等은 송병준 , 이용구 의 處刑을 政府에 建議하기까지 했었으나 이는 日帝의 庇護로 默殺되었다. 窮地에 몰린 一進會는 그들 幹部나 會員 中에서 退會하는 者가 續出하여 不過 數日 만에 90餘 名에 達하였으며, 이용구 우치다 료헤이 도 日本憲兵隊에 身邊을 保護받아야만 할 處地에 있었다. 그러나 이용구 等 日帝 앞잡이들과 顧問인 우치다 等이 結託하여 一進會의 外郭團體인 한성보神社 , 大寒常務組合수 , 國民同志贊成回 等 有名無實한 10 餘個 團體를 使嗾, 買收하여 一進會의 合邦聲明書를 支持하도록 造作하고 日帝 竝呑을 合理化하는 賣國行脚을 서슴지 않았다. 한便 一進會의 聲明書에 對한 反響(反響)에 依해서 스스로 反對勢力의 幅과 깊이를 알아챈 日帝當局은 이듬해 江合敵으로 斷行된 이른바 合邦을 위한 最終的 마무리 作業을 容易하게 行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1910年 8月 22日 韓日倂合條約 이 締結되고 1週日 뒤 1910年 8月 29日 大韓帝國 의 國權은 完全 强點當했다.

解體 [ 編輯 ]

一進會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의 形成過程에서 헝가리 王國 오스트리아 帝國 의 妥協案인 아우스글라이히 (키에第提示)로 因해 헝가리人 獨逸人 ( 오스트리아人 )이 對等한 權利를 누리듯이 韓日 合邦으로 韓國이 日本과 對等한 聯邦 體制를 樹立할 줄로 錯覺하고 있었다. 그리고 一進會는 日帝의 韓國竝呑을 위하여 앞잡이 노릇을 다하였으나 1910年 9月 26日 에 모든 社會團體들이 解散될 때 一進會度 一齊 데라우치 마사打케 痛感에 依해서 解散料 15萬원을 받고 解散을 當했는데, 當時 形式上 1週日의 猶豫 期間을 둔 自進 解産이었다. 當時 이용구 를 비롯한 一進會 指導部는 日本에 合倂 청원 및 間島 移住 所要資金으로 3百萬 엔을 要求했으며, 가쓰라 總理는 3千萬 엔이라도 支援하겠다는 거짓 約束을 하게 된다. 一進會 主要 幹部들 가운데 論功行賞으로 송병준 에게 朝鮮貴族 으로 自作 爵位를 주었고, 이용구 에게는 10萬원을 주는 데 그쳤다.

一進會의 會員 [ 編輯 ]

各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 김삼웅 (1995年 7月 1日). 《親日政治 100年史》. 서울: 東風. 56-57쪽. ISBN   978-89-86072-03-7 .  
  • 임종국 (1991年 2月 1日). 《實錄 親日派》. 反民族問題硏究所 엮음. 서울: 돌베개. 76~79쪽쪽. ISBN   89-7199-036-8 .  
  • 《韓國獨立運動史事前》, 獨立記念館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