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일릭 카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일릭 카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일릭 카간 ( 韓國 漢字 : 伊利可汗  이리加한 [1] , 英語 : Ilig [2] qaghan , 生年 未詳 ~ 634年 )은 東突厥 의 11代 카간 利子 마지막 카간이다. 휘는 아시나 토피 (阿史那?苾, Ashina To-pi)이다. 定款 4年( 630年 ), 戰爭을 하다 붙잡혀 戰死하였다. 이로써 東突厥 은 一時的으로 華北에서 撤收하고 몽골 地域에서 勢力을 再整備하였다.

生涯 [ 編輯 ]

夜味 카간 (啓民可汗)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突厥의 바街투르 샤 (莫賀?設)가 되었다.

武德 (武德) 3年( 620年 )에 손윗型 出라 카간 (處羅可汗)李 死亡하면서 일릭 카간으로 卽位했으며, 레비라트 法에 따라 出라 카간의 夫人이자 囚衣 公主였던 義城公州 (義成公主)를 아내로 맞았고, 시피 카간 (始畢可汗)의 赤字인 조카 十八筆(什鉢苾)을 토리스 카간(突利可汗)으로 삼았다. 또한 使臣 을 보내 出라 카간 의 死亡을 알렸다.

武德 4年( 621年 ) 4月에 일릭 카간은 몸소 1萬 氣를 거느리고 當時 黨의 마邑(馬邑)의 盜賊 원軍將(苑君璋)과 함께 黨의 안門(雁門)을 攻擊했는데, 黨의 宗室인 正양왕 (定襄王) 이대은 (李大恩)에게 敗했으나 唐나라 貴族 20萬名을 끌고 갔다. 그러나 이듬해 2月에 이대은이 일릭 카간을 攻擊했을 때, 카간은 當時 唐朝에 抗拒하던 軍閥 有黑疸 (劉??)과 함께 이대은의 唐軍을 包圍하여 이대은을 사로잡고 唐나라 百姓 12萬名을 끌고 간다.

6月에 有黑疸은 튀르크 를 끌어들여 河北(河北) 地域을 掠奪하였고, 일릭 카간은 다시 몸소 5萬 氣를 거느리고 南쪽으로 黨의 奔走(汾州)를 攻擊했으며, 또한 數千 氣를 보내 西쪽으로 榮州(靈州), 原州(原州) 等地를 點렴한다. 辰王(秦王) 李世民(李世民)李 抛主導(蒲州道)를 따라 영주와 原州에서 튀르크를 攻擊했으나 失敗하였고 이 무렵 일릭 카간은 倂奏(?州)를 包圍 攻擊하면서 兵士를 나누어 奔走, 奴主(潞州) 等地를 다시 占領하여 5千 名 가까운 唐나라 百姓을 捕虜로 잡았고, 李世民의 兵士가 抱主로 向하고 있음을 알고 兵士를 거느리고 長城을 넘었다.

武德 6年( 624年 ) 8月에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과 함께 軍士를 動員해 糖으로 쳐들어왔다. 李世民이 이를 討伐하러 나서자 두 카간은 다시 軍士를 물렸는데, 그 뒤 일릭 카간은 토리스 카간과 協筆 테긴(夾畢特勤) 亞舍那寺마 (阿史那思摩) 두 사람을 黨에 보내 和睦을 請했다. 이에 따라 高調는 亞舍那寺마를 黨의 和順王(和順王)으로 봉하였다.

武德 8年(625年) 7月에 일릭 카간은 10萬 軍士를 거느리고 朔州(朔州)를 占領하고 10萬의 百姓을 끌고 갔다. 唐의 長壽 장근(張瑾)을 太原(太原)에서 襲擊해 唐나라 軍隊를 전멸시켰으며 [3] 進軍하여 倂奏에 駐屯하였다.

武德 9年( 626年 ) 일릭 카간은 다시 몸소 10萬 氣를 거느리고 무공(武功)으로 쳐들어왔는데, 이때 黨의 警査(京師)에서는 戒嚴 態勢로 突入했다. 突厥軍은 古陵(高陵)을 치고, 黨의 행군총관(行軍總管) 左舞後代將軍(左武候大將軍) 蔚地空 (尉遲恭)과 경양(涇陽)에서 싸웠으나 敗하여, 이르킨(俟斤) 官職 亞四德誤몰鐵(阿史德烏沒?)李 붙잡혔다. 일릭 카간은 自身의 心腹 집실死力(執失思力)을 보내 黨의 調停에 入朝시키며 다시 和睦을 請했지만, 李世民은 그를 拘禁해버렸다. 9月에 일릭 카간은 말 3萬 匹과 量 1萬 마리를 黨에 바쳤으나 高調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거꾸로 일릭 카간에게 只今까지 잡혀가 奴隸가 된 數百萬의 中國人 들을 모두 돌려보내라고 要求했다.

定款 (貞觀) 元年( 627年 ) 陰散(陰山) 北쪽의 薛延陀 (薛延陀)와 위구르 (?紇), 발야고(拔也古) 等의 여러 部族이 잇따라 투르크에 叛亂을 일으켰고, 요크 샤(欲谷設)가 쫓겨왔다.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을 보내 이를 討伐하게 했지만 다시 敗하고 적은 騎馬部隊만 거느린 채 돌아와야 했고, 일릭 카간은 怒하여 돌리 카간을 열흘 넘도록 拘禁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돌리 카간은 이 일로 怨恨을 품고 일릭 카간에게 謀反할 計劃을 꾸미게 되었다. 定款 3年( 629年 )에는 薛延陀가 漠北(漠北)에서 스스로 카간을 稱하고 黨에 使臣을 보내 外交關係를 맺었고, 東突厥 內部에서도 일릭 카간에게 離叛하는 者들이 늘어났다. 唐 太宗은 條를 내려 兵部尙書(兵部?書) 이정과 대주都督(代州都督) 장공근(張公謹), 倂奏都督 移籍(李勣), 우무위將軍(右武?將軍) 舊행공(丘行恭), 左舞偉大將軍(左武?大將軍) 시소(柴紹), 位孝節(?孝節), 설만철(薛萬徹)을 보내 東突厥을 치게 했다. 李世民은 東突厥 將帥들에게 唐나라 後宮과 쌀 等을 주며 懷柔하였고 12月, 일릭 카간위즈 샤드(郁射設), 설內 테긴(蔭奈特勤) 等은 投降했다.

定款 4年( 630年 ) 唐나라軍은 이를 틈타 東突厥을 襲擊해 일릭 카간은 千里馬( 汗血馬 ?)를 타고 홀로 종질(從姪) 사발라(沙鉢羅)에게 달아났지만, 行軍副摠管(行軍副總管) 長보(張寶)가 사발라의 軍營으로 가서 일릭 카간은 投降해 傾斜路 돌아온다.

李世民으로부터 優位大將軍(右?大將軍)의 地位를 받은 일릭 카간은 定款 8年( 634年 )에 傾斜에서 死亡하였다. 唐 太宗은 條를 내려 일릭 카간의 葬禮는 東突厥 風俗대로 그 屍身을 浿水(?水) 東쪽에서 化粧하게 하였으며, 귀義王(歸義王)이라 追贈하고 諡號를 皇王(荒王)이라 하였다. 後에 東突厥은 首都 長安을 占領하여 軍隊를 駐屯시켰고 江나라에 對抗하는 都護府의 叛亂을 안정시켰다.

後날 高句麗 保障王 (寶藏王)李 682年 에 死亡하였을 때에 일릭 카간의 무덤 옆에 묻혔다.

各州 [ 編輯 ]

  1. 一理加한 이라고도 한다.
  2. 普通 Illiq 으로도 쓰인다.
  3. 장근 自身은 가까스로 빠져나와 李霆에게로 달아남

登場 作品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