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현왕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인현왕후
仁顯王后
朝鮮 肅宗의 王妃
在位 1681年 5月 2日 ~ 1689年 5月 4日 (陰曆)
1694年 6月 1日 ~ 1701年 8月 14日 (復位)
前任 인경왕후 金氏
희빈 張氏
後任 희빈 張氏
인원왕후 金氏
이름
시호 仁賢(仁顯)
揮毫 효경숙성장순원화의열정목
(孝敬淑聖莊純元化懿烈貞穆)
電弧 경녕전(敬寧殿)
身上情報
出生日 1667年 5月 15日 ( 1667-05-15 ) 오시(午時) (陽曆)
出生地 朝鮮 漢城府 반송동 私邸
死亡日 1701年 9月 16日 ( 1701-09-16 ) (34歲) (陽曆)
死亡地 朝鮮 漢城府 昌慶宮 경춘전
家門 餘興 閔氏
父親 여양府院君 민유중
母親 은성夫婦인 恩津 宋氏 (生母)
配偶者 肅宗
子女 없음
宗敎 佛敎(慶北 金泉市 靑巖寺 에서 廢妃生活) [1]
陵墓 明陵 (明陵)
京畿道 高陽市 德陽區 용두동 ( 西五陵 )

仁賢王后 閔氏 (仁顯王后 閔氏, 1667年 5月 15日 ( 陰曆 4月 23日 ) ~ 1701年 9月 16日 ( 陰曆 8月 14日 ))는 朝鮮 第19代 임금인 肅宗 의 繼妃이다. 本貫은 餘興 (驪興)으로, 여양府院君 민유중 과 은성夫婦인 宋氏( 송준길 의 딸)의 次女(次女)이다. 家門의 黨的은 父系·母系 모두 그女의 外祖父인 송준길 이 孝宗~顯宗 때 黨首로 君臨했던 西人 山堂(山黨)이었으나 그女가 王妃가 된 해이기도 한 1681年 (肅宗 7年)에 發生한 老少分黨으로 老論 이 됐다. 朝鮮의 唯一한 生存時 復位된 王妃로 1689年 (肅宗 15年) 陰曆 5月 2日에 廢妃되었다가 1694年 (肅宗 20年) 陰曆 4月 12日 三不去로 離婚이 取消되어 自動 復位되었지만 執權黨인 少論의 反撥이 極甚하여 陰曆 6月 1日 새로이 冊比例를 올리고 王妃로 登極했다. 1700年 (肅宗 26年) 3月에 發病한 怪疾로 鬪病하다가 1701年 陰曆 8月 14日에 昌慶宮 경춘전(景春殿)에서 昇遐했다. 이 餘波로 무고의 玉 과 神社환국이 發生하여 그女의 오랜 硯滴(戀敵)이었던 희빈 張氏 가 自進했으며 家門의 政敵(政敵)인 남인 · 少論 이 큰 禍를 입었다. 무덤은 西五陵 中 하나인 明陵 (明陵), 諡號는 효경숙성장순원화의열정목인현왕후 (孝敬淑聖莊純元化懿烈貞穆仁顯王后)이다.

生涯 [ 編輯 ]

幼年 時節 [ 編輯 ]

王妃 時節 [ 編輯 ]

王妃 冊封 [ 編輯 ]

肅宗의 草肥 인경왕후가 죽은 後 1年 後에 肅宗의 母后인 명성왕후 金氏와 外家 親戚인 송시열 의 推薦으로 王妃로 뽑힌다. 嘉禮 初期부터 肅宗의 愛情을 받지 못한 것으로 傳한다. 더욱이 明聖王后의 事後 肅宗은 過去 명성왕후에 依해 出宮되었던 宮人 張氏(張氏: 희빈 張氏)를 還宮시켜 後宮으로 삼고 寵愛하였다. 仁賢王后는 張禧嬪을 牽制하고자 김수항 의 從孫女人 迎賓 金氏 를 揀擇後宮으로 推薦하여 入闕시키기도 했지만 成功하지 못하였다.

玉轎 事件 [ 編輯 ]

原子 정호 事態 [ 編輯 ]

1688年 後宮 張氏 (소의 張氏)가 아들 尹(?) (後日의 景宗)을 낳자 肅宗은 이 王子를 原子를 定하고자 했으나, 當時 朝廷을 掌握하고 있던 西人 들은 原子정호를 뒤로 미룰 것을 主張했다. 宋時烈 等은 宋나라 哲宗 의 告祀를 例로 들기도 했다. 原子 정호 問題는 結局 己巳換局 으로 이어져 1689年 西人 들이 쫓겨나고 南人들이 執權하였으며 그女 亦是 廢庶人되어 안국동 史家로 내쳐졌다.

廢庶人 時節 [ 編輯 ]

안국동 親庭 生活 [ 編輯 ]

靑巖寺 生活 [ 編輯 ]

復位 後 [ 編輯 ]

復位 過程 [ 編輯 ]

廢黜된 지 5年이 지난 後인 1694年 4月 1日, 肅宗 이 南人들을 몰아내고 庶人들을 起用하여 政權을 交替하였는데 이를 甲戌換局 理라 한다. 하지만 이 當時 肅宗은 廢妃(閔氏)를 伸冤하는 者는 力率로 다스린다는 命을 내려 王妃를 交替할 마음이 없음을 宣布했다. 하지만 4月 9日, 肅宗은 마음을 바꾸어 閔氏를 서궁으로 移轉해도 좋다는 命令을 내렸고, 4月 12日 서궁으로 入居한 그女에게 王妃 復位令이 내려졌다. 同時에 王妃였던 張氏는 國母가 둘일 수 없다는 理由로 王妃의 아래 地位인 빈으로 降等되어 本來의 희빈의 綽號를 돌려 받았다.

이에 對해 西人이 다시 老論 少論 으로 分裂되었는데, 애初 老論은 廢妃 閔氏의 復位를 主張하였던 反面에 小論은 張氏의 王后職을 그대로 둔 채 闕 밖 史家에 居住 中인 閔氏가 闕 內 서궁에 入住하기만을 主張하였던 탓이다. [2] 肅宗의 名이 飜覆되자 兵曹判書 서문중 과 吏曹參判 박태상 等의 少論 巨頭들은 閔氏가 먼저 王妃였고 더 오래 王妃의 자리에 있었지만 世子의 어미인 張氏가 더 貴하니 張氏가 降等되고 閔氏가 復位하는 것은 不當하다고 主張하였고 [3] , 庭園(政院)은 朝廷百官과 愼重히 公論을 한 後에 결정지어질 때까지 命을 받들 수 없다는 拒否意思를 表明했다. [4] 뒤이어 右議政 윤지완 , 工曹判書 신익상 , 漢城府右尹 임상원 , 병조참의 理由 等의 少論의 代表 人物들이 줄을 이어 辭職上疏를 올리는 [5] 等 强勁한 拒否 意思를 보여 甲戌換局 이 있기까지 合心하였던 老論과 小論이 强하게 對立하게 되었다. [週 1]

이에 17日, 領議政이자 少論 領袖인 남구만 이 '閔氏의 復位는 이미 定해졌으니 이에 對해 擧論하여 다투는 것은 아들이 어머니에 對해 論하고 臣下가 임금에 對해 議論하는 것이니 天下의 道理에 맞지 않으며, 희빈 의 强豪는 罪가 있어서 廢黜된 것이 아니라 閔氏가 復位함에 있어 王妃가 둘이 있을 수 없으니 不得已한 것이다'고 宣言하여 老論과 小論을 仲裁下였다. 이로 인해 閔氏의 復位가 決定되었지만 老論과 少論의 사이엔 깊은 골이 생겼으며 老論은 張氏의 親庭 오라비인 장희재 에게 칼 끝을 돌려 남인 과 함께 除去하려 하였지만 老論의 行爲를 희빈 張氏 와 王世子(景宗)을 除去하기 위한 段階임을 안 南九萬과 少論의 强力한 制止로 男인 領袖 민암 富者만을 죽일 수 있었을 뿐 張希載는 목숨을 維持하여 濟州島로 流配되었다. 같은 해 6月 1日, 正式으로 王妃 冊封을 받았다.

鬪病과 死亡 [ 編輯 ]

1700年 (肅宗 26) 3月 26日, 仁顯王后의 發病이 처음 報告됐으며, 이때의 診斷名은 重症 痛風 이었다. 兩쪽의 다리, 特히 오른쪽의 痛症이 甚했으며, 還都穴 윗部分 要척 部位 近處에 붓기가 있고 痛症을 견디기 어려웠으며, 時間이 지날 수록 痛症이 느껴지는 部位가 漸漸 넓어졌다. 그리고 4月 14日부터 다리에서 痙攣이 始作되어 全身의 痙攣으로 이어지면서 狀況이 深刻해졌으며, 治療로 인해 가장 深刻했던 痙攣은 漸次 줄어들어 5月 5일부턴 痙攣은 完全히 멈춘듯 하였으나 5月 7日 붓기가 腹部에까지 올라오면서 다시 非常 事態가 됐다. 5月 12日, 前날 鍼을 놓았던 要척 아래 아시穴에 고름 차올라 播種(破腫: 腫氣의 고름을 짜냄)하였으며, 6月 21日에 이르러 亦是 앞서 鍼을 맞았던 右側 脅嚇 部位에서도 고름이 올라 播種하였다. 이때를 起點으로 癰疽 의 治療가 竝行됐다. 下半身, 特히 다리와 關節 部位의 極烈한 痛症과 皮膚와 筋肉이 서로 分離되는 느낌이 들 程度로 患部 周圍에 가득 차오르는 고름 外에도 惡心, 嘔吐, 腹痛, 泄瀉, 發熱의 症狀이 일어났으며, 이로 因해 食慾不振과 睡眠障礙가 더해져 體力이 急速度錄 나빠졌다. 이러한 症狀은 約 1年間 持續되다가 1701年 (肅宗 27) 7月 8日, 患部가 擴張되어 腹部에 이르러 上浣穴 近處에 뭔가 잔뜩 故人 形象이 있어 손으로 눌러보면 痛症이 느껴졌다하며 곧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차가워졌으며 泄瀉가 10餘 次例에 이르렀다. 8月 12日, 口腔에 부스럼이 생기고 小便이 붉은 色인데 이 또한 제대로 나오지 않으며, 特히 夜間에 다리가 아파 浸水가 便치 않았다. 그리고 다음날인 8月 13日, 意識이 昏迷해지고 이마와 허리에서 식은땀이 나고 脈搏도 不規則해지는 等 오시(午時: 午前 11時~午後 1時)부터 急速度로 狀態가 危重해져 8月 14日 丑時(丑時: 午前 1時~3時)에 療養處였던 昌慶宮 경춘전 에서 死亡했다. 享年 34歲였다.

事後 [ 編輯 ]

그를 主人公으로 한 小說 《 仁顯王后傳 (仁顯王后傳)》李 傳해져 옛 한글 硏究에 參考가 되고 있으나, 小說 內容이 實錄 等의 內容과 一致하지 않는 部分이 多數이고 事件과 人命 表記에도 誤謬가 많아 史料的 價値는 認定되지 않는다. 最近 硏究에 따르면 《仁顯王后傳》은 영`貞操帶에 男性에 依해 쓰여진 것으로 밝혀져 仁顯王后의 宮人이 아닌 仁顯王后의 親族 一族이나, 그의 廢黜에 反對했던 박태보의 後裔가 쓴 것이라는 主張이 擡頭되고 있다. [6]

家族 關係 [ 編輯 ]

本家 餘興 閔氏 (驪興 閔氏)

  • 祖父 : 江原道觀察使 增 領議政 민광훈 (江原道觀察使 贈 領議政 閔光勳, 1595~1659)
  • 조某 : 吏曹判書 淵源府院君 이광정 (吏曹判書 延源府院君 李光庭, 1552~1629)의 딸 政府인 增 貞敬夫人 沿岸 李氏 (貞夫人 贈 貞敬夫人 延安 李氏)
    • 아버지  : 戶曹判書 增 領議政 여양府院君 문정공 민유중 (戶曹判書 贈 領議政 驪陽府院君 文貞公 閔維重, 1630~1687)
  • 外祖父 : 郡守 移通(郡守 李通)의 아들 吏曹判書 이경증 (吏曹判書 李景曾, 1595~1648)
  • 外祖母 : 순화군 이보(順和君 李??, 1580~1607)의 長女 政府인 全州 李氏 界餘(貞夫人 全州 李氏 桂餘, 1598~?)
    • 어머니  : 海風夫婦인 이효아 (海豊府夫人 李孝兒, 1628~1652)
  • 外祖父 : 문정공 左參贊 增 領議政 송준길 (文正公 左參贊 贈 領議政 宋浚吉, 1606~1672)
  • 外外從祖父 : 藝文館 檢閱 正心(藝文館 檢閱 鄭?, 1596~1625)
  • 外外從祖母 : 문원공 女性軍 左贊成 增 領議政 이언적 (文元公 驪城君 左贊成 贈 領議政 李彦迪, 1491-1553)의 孫子 郡守 이의활 (郡守 李宜活, 1573-1627)의 딸 여강 李氏 (驪江 李氏)
  • 外祖母 : 大提學 增 左贊成 정경세 (大提學 贈 左贊成 鄭經世, 1563~1633)의 딸 增 貞敬夫人 晉州 鄭氏(贈 貞敬夫人 晉州 鄭氏)
    • 親어머니  : 은성夫婦인 恩津 宋氏 (恩城府夫人 恩津 宋氏, 1637~1672) = 宋浚吉의 딸
      • 언니 : 增 政府인 餘興 閔氏 (贈 貞夫人 驪興 閔氏, 1656~1728)
        • 조카 : 李縡(李縡 1680~1746)
      • 오빠 : 禮曹判書 衝문공 민진후 (禮曹判書 忠文公 閔鎭厚, 1659~1720) [7]
      • 오빠 : 左議政 문충공 민진원 [左議政 文忠公 閔鎭遠, 1664~1736)
      • 女同生 : 장렬왕후 의 異種孫女, 영풍군否認 의 姪婦 평산人 加平郡守 신석화 (加平郡守 申錫華, 1672~1714)에게 出家
    • 어머니  : 風窓夫婦인 풍양 조氏 (豊昌府夫人 ?壤 趙氏, 1659~1741)
    • 庶母 : 不明
      • 庶弟 : 學館 民進窓 (學官 閔鎭昌)
      • 庶弟 : 縣監 民進誤 (縣監 閔鎭五)
      • 서매 : 閔氏(閔氏, 1671?~?)
      • 鉏妹夫 : 이만(李慢, 1669~1734)
      • 서매 : 閔氏(閔氏)
      • 鉏妹夫 : 幽玄(柳絢)(1686年~?)

王家(王家 : 全州 李氏)

  • 媤아버지 : 第18代 현종대王 (顯宗大王, 1641~1674, 在位 1660~1674)
  • 媤어머니 : 明聖王后 金氏 (明聖王后 金氏, 1642~1684)
    • 男便  : 第19代 肅宗大王 (肅宗大王, 1661~1720, 在位 1674~1720)
      • 兩者 : 第20代 警鐘大王 (景宗大王, 1688~1724, 在位 1720~1724)

宋時烈과의 關係 [ 編輯 ]

西人(분당 以後로는 老論)의 領袖이자 王으로 일컬어졌던 尤庵 宋時烈은 仁顯王后의 外祖父인 송준길 科 父系로는 13寸이며 陳外家로는 6寸間 [週 3] 이다. 宋時烈은 陳外家의 寸數로 따져 1살 年上인 宋浚吉을 叔父가 아닌 兄으로 불렀다고 한다. 宋時烈과 宋浚吉은 單純한 親戚 關係를 떠나서도 특별한 사이였는데 宋時烈이 8歲의 나이로 宋浚吉의 집에서 受學하였고 함께 장성해 같은 스승 아래 同門受學하였던 點이나, 같은 思想으로 意氣投合하여 分裂되어 있던 西人을 統合하고 指揮하여 良松(兩宋)에 일컬어지게 된 것은 두 사람의 關係가 親兄弟 以上이었음을 알 수 있는 部分이다. 仁顯王后의 아버지 민유중 [週 4] , 큰아버지 민정중 , 오빠 민진후 , 민진원 은 모두 宋時烈의 門下이기도 하다.

인경왕후와의 關係 [ 編輯 ]

肅宗의 草肥(初妃) 인경왕후와 仁賢王后는 寸數로 따지면 11寸 痼疾(姑姪)之間으로, 仁賢王后는 인경왕후의 아버지인 김만기 ·叔父인 김만중 와 같은 行列인 10寸 四宗兄弟之間이다. 인경왕후의 現祖父(5代祖)인 김계휘 는 仁顯王后의 外曾祖母人 광산 金氏 ( 송준길 의 어머니)의 叔父로, 송준길 의 外祖父인 김은휘가 김계휘 의 아우이다.

또한, 仁顯王后의 中모(仲母)인 南陽 洪氏( 민정중 의 계실)와 인경왕후의 祖母인 해평 尹氏( 김만기 · 김만중 의 어머니)는 外四寸姊妹 之間으로, 김만기 · 김만중 의 外祖母인 洪氏( 홍명원 의 딸)가 홍처윤 ( 민정중 의 丈人)과 홍처후 ( 한성우 의 丈人)의 누이이다. 인경왕후의 조某 尹氏의 外四寸兄弟人 홍수헌( 홍처후 의 아들. 한성우 의 妻男)은 이숙의 딸과 婚姻하였는데, 이 이숙의 딸이 仁顯王后의 兄夫 이만창 의 누이이다. 仁顯王后의 큰올케( 민진후 의 妻)와 김만중 의 妻는 再從姊妹(6寸) 사이로 민진후 의 丈人 이단상 김만중 의 丈人 이은상 은 四寸兄弟이다. 또, 인경왕후의 堂叔인 김만균 민진후 는 妻4寸 之間이 된다. [週 5] 仁顯王后의 死亡을 전후하여 인경왕후의 5寸 조카이자 김만중 의 孫子인 김광택 민진후 의 사위가 되어 仁賢王后의 조카사위가 되었다.

仁顯王后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區分 鳶島 作品名 俳優 參考
映畫 1961年 張禧嬪 1代 조미령 정창화 監督
1968年 妖花 張禧嬪 2代 태현실 임권택 監督
드라마 1971年 張禧嬪 3代 김민정 MBC
1981年 ~ 1982年 女人列傳 시리즈 中 第1話 《 張禧嬪 4大 이혜숙 MBC
1988年 인현왕후 5大 朴順愛 MBC
1995年 張禧嬪 6大 김원희 SBS
2002年 ~ 2003年 張禧嬪 7代 朴善英 KBS
2010年 東이 8代 박하선 MBC
2012年 仁顯王后의 男子 9代 김해인 tvN
2013年 장옥정, 사랑에 살다 10代 홍수현 SBS
2015年 웹툰히어로 툰드라쇼 11代 이현지 MBC 에브리원

小說 [ 編輯 ]

  • 仁顯王后傳
  • 《蓼花 張禧嬪》 이준범, 민예사, 1994, ISBN 2-00-236900076-7
  • 《東夷》 이준혁, 2010, 문예춘추사, ISBN   978-89-7604-055-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肅宗實錄에는 少論의 反撥과 尹趾完 等이 團體로 辭職 上疏를 올린 記錄이 完全히 漏落되어 있고 承政院日記에서만 確認이 可能하다. 代身 肅宗實錄에는 '거칠고 學識이 없어 無識한 少數의 무리(서문중, 尹趾完 等을 指目艦)'가 '義理가 어두워지고 倫理를 잃어' '뒷날의 禍福(世子의 卽位)만 생각하고', '凶黨(南人과 희빈)에 阿附下였다.', '사람들이 손가락질하고 더러워했다.'는 表現을 數次例 反復해 다른 技士에 나누어 실었다.
  2. 민치구 의 高祖父이다. 민치구 高宗 의 外祖父이다.
  3. 아버지들이 外四寸 關係
  4. 本來는 宋浚吉의 門下였지만 宋浚吉의 사위가 되어 宋時烈의 문하가 되었다.
  5. 김만균 이단상 의 兄 이일상 의 사위로, 김만균 의 妻와 민진후 의 妻는 四寸姊妹이다.

出處 [ 編輯 ]

  1. 歷史와 가을 마주하는 金泉 修道山 '인현왕후길' 거닐어 볼까?
  2. 肅宗實錄 20年(1694 甲戌 / 靑 康熙(康熙) 33年) 4月 1日(무진) 2番째記事 ‘弩幢은 廢妃를 復位시키려 하고, 소당은 廢妃를 別宮(別宮)에 옮기려 한다.’
  3. 肅宗實錄 20年(1694 甲戌 / 靑 康熙(康熙) 33年) 4月 12日(己卯) 6番째記事
  4. 肅宗實錄 20年(1694 甲戌 / 靑 康熙(康熙) 33年) 4月 13日(競進) 2番째記事
  5.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4月 16日 (癸未) 元本356冊/脫抄本18冊
  6. 宦官과 宮女|朴榮圭 저|P.364
  7. 한수재先生文集 中 여양府院君문정민공信徒悲鳴, 약천집 中 동춘先生墓地門추지 外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인경왕후
朝鮮 歷代 王后
1681年 ~ 1689年 (王妃 初任)
1689年 ~ 1694年 (廢妃)
1694年 ~ 1701年 (王妃 復權)
後任
인원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