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인열왕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인열왕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인열왕후
仁烈王后
朝鮮 仁祖의 王妃
在位 1623年 3月 14日 ~ 1635年 12月 9日 (陰曆)
前任 廢妃 劉氏
後任 장렬왕후 조氏
이름
시호 인열(仁烈)
揮毫 정유명德政順(正裕明德貞順)
電弧 숙녕전(肅寧殿)
爵號 淸聲賢夫人(淸城縣夫人)
身上情報
出生日 1594年 8月 6日 ( 1594-08-06 ) (陰曆)
出生地 朝鮮 江原道 原州邑內 우소(寓所)
死亡日 1636年 1月 6日 ( 1636-01-06 ) (41歲) (陰曆)
死亡地 朝鮮 漢城府 昌慶宮 餘暉當
家門 淸州 韓氏
父親 書評府院君 한준겸
母親 會散夫婦인 昌原 黃氏
配偶者 人組
子女 4男 (6男 1女)
소현세자 · 孝宗 · 인평대군 · 용성대군
陵墓 章陵 (長陵)
京畿道 坡州市 炭縣面 갈현리

인열王后 韓氏 (仁烈王后 韓氏, 1594年 8月 16日 ( 陰曆 7月 1日 ) ~ 1636年 1月 16日 ( 1635年 陰曆 12月 9日 ) )는 朝鮮 人組 의 整備이며, 소현세자 孝宗 의 어머니이다.

生涯 [ 編輯 ]

誕生과 家計 [ 編輯 ]

本貫은 淸州 이며, 1594年 (宣祖 27年) 7月 1日, 江原道 原州 의 우소(寓所, 臨時로 居住하는 곳 )에서 當時 原州牧師로 赴任中이던 아버지 書評府院君 한준겸 과 어머니 會散夫婦인 昌原 黃氏 의 2男 4女中 막내로 태어났다. 태어난지 40日 만에 어머니 皇氏가 世上을 떠나자, 할머니인 申氏 夫人이 養育하였다. [1]

인열王后의 할머니인 신금희와 外할아버지인 황성은 太宗 의 王子인 효령대군 의 5代孫이며, 인열王后의 父母는 효령대군을 共通 祖上으로 하는 6代孫이다.

     ┌─→ 낙안군 泥濘 이씨부인 신우호 新件    신금희    한준겸     인열왕후    
    효령대군    
     └─→    서원군 二親        高림軍 이훈       이씨부인       黃탕경    황성    會散夫婦인   

男便인 人組 와는 太宗 을 共通 祖上으로 한다.

婚姻 [ 編輯 ]

1610年 (光海君 2年) 9月, 宣祖 의 孫子이자 정원군 의 長男인 능양군( 人組 )과 吉禮를 올리고 淸聲賢夫人 (淸城縣夫人)에 封해졌다. 이 時期에 長男 王( 소현세자 )과 次男 號( 孝宗 ), 3男 요( 인평대군 )를 낳았다.

王妃 時節 [ 編輯 ]

1623年 (光海君 15年), 仁祖反正 으로 男便 능양군이 卽位하자 韓氏 또한 王妃로 冊封되었다. [2] 1624年 (仁祖 2年), 當時 용성대군 을 妊娠하고 있었는데, 李适의 亂 이 일어나자 인목왕후 와 함께 忠淸道 公州 로 避難하였다. [3] 3年 後인 1627年 (仁祖 5年), 丁卯胡亂 이 發生하자 江華島 로 避難하였다.

1626年 (仁祖 4年) 1月, 公主를 出産하였으나 半年만에 夭折하였고, 1629年 (仁祖 7年), 다섯째 大軍을 出産하였으나 亦是 夭折하였다.

인열왕후는 人組 에게 助言을 아끼지 않았으며, 仁祖가 言官(言官)을 特別히 替直시켰을 때에는 “말이 꼭 맞지 않는다 하더라도 臺諫의 이름을 지닌 官職인 以上 處置할 때 공의(公議)를 따르지 않는다면 임금의 德에 累를 끼치고 言路(言路)를 막게 될 듯 싶습니다.” 하고 間하기도 하였다. [4]

또한 청렴하고 儉素하였으며 嚴冬雪寒이나 무더운 여름철에는 僞史들이 苦生하는 것을 念慮하여 때때로 飮食을 내려 주곤 하였다. [4]

最後 [ 編輯 ]

1635年 (仁祖 13年) 12月 4日, 여섯째 大軍을 낳았으나 낳자마자 죽었다. [5] 5日 後인 12月 9日, 昌慶宮 餘暉當의 産室廳에서 産後病으로 因해 昇遐하였다. [6] 人組 는 인열王后를 看護했던 衣冠들을 잡아 問招하였으며 인열王后의 出産을 도왔던 奉保夫人 응玉(應玉)을 流配하였다.

 
中前이 大軍의 죽음으로 인해 病이 危篤해져, 新詩(申時, 午後 3時~5時 )에 産室廳에서 昇遐하였다.
大臣과 禮官을 불러 下敎하기를,
"뜻밖에 喪을 當하였다. 各司로 하여금 殮襲할 여러 道具를 準備하도록 하라." 하였다.
後(后)의 性은 韓氏이고, 高麗 太尉 寒暖(韓蘭)의 後孫이며,
書評府院君(西平府院君) 한준겸 (韓浚謙)의 딸이다.
王妃의 자리에 오른 지 13年 동안 外征(外政)을 宮內에 들리게 하지 않았고,
內定(內政)을 宮밖에 들리게 하지 않았다.
上( 人組 )이 恒常 〈複主導(覆舟圖)〉를 鑑賞하고 있었는데, 後가 進言하기를,
"바라건대 賞께서는 이를 보시면서 위태로움과 두려운 바를 생각하시고,
 愛玩하는 物件으로만 여기지 마소서." 하였다.
床이 間或 定員을 整備하려 하면, 後가 그때마다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床이 歷史를 中斷하였는데
賞을 輔弼하여 內治를 한 것이 大部分 이러하였다.
또 정사(靖社, 仁祖反正 )의 擧事를 할 때 後가 실로 代母(大謀)에 參與하여 도움을 준 바가 매우 많았다.
後가 氣絶하자, 世子( 소현세자 )가 손가락을 끊으려 하였으나, 床이 막았다.
百官이 擧哀(擧哀) 하고 服裝을 바꾸었다.
? 《 仁祖實錄 》 31卷,
仁祖 13年(1635年 名 숭정(崇禎) 8年) 12月 9日 (乙酉)

事後 [ 編輯 ]

시호 및 陵墓 [ 編輯 ]

人組 와 인열왕후가 묻힌 章陵

諡號는 인열 (仁烈)이며, '人을 베풀고 義를 따르는 것'을 人(仁)이라 하고, '功勞가 있고 百姓을 便安하게 하는 것'을 열(烈)이라 한다. [7] 元來 人組 는 名헌(明憲)이란 諡號를 내리길 願했으나 大司憲 김상헌 이 諡號를 定하는 일을 擔當 官員이 아닌 君主의 意向대로 할 수 없다고 하여 人熱로 定해졌다. [7]

戰壕는 숙녕(肅寧)이며, 揮毫는 정유명德政順 (正裕明德貞順)으로 아들 孝宗 이 '明德정순'을, 高宗 이 '精油'의 尊號를 抽象하였다.

陵은 京畿道 坡州市 炭縣面 에 있는 章陵 (長陵)으로 人組 와의 合掌陵이다. 最初의 埋葬地에 뱀과 全蠍이 나타나고 火災가 發生하는 等의 問題點이 指摘되자, 1731年 (英祖 7年) 現在의 位置로 移葬되었다. [8]

일화 [ 編輯 ]

  • 한 宮女가 인열왕후에게 광해군 의 後宮이었던 宿願 韓氏 (韓寶香)가 光海君을 잊지 못해 눈물을 흘린다고 알리자, 步香을 의로운 사람이라고 稱讚하며 保姆尙宮으로 임명하였다.
 
鑛害 때의 옛 宮人 中에 나이가 늙고 罪 없는 사람은 宮中에서 그대로 일을 보게 하였다.
그 中에 韓氏(韓氏) 步香(保香)이라는 이가 있어 옛 임금( 광해군 )을 잊지 못하여 때때로 슬프게 울었는데,
宮人이 “步香이 옛 임금을 생각하니 變故가 생길까 두렵다.”고 王后에게 密告하였다.
王后가 이르기를,
“이는 의로운 사람이다.” 하고 韓氏를 불러 매우 慰勞하며 이르기를,
“國家가 興하고 亡하는 것은 無常한 것이다.
 우리 임금이 하늘의 힘으로 오늘 寶位에 있지만 後날 다시 鑛害처럼 王位를 잃게 될지 어찌 알겠느냐.
 너의 마음가짐이 이러하니 내 아들을 保育할 만하다.” 하고 保姆尙宮에 命하고 후추 한 말을 내려 주었다.
한便 密告한 사람을 불러 종아리를 때리며 이르기를,
 “오늘날 너의 行動을 보니 다른 날의 마음을 알 수 있겠다.” 하였다.
이에 韓氏는 感激하여 눈물을 흘렸고,
그동안 不安한 마음을 지녔던 옛 宮人들이 모두 安心하고 服從하였다.
? 《 工事見聞錄
  • 人組 의 後宮인 熟議 張氏 를 厚하게 對하였다. 反面 이성길의 딸로 後宮으로 뽑힌 宮人 李氏는 인열王后의 미움을 받아 쫓겨났다. [9]
  • 인열王后의 언니와 親戚 夫人들이 자주 宮闕을 出入瑕疵 史觀이 이를 批判하였다. [10] 實錄에서 言及된 여이징 의 아내는 인열王后의 둘째 언니이고, 정백창 의 아내는 셋째 언니인데, 모두 丙子胡亂 때 江華島에서 自決하였다.
    뿐만 아니라 震源軍 이세완과 婚姻한 인열王后의 異腹 동생인 賢婦인 韓氏 또한 丙子胡亂 때 自決하였다. 이 밖에도 한준겸 의 子孫 10餘名이 宮闕 內에 있다가 淸나라 軍隊가 侵入하자 모두 自決하였다.
 
이 當時에 宮闕이 嚴格하지 못해서 王后의 親戚 夫人들이 아무때나 出入하였다.
여이징 (呂爾徵)의 妻는 宮闕에 들어와 中前을 뵙고 열흘씩 묵었으나 여이징이 막지 않았다.
정백창 (鄭百昌)은 爲人이 비록 驕慢放恣하였으나 그래도 士大夫의 精神이 있어,
그 妻家 必要없이 宮闕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정백창을 稱讚하고 여이징을 非難하였다.
? 《 仁祖實錄 》 26卷,
仁祖 10年(1632年 名 숭정(崇禎) 5年) 5月 4日 (新築)
  • 人組 와의 사이에서 6男 1女를 낳았는데, 王妃가 된 後에 낳은 3男 1女는 모두 早卒하였다. 이 밖에도 1631年(仁祖 9年) 12月, 인열王后의 出産을 對備하여 産室廳을 設置할 것을 指示한 記錄이 남아 있지만 以後 出産과 關聯한 記錄은 남아있지 않다. [11]
  • 인열王后의 床에 弔問하러 온 淸나라 용골대 馬夫臺 等이 가지고 온 國書를 두고 政爭이 發生하였다. 朝鮮에서 淸의 弔問團과 使臣을 薄待하여 以後 丙子胡亂 의 구실 中 하나가 되었다.
  • 인열왕후가 昇遐하고 3個月이 지난 1636年(仁祖 14年) 3月, 소현세자 의 長男인 元孫 석철( 경선군 )이 태어났으나 人組 는 頒敎文만 내리고 인열王后의 國喪中이므로 鎭下와 賀禮聯銀 올리지 말라고 하였다.
아아,
'弔問하러 온 사람은 門 앞에 와 있고, 祝賀하러 온 사람은 마을 어귀에 와 있다'는 말처럼 [12]
吉事와 凶事가 한꺼번에 닥친 날을 當하였다.
슬픔에 가슴 아파하고 기쁨에 노래하면서 中外에 告하는 글을 지었다.
 
— 元孫의 誕生을 祝賀하는 人組 의 頒敎文 中
  • 人組 는 인열왕후 승하 後에 再婚하지 않겠다고 하였지만 1638年(仁祖 16年), 장렬왕후 를 繼妃로 맞이하였다. [13]
國家에 있어서 繼妃(繼妃)는 예로부터 害毒은 있으나 有益함은 없었다.
나는 이러한 解讀이 있는 일을 하여 子孫과 臣民들에게 弊를 끼치고 싶지 않다.

그리고 三年喪의 制度도 매우 重大하여, 自愛하는 아비로서 생각하여야 할 것이기에
나는 이미 再娶하지 않겠다고 뜻을 決定하였다.

 
— 《 仁祖實錄 》 34卷,
仁祖 15年(1637年) 3月 27日 (病人)

家族 關係 [ 編輯 ]

   朝鮮의 王妃        인열王后 韓氏    
仁烈王后 韓氏
出生 死亡
1594年 8月 6日 ( 陰曆 7月 1日 )
조선 朝鮮 江原道 原州
1636年 1月 6日 ( 1635年 陰曆 12月 9日 ) (43歲)
조선 朝鮮 漢城府 昌慶宮 餘暉當

父母 [ 編輯 ]

本館 生沒年 父母 備考
  部      書評府院君 西平府院君   
한준겸 韓浚謙
淸州 1557年 - 1627年 한효윤 韓孝胤
신금희 申金?
효령대군 의 6代孫 [14]
會散夫婦인 檜山府夫人
黃氏 黃氏
昌原 1561年 - 1594年 황성 黃珹
우봉 李氏 牛峰 李氏
효령대군 의 6代孫 [15]

夫君 [ 編輯 ]

   朝鮮 第16代 國王        人組 仁祖    出生 死亡
1595年 12月 7日 ( 陰曆 11月 7日 )
조선 朝鮮 黃海道 海州 정원군 私邸
1649年 6月 17日 ( 陰曆 5月 8日 ) (53歲)
조선 朝鮮 漢城府 昌德宮 大造殿

子女 [ 編輯 ]

爵號 이름 生沒年 配偶者 備考
長男 소현세자 昭顯世子 王 汪 1612年 - 1645年 민회빈 姜氏 閔懷嬪 姜氏  
次男 孝宗大王 孝宗大王
봉림大君 鳳林大君
號 淏 1619年 - 1659年 인선왕후 張氏

仁宣王后 張氏 

   第17代 國王   
3男 인평대군 麟坪大君 요 ? 1623年 - 1658年 복天夫婦인 吳氏 福川府夫人 吳氏
4男 용성대군 龍城大君 곤 滾 1624年 - 1629年
長女 公州 [16] 1626年 - 1626年
5男 大君 [17] 1629年 - 1629年
6男 大君 [18] 1635年 - 1635年

孫자녀 [ 編輯 ]

소현세자 孝宗大王 인평대군
경선군 慶善君 驚惋群 慶完君 경안군 慶安君 經宿君主 慶淑郡主 경녕군週 慶寧郡主 경순君主 慶順郡主 현종대王 顯宗大王 숙신공주 淑愼公主 숙안공주 淑安公主 숙명공주 淑明公主 숙휘공주 淑徽公主 숙정공주 淑靜公主 숙경공주 淑敬公主 福녕軍 福寧君 복창군 福昌君 복선군 福善君 복평군 福平君 이금온 李金溫 李氏 李氏 

登場 作品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

各州 [ 編輯 ]

  1. 書評府院君 代父인 신氏 墓誌銘
  2. 仁祖實錄 》 1卷, 仁祖 1年(1623年 名 天界(天啓) 3年) 3月 14日 (甲辰)
    仁祖의 卽位와 光海君의 廢位에 對한 王大妃의 敎書
  3. 仁祖實錄 》 4卷, 仁祖 2年(1624年 名 天界(天啓) 4年) 2月 8日 (壬辰)
    賞과 自轉 · 中前 等이 避難길에 오르다
  4. 인열왕후 章陵 指紋
  5. 仁祖實錄 》 31卷, 仁祖 13年(1635年 名 숭정(崇禎) 8年) 12月 5日 (紳士)
    大軍이 태어나자 죽으니, 禮曹가 例로 葬事지낼 것을 아뢰다
  6. 仁祖實錄 》 31卷, 仁祖 13年(1635年 名 숭정(崇禎) 8年) 12月 9日 (乙酉)
    中前이 産室廳에서 昇遐하니, 代身들과 喪禮를 議論하다
  7. 仁祖實錄 》 31卷, 仁祖 13年(1635年 名 숭정(崇禎) 8年) 12月 17日 (癸巳)
    代行 王妃의 시호 · 陵號 · 戰壕를 決定하다
  8. 英祖實錄 》 30卷, 英祖 7年(1731年 靑 雍正(雍正) 9年) 8月 30日 (更新)
    丑時에 長陵의 천전을 行하다
  9. 仁祖實錄 》 47卷, 仁祖 24年(1646年 靑 脣齒(順治) 3年) 11月 15日 (戊午)
    懇願이 光州府尹 구오가 宮人을 데리고 사는 理由로 罪를 定하도록 請하다
    當初 參判 이성길(李成吉)에게 千疊(賤妾) 所生의 딸이 있었다.

    총명하고 재주가 있었으며 또 文字(文字)를 解讀하므로 後宮(後宮)으로 뽑혀 들어갔었는데, 일찍이 賞의 시중을 든 적이 있었다.

    얼마 안 되어 인열왕후(仁烈王后)에게 미움을 받아 쫓겨났는데

    (中略)
  10. 仁祖實錄 》 26卷, 仁祖 10年(1632年 名 숭정(崇禎) 5年) 5月 4日 (新築)
    宮闕에 王后의 親戚 夫人들이 드나드는 弊習이 늘 있다
  11. 承政院日記 》 34冊 (脫抄本 2冊) 仁祖 9年(1631年 名 숭정(崇禎) 4年) 11月 7日 (病者)
    藥房이 아뢰기를,

    "內戰(內殿)李 섣달에 解散할 것이니 모든 일을 미리 準備하여 待令하도록 命을 내리셨습니다. 다음 달부터 議官이 미리 直宿하는 일을 敢히 아룁니다." 하니,

    傳敎하기를, 섣달에 請을 設置하라고 하였다.

  12. 吉凶禍福의 無常함을 일컫는 말
  13. 仁祖實錄 》 34卷, 仁祖 15年(1637年 名 숭정(崇禎) 10年) 3月 27日 (病人)
    繼妃를 取하지 않는다 하다
  14. 효령대군 → 낙안군 泥濘 → 이씨부인 → 신우호 → 新件 → 신금희 → 한준겸
  15. 효령대군 → 서원군 二親 → 高림軍 이훈 → 이씨부인 → 黃탕경 → 황성 → 會散夫婦인
  16. 承政院日記 》 14冊 (脫抄本 1冊) 仁祖 4年(1626年 名 天界(天啓) 6年) 7月 15日 (乙酉)
    새로 태어난 公主를 잃은 聖上의 安否를 묻는 藥房의 界
    藥房提調 徐渻, 副提調 조익이 가로되,

    "삼가 듣자오니 새로 태어나신 公主께서 不意에 夭折하였다는 消息을 듣고, 삼가 생각컨대 聖上께서 슬프고 괴로우신 中에 놀라고 슬퍼하실 줄 아오나, 神들이 근심을 억누르지 못하고 敢히 問安을 올립니다." 하니 "알았다." 하고 答하였다.

  17. 仁祖實錄 》 21卷, 仁祖 7年(1629年 名 숭정(崇禎) 2年) 8月 29日 (紳士)
    承旨 審額이 大軍의 賞을 禮曹로 하여금 主管케 할 것을 請하다
    承旨 審額(沈?)李 아뢰기를,

    "大君(大君)의 上(喪)이 아직 上(?)에 該當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死體가 重大한 만큼 葬禮에 關한 일을 歸厚署(歸厚署)에만 專擔시킬 수는 없습니다. 禮曹 郎官 1원(員)으로 하여금 主管케 하는 것이 마땅할 듯합니다." 하니, 床이 允許하였다.

    當時 大軍은 태어난 지 한 달도 못되어 죽었다.

  18. 仁祖實錄 》 31卷, 仁祖 13年(1635年 名 숭정(崇禎) 8年 12月 5日 (紳士)
    大軍이 태어나자 죽으니, 禮曹가 例로 葬事지낼 것을 아뢰다
前任
廢妃 劉氏
( 인헌왕후 )
朝鮮 歷代 王后
1623年 ~ 1635年
後任
장렬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