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여

이여 (李?, 1645年∼1718年)는 朝鮮 의 文身이다. 字는 紫蔘(子三) 또는 馳報(治甫), 號는 砲音(浦陰) 또는 收穀(睡谷), 諡號는 聞慶(文敬), 本貫은 덕수 이다. 송시열 門下에서 學問을 닦았으며 肅宗 때 文科에 及第하여 副提學이 되었다. 그러나 1689年 己巳換局 으로 송시열 과 함께 벼슬에서 쫓겨났다. 1694年 甲戌獄事 남인 들이 벼슬에서 쫓겨나자 刑曹參判이 되었으며, 인현왕후 가 復位될 때에 仲弓 復位 고명문 製述官으로 일하였다. 그 後 判中樞 府使가 되어 옳은 政治를 위해 많은 努力을 하였다. 肅宗 때 文科에 及第해 檢閱, 弘文館正字, 修撰, 正言, 副修撰, 獻納, 吏曹佐郞, 吏曹正郞, 副應敎, 집의, 獻納, 사인 等 請要職과 玉堂을 두루 거쳤고, 同副承旨와 吏曹參議, 副提學, 大司諫을 하다 己巳換局으로 벼슬에서 쫓겼다가 甲戌換局으로 復歸해 刑曹參判으로 任命되고, 弘文館提學과 同知經筵事, 大司成, 副提學, 都承旨를 거쳐 吏曹參判, 工曹參判, 同知義禁府事, 大司成, 藝文館提學을 한 뒤 禮曹判書, 冬至使, 漢城府判尹, 大司憲, 京畿道觀察使, 吏曹判書, 藝文館提學, 左參贊, 大提學, 同志競演, 右參贊, 知經筵事, 判義禁府事를 하다 右議政 左議政 을 거쳐 領議政 이 된다. 뒤에 判中樞府事를 거쳐 領中樞府事가 된다.

家族 關係 [ 編輯 ]

  • 高祖父 : 이섭(李涉)
    • 曾祖父 : 이안성(李安性)
      • 할아버지 : 移植(李植)
        • 아버지 : 이신하(李紳夏)
        • 어머니 : 愼候완의 딸
        • 叔父 : 이단하(李端夏)
          • 否認 : 壬坐의 딸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