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민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르민술 ( 古代 작센어 : Irminsul )은 색슨人 의 宗敎的 象徵이다. 기둥 模樣의 物件이라고 하는데, 그 正體가 무엇인지에 關해서는 數百 年 間 意見이 紛紛하다.

어원 [ 編輯 ]

게르만의 神 이르민 은 이르민술의 이름 및 이르미老네인 의 이름의 語源이 되었으며, 색슨人들의 民族神이거나 또는 返信 일 것으로 생각된다. [1] 또는 다른 神, 예컨대 補綻 을 가리키는 이名이라는 說도 있다. 耳鳴이라는 說에서는 初期에는 癡愚 의 이名이었다가 나중에 게르만족의 大移動 時代에 步彈이 癡愚를 제치고 主神으로 格이 上昇하면서 補綻의 이名이 되었다고 解釋한다.

"이르민"의 노르드어 形態는 "요르門( 古代 노르드어 : J?rmunr )으로, 곧 "偉大한, 巨大한"이라는 뜻이다. 야코프 그림 은 요르門그룬드(i?rmungrund; 巨大한 땅, 곧 地球 ), 요르門間드 (i?rmungandr; 巨大한 뱀) 等의 表現을 例示로 들면서 高게르만족의 "이르민"이라는 이름을 노르드의 "요르門"과 결부시켰다. [2]

出戰 [ 編輯 ]

이르민술을 破壞하는 카롤루스. 하인리히 로이테만 의 1882年 그림.

프랑크 王室 編年史 》의 紀元後 772年 部分을 보면, 색슨 戰爭 當時 카롤루스 1歲 가 색슨人의 宗敎 中心地인 이르민술을 破壞하라는 命令을 내린 것이 여러 次例 言及된다. [3] 이르민術의 所在地는 오늘날의 獨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오버마르스베르크 近郊라고 한다. [3] 야코프 그림은 이르민術의 所在地가 오버마르스베르크에서 24 킬로미터 떨어진 토이토부르크 숲 속이며, 이 一帶의 本來 地名인 "오스닝(Osning)"은 "성스러운 나무"라는 뜻이었을 것이라 主張했다. [3]

베네딕도會 修道士 루돌프 폰 풀다 는 《性 알렉산더의 奇跡》( De miraculis sancti Alexandri ) 제3장에 이르민술에 對한 內容을 敍述해 놓았다. 루돌프의 描寫에 따르면 이르민術은 하늘을 向해 치솟은 巨大한 나무 기둥이었다고 하며, 이르민術이라는 이름은 天地 萬物을 支撐하는 기둥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3]

飛頭킨트 폰 코르바이 의 《 색슨人의 私的 》(970年頃 著述)에는 531年 색슨人 指導者 하두가토 튀링기인 에게 勝利하고 勝利의 神에게 바치는 祭壇을 세웠는데, 그 形象이 나무 기둥과 같았다고 쓰고 있다. 이 기둥 模樣 祭壇이 이르민術이라고 解釋되기도 한다. [4]

偶像을 올려놓는 받침臺로 解釋된 이르민술.

루도비쿠스 1歲 피우스 의 治世인 9世紀에 오버마르스베르크에서 돌기둥 하나가 發掘되어 [5] 히델스하임 大聖堂 으로 옮겨졌다. 이 돌기둥은 19世紀 末까지 촛臺 로 使用되었다고 한다. [6] 히델스하임에서는 13世紀까지도 기뻐하라의 週日 (四旬節 第4日曜日) 다음 土曜日에 카롤루스 大帝의 이르민술 破壞를 記念하는 行事를 했는데, 이 行事는 大聖堂 앞 廣場에 높이 6 피트의 기둥을 두 個 세우고 두 기둥 周圍로는 높이 1 피트의 나무彫刻들을 둘러싸 마치 피라미드 같은 模樣을 만든 뒤 아이들이 막대기와 돌로 나무彫刻들을 두들겨 넘어뜨리는 式으로 進行되었다. 이 慣習은 獨逸의 다른 地域들에서도 發見되는데, 할버슈타트 에서는 기뻐하라의 週日 當日날 儀典私製 가 直接 나서서 擧行했다고 한다. [7]

解釋 [ 編輯 ]

타키투스 의 《 게르마니아 》에 보면 프리詩人 들의 땅에 " 헤라클레스의 기둥 들"이 있다는 言及이 있다. [8] 타키투스는 이것이 正말 헤라클레스 가 거기 간 적이 있어서 세워졌거나 또는 로마인들이 온갖 놀라운 것들을 모두 헤라클레스의 偉業으로 돌려서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리라 덧붙인다. 타키투스는 드루수스 게르마니쿠스 가 게르만 部族들에 對한 征服戰爭을 遂行할 때 이 기둥이 있는 곳까지는 이르지 못했고, 그 뒤로도 기둥이 있는 곳에 이르른 로마인은 없었다고 적고 있다. [9] 이 "헤라클레스의 기둥들"과 後代에 記錄된 이르민술 사이의 關係에 對한 假說들이 提起된 바 있다. [7] 로마인들은 게르만의 토르 를 헤라클레스와 種種 同一視( 인테르프레打티오 로마나 )하곤 했다. [10]

各州 [ 編輯 ]

  1. Robinson (1917): p.389
  2. Grimm (1835)
  3. Stallybrass (1882): 116-118).
  4. Raymund F. Wood, ed. and trans., The Three Books of the Deeds of the Saxons, by Widukind of Corvey: Translated with Introduction, Notes, and Bibliography ,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49), pp. 178?79.
  5. According to the Royal Frankish Annals (Anonymus ([790]): chapter 772)
  6. d'Alviella (1891), pp. 106-107
  7. d'Alviella (1891), p. 112
  8. Tacitus ([98]): chapter 34
  9. Birley (1999:55).
  10. Rives (1999: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