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耳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耳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耳介
李塏
身上情報
出生日 1417年
死亡日 1456年
國籍 朝鮮
本館 閑散

耳介 (李塏, 1417年 ~ 1456年 )는 朝鮮時代 前期의 學者이자 管理이며, 성삼문 , 신숙주 , 金文起 等과 함께 訓民正音 의 創製에 參與하였다. 또한 死六臣 中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本貫은 閑散 (韓山)이며, 字는 청보(淸甫) 또는 伯固(伯高), 號는 백옥헌(白玉軒)이다. 高麗 時代 末期의 學者 목은 異色 의 曾孫子이다.

土亭祕訣 의 著者 土亭 이지함 은 그의 從曾孫이고, 朝鮮 중기의 同人 , 北人 의 黨首 阿桂 이산해 는 그의 종현손이 된다.

生涯 [ 編輯 ]

1436年 文科에 及第한 後, 1441年 世宗 에 依해 集賢殿 學者가 되었다. 그해 著作郞(著作郞)으로 《명황계감》(明皇戒鑑)의 編纂에 參與하였으며 以後 集賢殿 學事로 신숙주 , 성삼문 , 정인지 , 金文起 等等과 함께 訓民正音 의 創製에도 參與했다. 1447年 文科重試에 及第한 뒤 賜暇讀書하였다.

1448年 敎理가 되었고, 世宗의 臨終에 즈음하여 어린 世孫을 付託한다는 遺志를 받들었다. 그 뒤 堂上官에 昇進하였다가 1450年 文宗 이 王位에 오른 뒤, 後에 斷種 이 된 王子의 個人 敎師 役割을 하였다. 1455年 에 端宗이 世祖 에 依해 王位를 빼앗기자, 1456年(世祖 2) 이개는 直提學(直提學)으로 昇進되었으나 高位 官吏들과 함께 端宗의 復位를 꾀하다가 붙잡혀 刑問을 當한 後 아들과 함께 처형당하였다.

詩文(詩文)과 글씨를 잘 지었다. 1758年 (英祖 34) 吏曹判書가 追贈되고, 大邱의 樂貧서원(洛濱書院), 한산의 文獻書院(文獻書院), 忠州 노운서원(魯雲書院), 果川 泯絶서원(愍節書院), 義城 忠烈祠(忠烈祠) 等에 配享되었다. 諡號는 義烈(義烈)이었다가 뒤에 忠奸(忠簡)으로 諡號가 改正되었다.

土亭祕訣 의 著者 土亭 이지함 이 그의 從曾孫이고, 종고손은 同人 北人 의 黨首이며 3番 議政府 領議政 을 지낸 이산해 壬辰倭亂 明나라 軍 派兵을 위해 努力하다가 과로사한 이산보 이다.

家族 關係 [ 編輯 ]

  • 祖父 : 이종선(李種善)-閑散 李氏 異色 (1328~1296)의 3男
  • 조某 : 倦勤 의 딸
    • 아버지 : 이계주(李季疇)
    • 어머니 : 진명례(陳明禮)의 딸
      • 否認 : 이率(李栗)의 딸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