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儀賓 權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儀賓 權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儀賓 權氏
懿嬪 權氏
朝鮮 太宗의 後宮
이름
異稱 卷弓奏(權宮主)
別號 正義弓奏(貞懿宮主)
身上情報
出生日 1384年
死亡日 未詳 (1457年 以後)
家門 安東 權氏
父親 권홍
母親 慶州 李氏
配偶者 太宗
子女 貞惠翁主

儀賓 權氏 (懿嬪 權氏, 1384年 [1] ~ ? ) 또는 正義弓奏 (貞懿宮主)는 朝鮮 太宗 의 後宮이자 貞惠翁主 의 生母이다. 世宗 의 여섯째 아들인 금성대군 을 養育하였다.

生涯 [ 編輯 ]

出生과 家計 [ 編輯 ]

1384年 (禑王 10年), 成均館 惡政 권홍(權弘)과 아내 慶州 李氏 (慶州 李氏)의 2女中 長女로 태어났다.

父系는 高麗末 權門勢族 과 婚姻關係를 맺어 큰 勢力을 形成한 安東 權氏 집안의 後孫으로, 曾祖母인 조氏는 조인규 의 孫女이며, 어머니 李氏는 高麗의 性理學者인 이제현 의 曾孫女이기도 하다.

入宮과 後宮 冊封 [ 編輯 ]

1402年 (太宗 2年) 太宗 이 後宮 制度를 法制化하여 맞아들인 첫番째 後宮이다. [2] 太宗 은 원경王后의 投機가 甚한것을 批判하며, 歷代 帝王들의 妃嬪의 數字와 嬪妾의 制度를 上告하게 하였고, 새로운 揀擇 後宮을 맞이하기로 決定한다. [3]

太宗은 士大夫가 出身의 權氏를 後宮으로 맞이하면서 王妃나 世子嬪에 準하는 嘉禮를 準備하게 했는데 [2] , 이를 안 원경왕후 가 食飮을 全廢하고 痛哭하자 太宗은 家禮를 取消하였다. [4]

太宗은 權氏를 正義弓奏 (貞懿宮主)로 봉하고, 權氏를 위해 大闕 北쪽에 蓮못을 파고 樓閣을 지어주었다. [5] 以後 太宗의 承恩을 입어 외동딸인 貞惠翁主 를 出産하였다.

1409年 (太宗 9年), 明나라 永樂帝 의 後宮이자 貢女 出身인 賢人非 權氏 가 正義弓奏에게 百은 1百兩을 내리자 尙衣院에서 이를 保管하였다. [6]

佛敎에 歸依 [ 編輯 ]

1422年 (世宗 4年) 2月, 世宗 은 아버지 太宗의 病수발을 든 공을 생각하여 正義弓奏 權氏를 情1品 儀賓 (懿嬪)으로 昇格시켰다. [7] 같은 해 5月에 太宗 이 죽자 悲觀하여 世宗에게 告하지 않고 머리를 깎아 중이 되었으며 밤낮으로 佛經을 외우며 太宗의 冥福을 빌어 後宮들이 이를 따라했다. [8]

 

儀賓 權氏와 신녕弓奏 신氏 가 賃金( 世宗 )에게 啓하지 아니하고,
머리를 깎고 女僧이 되었다.
後宮들이 서로 競爭하여 머리를 깎고 念佛하는 機構를 準備하여,
아침 저녁으로 不法을 行하였는데, 賃金이 禁하여도 되지 아니하였다.

 

? 《 世宗實錄 》 16卷,
世宗 4年(1422年 明 零落(永樂) 20年) 5月 20日 (病者)

1424年 (世宗 6年), 딸인 貞惠翁主 가 죽자 사위인 朴宗雨 로 하여금 再娶하게 하여 世宗이 이를 許諾하였다. [9] 한便 儀賓을 비롯한 太宗의 後宮들이 머리를 깎고 比丘尼가 되어 佛事를 行하자 정인지 等이 上疏를 올려 儀賓 等이 元來대로 머리를 기르도록 請하기도 했다. [10]

最後 [ 編輯 ]

以後 儀賓은 世宗 의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 을 맡아서 길렀다.

1453年 (端宗 1年)에 儀賓이 늙고 병들어 疾病가(疾病家, 宮人(宮人)이나 나인(內人)李 병들면 죽을 때까지 옮겨 두던 大闕 밖의 집 )로 居處를 옮기자, 錦城大君이 自身의 私邸에 儀賓이 머물 수 있도록 여러 次例에 걸쳐 請했지만 王이 許諾하지 않았다. [11] [1]

 

금성대군 (錦城大君) 理由(李瑜)가 아뢰기를,

"神이 儀賓(懿嬪)에게서 자라나서 그 恩惠가 甚히 무거운데,
 나이가 只今 70이므로 宮中에 起居하는 것은 適當하지 못합니다.
 신은 駙馬(駙馬)의 例가 아니니, 願컨대 神의 집으로 나가도록 命하시어
 平安하게 奉養할 수 있게 하여 주소서."
(中略)
? 《 端宗實錄 》 6卷,
端宗 1年(1453年 名 경태(景泰) 4年) 6月 26日 (신해)

錦城大君은 儀賓을 혜빈 양氏 의 處所로 옮겨 지내게 하였다. 혜빈 梁氏와 錦城大君이 世祖 에 依해 處刑된 以後, 權氏에 對한 行跡은 記錄되어 있지 않다.

1457年 (世祖 3年), 禮曹 의 奏請에 依해 依貧窮(懿嬪宮)의 稱號를 없애고 先王의 後宮들이 居處하는 慈壽宮과 수성궁의 禮에 따라 領袖宮(寧壽宮)으로 고쳤다. [12]

家族 關係 [ 編輯 ]

各州 [ 編輯 ]

  1. 端宗實錄 》 6卷, 端宗 1年(1453年 名 경태(景泰) 4年) 6月 26日 (신해)
    금성대군 理由가 儀賓을 自身의 집으로 나가 奉養하기를 請하다
  2. 최향미, 《朝鮮 公主의 私生活》, 北성재, 2011, p.128, ISBN   978-89-92162-35-7
  3. 太宗實錄 》 3卷, 太宗 2年(1402年 名 建文(建文) 4年) 1月 8日 (辛卯)
    禮曹에 歷代 王朝의 嬪妾의 制度를 上告하게 하다
    이 때에 임금이 卽位한 지 얼마 되지 못하여 嬪妾(嬪妾)李 未備하여, 다만 平時의 侍女만이 있을 뿐이었다.

    整備(靜妃, 원경왕후 )는 天性이 投機가 甚해 사랑이 아래로 이르지 못하여, 賃金이 嬪妾을 갖추고자 하였다.

  4. 太宗實錄 》 3卷, 太宗 2年(1402年 名 建文(建文) 4年) 3月 7日(京仁)
    성균 惡政 권홍의 딸을 別宮으로 맞아들이다
    성균 惡政(成均樂正) 권홍(權弘)의 딸을 別宮(別宮)으로 맞아들이었다.
    처음에 代父인(大夫人) 宋氏(宋氏) 1) 整備 (靜妃) 2) 에게 말하기를,
    "宮嬪(宮嬪)이 너무 많아서 그것이 漸漸 두렵다." 하였는데, 整備의 投機는 더욱 더 심해만 갔다.

    賃金이 權氏(權氏)가 現行(賢行)이 있다 하여 禮(禮)를 갖추어 맞아들이려고 하니, (整備가) 임금의 옷을 붙잡고 말하기를, "賞께서는 어찌하여 예전의 뜻을 잊으셨습니까? 제가 賞과 더불어 함께 어려움을 지키고 같이 禍亂(禍亂)을 겪어 國家를 차지하였사온데, 이제 나를 잊음이 어찌 여기에 이르셨습니까?" 하며, 울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飮食도 들지 아니하므로 賃金이 嘉禮色(嘉禮色)을 派하도록 命하고, 宦官과 侍女 各各 몇 사람만으로 權氏를 別宮에 맞아들였다. 整備는 마음에 病을 얻었고, 賃金은 數日 동안 正使를 듣지 아니하였다.


    1) 代父인 宋氏(大夫人 宋氏, ?~1424) : 삼한국大夫人 宋氏. 원경王后의 어머니
    2) 整備(靜妃) : 원경왕후 閔氏
  5. 太宗實錄 》 4卷, 太宗 2年(1402年 名 建文(建文) 4年) 8月 13日 (甲子)
    正義弓奏를 위해 大闕 北쪽에 樓閣과 蓮못을 마련하다
  6. 太宗實錄 》 18卷, 太宗 9年(1409年 明 零落(永樂) 7年) 10月 21日 (기미)
    賢人비가 正義弓奏에게 내린 白은 1百 兩을 尙衣院에서 保管토록 하다
  7. 世宗實錄 》 15卷, 世宗 4年(1422年 明 零落(永樂) 20年) 2月 20日 (丁未)
    正義弓奏를 儀賓으로, 新녕翁主를 宮主로 삼다
  8. 世宗實錄 》 16卷, 世宗 4年(1422年 明 零落(永樂) 20年) 5月 20日 (病者)
    儀賓 權氏 等이 比丘尼가 되다
  9. 成宗實錄 》 39卷, 成宗 5年(1474年 名 聖火(成化) 10年) 2月 1日 (丙辰)
    拙한 운성 府院君 朴宗雨의 아내가 自身을 妾으로 論한 것이 抑鬱하다고 아뢰다
    卒(卒)韓 운성 府院君(雲城府院君) 朴宗雨 (朴從愚)의 아내 張氏(張氏)가 上言(上言)하기를,

    "박종우는 13歲에 駙馬(駙馬)에 뽑힌 지 3年 만에 翁主( 貞惠翁主 )가 卒(卒)하였는데, 世宗 께서 後嗣가 없음을 可憐하게 여겨 兩家(良家)에 婚姻하는 것을 許諾하신 까닭에 信女(臣女, 張氏 本人)를 아내로 삼았고, 아들과 사위가 벼슬길에 오르도록 許諾된 지 오래 되었습니다."

  10. 世宗實錄 》 94卷, 世宗 23年(1441年 名 正統(正統) 6年) 12月 9日 (新築)
    知中樞院事 鄭麟趾 等이 佛敎를 崇尙하는 것에 對한 憂慮와 失望을 上訴하다
  11. 端宗實錄 》 6卷, 端宗 1年(1453年 名 경태(景泰) 4年) 5月 3日 (기미)
    금성대군 理由가 儀賓의 居處하는 곳을 옮기기를 請하다
  12. 世祖實錄 》 7卷, 世祖 3年(1457年 名 天順(天順) 1年) 5月 22日 (甲申)
    禮曹가 太宗大王의 後宮의 依貧窮을 英守宮으로 고칠 것을 아뢰다
  13. 世宗實錄 》 114卷, 世宗 28年(1446年 名 正統(正統) 11年) 12月 28日 (辛酉)
    영돈녕府使 권홍의 졸기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