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音節 (音節, syllable)은 話者와 청자가 한 뭉치로 생각하는 發話의 單位이다. 音素 보다 크고 낱말 (單語)보다 작다. 音節은 子音 母音 또는 單獨 母音으로 構成된다.

音節의 構成 [ 編輯 ]

英語 單語 cat과 sing의 音節 構造

音節은 一般的으로 音節核(nucleus)을 中心으로 앞뒤에 音節秒(onset)와 音節말(coda)李 덧붙는 構造로 構成된다.

開音節과 閉音節 [ 編輯 ]

한 音節을 構成하는 子音은 母音의 前後에 各各 여러 個 存在해도 괜찮지만, 母音은 二重 母音 이나 半母音 과 같이 오는 母音과 같이 多重 모음 일 수 있어도, 한 音節 內에 音節 으뜸音이 되는 母音이 複數個 存在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아래 文壇에서 例로 든 編成 中, 처음의 두個와 같이 모음으로 끝나는 音節을 開音節 (開音節, 英語 : open syllable ), 나머지 두 個(3~4)와 같이 子音으로 끝나는 音節을 閉音節 (閉音節, 英語 : closed syllable )이라고 한다. 各各 文化語에서는 열린마디, 닫긴마디라 하기도 한다.

重音節과 警音節 [ 編輯 ]

言語에 따라서는 閉音節, 長母音이나 中母音을 따라 나오는 音節이 그 外의 音節보다 時間的으로 若干 길게 발음되는 일이 있는데, 이 境遇에는 긴 音節을 重音節 (重音節, heavy syllable), 짧은 音節을 警音節 (輕音節, light syllable)이라고 한다.

이 區別은 악센트 規則 等으로 重要視 되기도 한다( 英語 , 라틴語 나 一部의 로망스語 , 아라비아語 , 日本語 等)

韓國語의 音節 [ 編輯 ]

韓國語 의 音節은 초성 , 中性 , 宗姓 으로 이루어져 있다. 音節核에 오는 音素인 中性에는 母音 萬 올 수 있으며, 音節秒에 오는 音素인 初聲과 音節말에 오는 音素인 終聲에는 子音 萬 올 수 있다. 이때 모든 音節은 音節核을 無條件으로 가지며, 初聲에는 둘 以上의 子音이 올 수 없다.

  1. 모음(V)(예: 이)
  2. 子音+모음(CV)(예: 고)
  3. 모음+자음(VC)(예: 옷)
  4. 子音+모음+자음(CVC)(예: 돌)

聲調 言語 [ 編輯 ]

中國語 , 베트남語 , 하우사語 , 中世 韓國語 等 音節 聲調를 가지는 言語는 母音과 子音의 編成 外에 몇 個의 聲調가 더해져 하나의 音節을 構成한다. 例를 들면, 現代 中國語( 北京語 )의 光이라고 하는 漢字의 發音의 例에서는, 韓語 병음으로 gu?ng으로 表記되지만, 音節은 다음과 같은 構成이 되어 있다.

音節
聖母 雲母 聲調
운두 韻腹 芸楣
介音 主母音 米飮
g u a ng 1( 音平成

音節 聲調 에는 音節 內에서 높낮이가 變化하는 聲調를 가지는 曲線 聲調 와 音節 內에서의 높낮이 變化는 없고, 相對的인 높낮이가 定해지는 斷水 聲調 두 種類가 있다.

日本語 音節 [ 編輯 ]

日本語에서 閉音節은 「ん」(鼻母音, 鼻母音으로 발음되는 「ん」을 除外) 및 「っ」로 끝나는 音節만 있으며, 나머지는 開音節이다. 또한, 「ん?」, 「んだ」, 「ん万円」等과 같이 「ん」李 語頭에 있는 境遇는 「ん」만으로 한 個의 音節을 構成하며, 이 境遇, 「ん」은 鼻母音 으로 발음되지 않는 以上, 卽 子音인 한 「 音節主音적 」인 子音이다. 또 日本語에서는 語末 等에서 無性化되어, 들리지 않는 母音이 나타나는 일도 많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