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吟遊詩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吟遊詩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吟遊詩人 에서 넘어옴)

吟遊詩人

吟遊詩歌 (吟遊詩歌, bard )는 元來 古代 로부터 中世 유럽 에 이르기까지 職業的으로 自作詩를 노래로 부르던 音樂的 장르이다. 吟遊詩人 (吟遊詩人)은 吟遊詩歌를 音樂的으로 즐기던 사람을 의미한다.

歷史 [ 編輯 ]

吟遊詩人을 의미하는 英單語人 bard는 캘트어에서 由來되었다. [1]

中世 게일族 , 웨일스族 社會에서의 吟遊詩人(bard)은 영주를 위한 哀歌를 作曲하기 위해 雇傭된 專門 詩人이었다. 雇用主가 適切한 金額을 支拂하지 않을 境遇에는 諷刺를 쓰기도 했다. 다른 地域의 境遇 skalds, rhapsodes, minstrels, scops 等이 이러한 役割을 遂行했다. [2]

地域別 現況 [ 編輯 ]

아일랜드 [ 編輯 ]

中世 아일랜드의 詩人은 크게 吟遊詩人(bard)과 필리 로 나누어졌다. 이 中 吟遊詩人은 下層 階級이었고, 詩的인 役割을 遂行할 만큼의 能力은 없었을 것이라고 推定한다. 그러나 이 둘의 區分은 基督敎 以後의 創作物이고, 필리는 敎會와 關聯이 있었을 것이라고 秋請하기도 한다. [3] [4] 近代 以後, 이 둘은 같은 意味로 使用되었다. [5]

아일랜드의 吟遊詩人은 많은 技術的 能力을 必要로 했으며, 雇用主의 年代記 作家이자 諷刺가이도 했다. [6]

아일랜드의 吟遊詩人 制度는 17世紀 中盤까지 持續되었으며, 켈트족 支配者들의 衰退와 함께 사라졌다. 그러나 스코들랜드에서는 18世紀 初까지 持續되었다. [7]

스코틀랜드 [ 編輯 ]

스코틀랜드에는 吟遊詩人으로서 15世紀부터 18世紀까지 蕃盛한 MacMhuirich 家門이 있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詩人이나 辯護士 等의 職業으로 雇用되었지만, 섬의 支配權을 喪失하면서 MacDonalds 家門에 依해 새롭게 雇用되었다. 그래서 이 家門은 15世紀 初까지는 主로 聖職者로 記錄되었지만 以後 16世紀 初에는 音樂家로 記錄되었다. [8] 마지막으로 記錄된 이 家門의 苦戰 켈트족 詩人은 Domhnall MacMhuirich이다. [9]

소비에트 聯邦 [ 編輯 ]

러시아 의 吟遊詩歌는 1950年代 末부터 蘇聯 에서 全盛期를 이루었다. 自身들이 쓴 抒情的인 歌詞나 政治的인 主題를 기타 伴奏에 맞춰 노래 불렀다. 反體制的인 노랫말 때문에 많은 노래들이 音盤으로 發賣되지 못하고 個人들에 依해서 錄音되어 傳播되었다.

代表的인 吟遊詩人으로는 吟遊詩歌의 開拓者 불라트 오쿠자바 ( Bulat Okudzhava )와 大衆化에 貢獻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Vladimir Vysotsky ) 等이며 韓國系 율리 金 ( Yuliy Kim )도 있다.

特히 絶叫하듯 노래하는 特異한 唱法의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는 映畫 白夜( White Nights )에 揷入된 野生馬( Fastidious Steeds )라는 노래로 우리에게 알려졌다.

人物 [ 編輯 ]

여러 詩人들 中에는 吟遊詩人을 自身의 稱號로 使用한 境遇도 있었다.

大衆文化 [ 編輯 ]

浪漫主義에서 司祭, 魔術師 또는 先見者의 資質을 가진 사람을 吟遊詩人이라고 부르는 것은 1960年代에서 1980年代에 판타지 장르에까지 影響을 주었다. 例를 들어 던전 앤 드래곤 , 패스파인더 에는 '吟遊詩人' 클래스가 있으며, Keith Taylor(1981), Bard: The Odyssey of the Irish by Morgan Llywelyn(1984), The Bard's Tale(1985)과 같은 판타지 設定의 비디오 게임, Andrzej Sapkowski(1986)의 The Witcher 冊과 같은 現代 文學, TV ?2013) Lauren Schmidt Hissrich의 쇼(2019) 等에서 이를 借用한 것을 볼 수 있다.

中世風으로 歌詞를 다시 쓰는 等 中世風의 樂器와 作曲을 使用하여 現代 노래를 다루는 音樂 分類를 바드코어 라고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Delamarre, X. (2003).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2e ed. rev. et augm版. Paris: Errance. ISBN   2-87772-237-6 .  
  2. West, M. L. (2007).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0쪽. ISBN   978-0-19-928075-9 .  
  3. “On Bards, And Bardic Circles” . 2022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4. Breatnach, Liam. Uraicecht na Riar , ca. p. 98
  5. “Irish Bardic Poetry at CELT” . 2022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6. Empire, Irish. “Druids, Filid & Bards: Custodians of Celtic Tradition” (英語) . 2022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7. Maxwell, Nick (2013年 2月 22日). “Divided Gaels: Gaelic cultural identities in Scotland and Ireland c. 1200?c. 1650” . 2022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8. Thomson, Derick S. (1968), "Gaelic Learned Orders and Literati in Medieval Scotland", Scottish Studies, The Journal of the School of Scottish Studies University of Edinburgh, 12 (1): 65
  9. 《Celtic cultu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 Santa Barbara, Calif.: ABC-CLIO. 2006. ISBN   978-1-85109-4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