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陰陽 ( 陰陽 )은 東洋 哲學的 思考의 틀이다. 古代 中國人 들은 모든 環境을 陰陽을 가지고 解釋했다. 各各 陰( )과 量( )으로 表記하며 世上의 萬物이 陰 或은 陽으로 나뉘며, 兩分된 槪念이지만 陰陽의 共存과 調和를 통해 世上이 維持된다고 생각했다.

由來 [ 編輯 ]

그 始初가 어느 때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儒家의 始祖인 孔子 의 말에 "학(學)하고 社(思)하지 않으면 곧 網(罔)하고 社(思)하고 學(學)하지 않으면 곧 태(殆)한다" (남에게서 배우기만 하고 스스로 思索하지 않는다면 正當한 認識을 얻을 수는 없다. 혼자 思索만 하고 남에게서 배우지 않으면 獨斷에 빠지고 만다)는 것이나, 또 道家의 始祖라고 하는 路資 (老子)의 도는 "獨立하여 개(改)치 않고 走行하여 태(殆)치 않는다" "道는 獨立的 存在이며 同時에 普遍的 存在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大邱的(對句的)인 說明 方法으로 事物의 本質과 現象을 說明하려고 하는 說明法은 古代부터 이미 보인다. 大邱的 說明 方法으로 事物의 本質을 把握하려고 하는 思考方式이 事物을 相對的으로 把握하려는 方法이 習性化되어, 陰陽思想으로 歸結되었듯이 相對的으로 事物을 把握하려고 하는 思考方式은, 中國 古代人이 先天的으로 갖고 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陰陽은 春秋戰國 時代의 諸子百家 陰陽家 를 이루며 하나의 思想으로 成熟하였고, 宋代 走者 性理學 을 통해서 遊學 과 陰陽을 結合시켰다고 여겨진다.

普通 陰陽을 道가 의 槪念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本來 路資 의 著書(《 道德經 》 또는 德道警)에서는 陰陽이 言及되지 않았으며, 但只 千( ), 도( ), 有( ), 무( )에 對해서 言及하고 있을 뿐이다. 아마 後世에 陰陽과 椄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老子 道德經의 德便 42張엔 陰陽이 言及되어 있다.(萬物負陰而抱陽) 다만 道德經에서의 陰陽이 後代 陰陽家의 陰陽만큼 抽象化된 槪念인가에 對해선 理論의 餘地가 많다.

陰陽思想 [ 編輯 ]

宇宙나 人間 社會의 現象은 하늘에 對해서는 땅이 있고, 해에 對해서는 달, 남에 對해서는 與, 기수에 對해서는 優秀, 江에 對해서는 有(柔)가 있는 것과 같이 서로 相對的으로 把握할 수가 있다. 그것을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還元시켜 플러스와 마이너스 交替 또는 所長(消長)의 變化에 依하여 宇宙 現象 및 人間 社會의 現象을 解釋하려는 것이 陰陽思想이다.

이 陰陽思想은 相對的으로 事物을 把握한다는 點에서 科學思想으로서도 優秀하고 또한, 哲學的이다. 陰陽思想을 根幹으로 人間 社會의 現象을 豫測하고 判斷하려고 한 것이 바로 '逆(易)'의 생각하는 方法이다.

韓醫學科 陰陽 [ 編輯 ]

韓醫學의 陰陽은 韓醫學의 基本的인 틀이다. 道家와 달리 初期부터 陰陽이 核心 槪念이었다. 가장 오래되었다는 韓醫學 文獻 《 黃帝內經 》에서도 이미 陰陽이 事故의 基準으로 使用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알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