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윤경순 (1855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윤경순 (1855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윤경순 (尹景純, 1855年 ~ 1885年 12月 23日 )은 朝鮮 末期의 商人, 무신, 革命家이다. 1884年 甲申政變 에 行動大將의 한사람이자 서재필 의 麾下에서 1個 分遣隊를 指揮하였다. 박영효 , 서재필 等을 만나 感化되어 그들의 思想的 同志가 되었다.

처음에는 東大門 밖에서 長斫 장사를 하면서 朴泳孝의 집에 드나들며 이인종, 이규완 等과 어울리다가 甲申政變에 加擔하였다. [1] 政變 失敗 後 全羅南道 谷城郡 으로 숨어들어 隱身하였으며 1885年 京畿道 富平 에 사는 누이에게 가던 中 逮捕되어 義禁府 에서 死刑당했다. 甲申政變 當時 全英 小隊長인 윤경완 의 兄이다. 다른 이름은 경순(景舜)이다.

生涯 [ 編輯 ]

初期 活動 [ 編輯 ]

1855年 (哲宗 6年) 漢城府 東部(東部) 同門밖 홍수동(紅樹洞)에서 윤흥진(尹興鎭)의 孫子이며, 윤광운(尹光運)과 한치복(韓致福)의 딸 한 조이(韓召史)의 아들로 태어났다. 生日은 未詳이다. 5年 年上이었던 그의 누나 윤조이는 부평군 西面에 사는 박사경(朴士京)에게 出嫁하였다. 兄弟들에 對한 記錄은 未詳이고 함께 甲申政變 에 參與했던 5年 年下의 동생 윤경완 (다른 이름은 윤계완)이 있었다. 그가 甲申政變 에 失敗하여 逃走했을 때 아버지 윤광운은 딸 윤조이가 사는 곳 近處에서 生活하기도 했다.

幼年 時節에 對한 記錄은 傳하지 않는다. 家庭 形便이 어려웠던 그는 처음에는 漢城府 東大門 밖에서 長斫 장사를 했고, 그의 동생 윤경완 은 무청(菁根) 장사를 하였다. 그는 長斫장사를 하면서 박영효 서재필 을 만나 그의 思想에 感化되어 同志가 되었다. 以後 박영효 , 서재필 等의 집에 드나들면서 서재필 , 이인종(李寅鍾), 이규완 (李圭完), 황용택(黃龍澤), 최은동(崔恩同), 서재창 , 신중모 (申重模) 等을 만나 알게 되었으며, 狎鷗亭 에서 回合하고 1884年 甲申政變 에 參加하였다.

1883年 官費留學生의 한 사람으로 日本 으로 留學, 도야마 陸軍下士官學校 서재필 , 서재창 , 이규완 等과 함께 入學하였다. 1884年 7月 修了하고 歸國, 兵曹 調鍊局 의 敎官이 되어 士官生徒를 養成하였다. 甲申政變 擧事 直前 서재필 의 指揮下에 있던 開化黨의 行動隊員으로 活動하며 擧事를 準備, 謀議하였다.

甲申政變 擧事 計劃 [ 編輯 ]

甲申政變 直前 그는 다른 武士들과 함께 情報 入手를 맡아보았다. 政變이 計劃되었다는 所聞이 擴散되자 그는 迅速히 情報 偵探과 武器 購入을 맡아보았다. 1884年 11月 高宗이 金玉均을 召喚하자 開化派는 緊張하였다. 이때 開化派는 平素부터 養成 糾合해 둔, 이규완 , 임은명, 정란교, 이인종, 윤경순 等의 士官生徒와 그밖의 장사牌 數十 名을 指揮하여 連日 各 方面의 情報를 蒐集하고 武器購入에 着手하였다. [2]

12月 2日 朴泳孝의 집에 모여서 擧事를 計劃하였다. 서재필 12月 2日 새벽 2時 朴泳孝의 집으로 갔다. 그 곳에는 이미 이인종, 홍영식 , 서광범 , 金玉均의 同志들과 함께 모이기로 한 여러 장사들, 이규정(李圭貞), 황용택, 이규완 , 신중모 , 임은명, 김봉균, 이은종(李殷種), 윤경순 等이 다 모여 있었다. 그들은 함께 議論한 結果 12月 4日 에 擧沙키로 하고만일 그 날 비가 오면 다음날인 12月 5日 로 延期하기로 最終 確定하였다. [3]

甲申政變 參與 [ 編輯 ]

12月 4日 擧沙할 各 部門의 擔當者의 任務도 이때 作定되었아. 別宮에 放火할 사람은 이인종의 指揮 下에 이규완 , 임은명, 윤경순, 최은룡의 네 사람이 實行하기로 했다. 이때 變數 가 砲隊 數十 枚를 만들도록 해서 이 包袋를 서광범 의 南쪽 뜰 안에서 어두컴컴한 때를 타서 別宮담을 越境한 後 別宮停戰 안에 쌓기로 하였다. [3] 別宮 放火는 이인종의 指揮 아래 이규완, 임은명, 윤경순,최은동 等이 맡았다. [4] 이들은 砲隊 數十 個를 만들어서 火藥을 담아 別宮 後門에 있는 서광범 의 집에 保管하였다가 別宮에 불을 지르기로 했다. 또 石油 를 담은 작은 甁(火焰甁) 30餘 個도 行廊에 쌓아 두었다. [4]

守舊派 代身 刺殺을 計劃했을 때 그는 민영익 擔當을 맡게 되었다. 實行할 擔當者는 要因들 한 사람에게 두 사람씩 配定하되 한 사람은 短劍을, 또 한 사람은 短銃을 素地하기로 했다. [5] 또 萬一 그 場所에서 失敗하는 때에는 豫備로 特別히 朝鮮 옷을 입은 日本 사람 네 사람으로 各各 한 사람씩 堪當키로 했다. 그리하여 민영익 은 윤경순, 이은종 두 사람이, 윤태준 은 박삼룡, 황용택이, 이조연 은 최은동, 신중모가, 한규직 이규완 , 임은명 두 사람이 擔當키로 했다. [5] 그러나 事件 當日 閔泳翊은 서재창 의 被襲을 當해 한쪽 눈을 찔렸다고 한다.

12月 甲申政變 當時 士官生徒를 이끌고 郵政局 近處에 埋伏해 있다가, 郵政局 落成式 祝賀宴에 參席하러 온 민영익 (閔泳翊)을 襲擊하였지만 失敗하였다. 이어 當時 景福宮 을 지키던 윤태준 等을 撤退路 刺殺하였다. 윤태준 은 當時 소중문 밖에서 待機하던 이규완 , 윤경순에게 一擊地下에 處置되고 말았다. [6]

景祐宮 에 當到한 이조연이 "내 主上께 뵈옵고자 하노니 들어가게 하라"고 큰 소리로 말하면서 國王 앞으로 나가려고 했다. 이에 徐載弼이 칼을 빼어들고 "내가 이 門을 지키라는 命令을 받은 以上 어떠한 사람일지라도 門안에 들어가리를 許諾할 수 없다."고 하고, 徐載弼의 部下장사들도 모두 눈을 크게 뜨고 萬一 한 걸음만 더 내딛으면 그대로 둘 수 없다는 態勢를 보였다. [7] 이에 이조연과 한규직은 景祐宮 뒷門으로 나아갔다. 막 門밖에 나아가자 황용택, 윤경순, 이규완, 고영석 等에 依해 他殺當했다. [7] 이어 景福宮 으로 軍士를 이끌고 들어가 當時 當時 政府 高官인 민영목 (閔泳穆), 조영하 (趙寧夏) 等을 殺害하였다.

逮捕와 最後 [ 編輯 ]

甲申政變 이 失敗로 돌아가자 夜밤에 全羅道 谷城 으로 逃避하여 隱身하였다. 이때 그는 배추 長壽 [8] 로 行世하며 身分을 숨겼다. 1885年 (高宗 22年) 初 누이가 살던 京畿道 富平 에 왔다가 官員에게 잡혀 義禁府 에 投獄당했다. 1885年 (高宗 22年) 12月 義禁府 에서 新聞당한 뒤, 12月 23日 에 謀反大逆不道罪로 推鞠廳에서 斬首되었다.

最終 判決 當時 함께 政變에 加擔한 동생 윤계완 은 함께 처형당했다. 누나 尹 조이(尹召史)는 이미 시집간지 오래되어 出嫁外人이라 하여 목숨을 건졌고, 어머니 한 조이(韓召史)는 1886年 秒에 死亡했다. 그때까지 살아있던 아버지 윤광운은 繼續 緣坐制 로 다스려야 한다는 司憲府 , 義禁府 의 거듭된 彈劾으로 1886年 5月 22日 斬首刑을 當했다. 緣坐制 는 할아버지 윤흥진과 外할아버지 한치복에게까지 適用되었으나 이들은 이미 死亡하였으므로 剖棺斬屍를 當했다.

事後 [ 編輯 ]

1907年 (隆熙 1年) 11月 18日 內閣總理大臣 이완용 (李完用)과 法部 代身 조중응 (趙重應)이 그의 罪名을 벗겨줄 것을 請하는 上疏를 올렸으나 거부되었다. 1908年 3月 25日 다시 이완용 , 조중응 等이 다시 常住하여 罪名이 벗겨졌다.

家族 關係 [ 編輯 ]

기타 [ 編輯 ]

承政院日記 1885年 (高宗 22年 乙酉, 光緖 11年) 12月 23日 者 罪人 윤경순의 決案에 적힌 義禁府 報告에 依하면 '아비 윤광운(尹光雲)은 生存해 있고, 어미 한 조이(韓召史)는 生存해 있고, 할아비의 이름은 알지 못하는데 죽었고, 外할아비의 이름도 알지 못하는데 죽었습니다. 父母가 東部(東部) 同門 밖에서 낳았는데, 戶籍에 編入되어 살았습니다'라고 한다. 그러나 1885年 (高宗 22年 乙酉, 光緖 11年) 12月 23日 者 罪人 윤계완의 決案에 依하면 '罪人의 根脚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비 윤광운(尹光雲)은 生存해 있고, 어미 한 조이(韓召史)는 生存해 있고, 할아비 윤흥진(尹興鎭)은 죽었고, 外할아비 한치복(韓致福)은 죽었습니다. 父母가 東部 洞門 밖 홍수동(紅樹洞)에서 낳아서 戶籍에 編入되어 살았습니다'라고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민태원, 《不遇知事 金玉均 先生 實技》 (이선아 驛, 韓國國學振興院, 2006) 57페이지
  2.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51페이지
  3.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58페이지
  4.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 18:民衆의 喊聲 東學農民戰爭》 (한길사, 2003) 104페이지
  5.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59페이지
  6.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70페이지
  7.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70페이지
  8.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 18:民衆의 喊聲 東學農民戰爭》 (한길사, 2003) 127페이지
  9. 《承政院日記》에는 윤계완으로 되어 있고, 《갑신일록(甲申日錄)》과 《徐載弼博士自敍傳》에는 윤경완으로 되어 있다.

參考 資料 [ 編輯 ]

  • 아세아문화사 編輯部, 《甲申政變 關聯者 審問 陳述 記錄:추안급국안 中》 (박은숙 驛, 아세아문화사, 2009)
  • 송건호, 《송건호 全集 13:徐載弼과 李承晩》 (한길사, 2002)
  • 이광린, 《開化黨 硏究》 (일조각,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