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유엔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序詩르미움 過渡行政機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유엔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序詩르미움 過渡行政機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유엔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序詩르미움 過渡行政機構
크로아티아어 : Prijelazna uprava Ujedinjenih naroda za isto?nu Slavoniju, Baranju i zapadni Srijem
세르비아語 : Прелазна управа У?еди?ених наци?а за источну Славони?у, Бара?у и западни Срем
유엔의 公式 言語 :
아랍語 : ????? ????? ??????? ?????????? ?? ???????? ??????? ???????? ???????? ???????
프랑스語 : Administration transitoire des Nations unies pour la Slavonie orientale, la Baranja et le Srem occidental
러시아語 : Временн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Организации Объединённых Наций для Восточной Славонии, Бараньи и Западного Срема
스페인語 : Administracion de Transicion de las Naciones Unidas en Eslavonia Oriental, Baranya y Sirmia Occidental
中國語 : ?合??斯拉沃尼?、巴拉尼?和西??米?姆?渡行政?局

 

1996年 ~ 1998年
 

국기
수도 부코바르
政治
地域 總指揮官
歷史
歷史  
 ? UNTAES 樹立 1996年 1月 15日
 ? UNTAES 任務 終了 1998年 1月 15日
지리
面積 2600 [1] km²
人文
公用語 크로아티아어 , 세르비아語 , 유엔의 公用語
人口
1991年 어림 193,513 [1]
유엔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序詩르미움 過渡行政機構
原語 名稱
United Nations Transitional Administration for Eastern Slavonia, Baranja and Western Sirmium
略稱 UNTAES
結成 1996年 1月 15日
解産 1998年 1月 15日
類型 平和協商 以後 過渡行政機構
本部 부코바르
벨리마나스티르 [2] (連絡事務所)
(初期 자그레브 ) [2]
會長 제이크 폴 클레인
윌리엄 G. 워커
上級 團體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ansitional Administration for Eastern Slavonia, Baranja and Western Sirmium

유엔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序詩르미움 過渡行政機構 ( United Nations Transitional Administration for Eastern Slavonia, Baranja and Western Sirmium , UNTAES )는 크로아티아 東部의 다뉴브江 동안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鉏시르美아 에 樹立된 유엔 平和構築 을 위한 過渡行政機構 이다. 이 過度行政府는 1996年부터 1998年까지 維持되었다. 가끔 過渡行政機構라는 用語 代身 "過度行政府(Transitional Authority)"로도 알려져 있다. 본 過渡行政機構는 1996年 1月 15日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037號 에 따라 公式的으로 樹立되었다. [3] 過渡行政機構라는 形態는 1995年 11月 크로아티아 政府와 크로아티아 內 세르브界 共同體 代表 사이에 맺어진 에르두트 協定 에서 上程되고 合意되었다. UNTAES 樹立 當時 이 地域은 유엔 크로아티아 信賴 回復 作戰 (UNCRO)이라는 또 다른 傳統的인 形態의 平和維持 任務를 進行하고 있었다. UNTAES의 擔當 區域은 UNCRO의 東部 區域( 러시아軍 벨기에軍 駐屯 地域)이었는데 UNCRO 任務는 暴風 作戰 으로 큰 問題에 處했다.

UNTAES는 鉏뉴기니 에 樹立된 유엔 臨時行政機構 , 캄보디아 에 세워진 유엔 캄보디아 過渡 統治機構 에 이은 세番째 유엔 平和維持 任務 로 유엔은 關心地域에서 더 直接的이면서 높은 行政權을 가지게 되었다. UNTAES를 통해 유엔은 유엔 保護令 을 樹立하여 關心地域의 行政 統治 任務를 맡게 되었다. UNTAES 任務가 끝난 다음에는 유엔 民事警察 支援軍 (UNCPSG)라는 이름으로 본 地域의 追加的인 行政 및 警察力 監視 任務를 進行했다.

歷史 [ 編輯 ]

樹立 以前 [ 編輯 ]

1995年 中盤 暴風 作戰 以後 세르비아 크라이나 共和國 다뉴브江 동안의 크로아티아 東部 一部 地域만 남았다. 크라이나 本土와는 달리 桐슬라보니아 바라냐 鉏시르美아 유고슬라비아 聯邦共和國 (그中에서도 세르비아 共和國 )과 긴 國境을 서로 맞대고 있었다. 또한 經濟的으로나 社會的으로나 政治的으로나 크라이羅보다는 베오그라드 노비사드 와 더욱 緊密하게 連結되어 있었다. [4] 이 때문에 國際社會는 크로아티아의 洞슬라보니아 介入이 유고슬라비아 本國의 軍事的 對應을 誘發하고 敵對 關係가 高調될 것이라 믿었다. [5] 이와 同時에 크라이羅가 軍事的으로 敗北하고 워싱턴 協定 이 締結되며 1996年 美國 大統領 選擧 를 앞둔 美 行政府가 政治的 利益을 얻기 위해 보스니아 戰爭 을 解決할 수 있는 空間이 열리게 되었다. [6]

플래시 作戰 과 暴風 作戰에서 크로아티아가 大勝을 거두면서 平和로운 手段을 통해 洞슬라보니아를 크로아티아 本國으로 다시 合倂시키자는 最初 案件이 國際 社會에서 剛한 壓迫의 形態로 들어오며 크로아티아 政府도 놀라움을 느꼈다. [7] 크로아티아軍 은 " 로 점프"(Skok u Dalj)라는 暗號名으로 東슬라보니아 地域의 軍事的 解決策 마련에 對한 非公式的인 會議를 가지고 있었다. [7] 유고슬라비아 戰爭 에 連累된 地域 內 當事國과 共同體는 다른 國家들과 平和的인 解決策이 成功할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이 거의 없었다. [7]

1995年 11月 크로아티아 政府와 세르브界 크로아티아人 의 代表 間 에르두트 協定 이 締結되면서 協定 條項에 따라 유엔 이 過渡行政機構와 平和維持軍을 樹立하기로 決定되었다.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023號 는 이를 支持했고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025號 에서 UNCRO 任務가 中斷된 後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037號 에 따라 東슬라보니아 地域에 유엔 保護領을 세우기 爲한 UNTAES가 正式으로 樹立되었다. 크로아티아 中央政府의 統制 밖에 있는 마지막 領土이자 地政學的으로 過去 세르비아 크라이나 共和國의 가장 敏感한 地域이라 할 수 있는 東슬라보니아 地域의 合倂이 크로아티아에겐 데이턴 平和協定에서 가장 重要한 條件이었다. [8] 以後 데이턴 協定 이 締結되면서 유고슬라비아 戰爭에서 가장 컸던 보스니아 戰爭 이 正式으로 終戰되었다.

過渡行政機構 樹立 [ 編輯 ]

1996年 1月 15日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043號 에 따라 過渡行政機構가 公式的으로 統治를 始作했다. [2] 이 決意는 1年間 持續되며, 어느 한 쪽의 要請에 따라 過渡行政機構의 統治 期間을 最大 1年 더 延長할 수 있도록 規定했다. [2] 過渡行政機構의 主要 目標는 非武裝化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監視하고 크로아티아로 平和的 再統合을 保障하는 일이었다. 유엔 事務總長 은 當時 처음에는 UNTAES가 軍人 9,300名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主張했다. [2] 最終 合意에 따라 過渡行政機構는 軍人 5,000名과 民事警察(UNCIVPOL) 500名, 軍 監視團 99名을 두기로 合意했다. [2] 實際 配置時엔 過渡行政機構가 軍人 4,849名, 軍 監視團 99名, 民事警察 401名을 두고 있었다. [9]

UNTAES 人員이 크로아티아에 到着하기 前에 이미 유엔 信賴 回復 作戰의 一環으로 벨기에軍 러시아軍 1,600名이 東슬라보니아에 駐屯하고 있었다. [2] 이들은 요르단軍 파키스탄軍 所屬 機械化大隊와 우크라이나軍 의 헬리콥터 件十 및 其他 部隊와 함께 合流했다. [2] 再統合 過程에 있어선 美國이 主導的인 役割을 했다. [8]

當時 美國-크로아티아 關係 에서 가장 重要했던 크로아티아 內 세르브인 의 地位 規定 問題를 提起한 政策 立案者인 스트로브 탤벗 은 美國 大使 피터 갤브레이스 와 함께 부코바르 , 벨리마나스티르 , 일로크 마을에서 住民들과 세 次例의 會議를 열며 現地 세르브인에게 指導者들은 事實을 알리지 않았겠지만 에르두트 協定에 따라 東슬라보니아 地域은 크로아티아 領土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8] 또한 텔벗은 세르브인에게 자그레브 , 오시예크 , 度니라파츠 , 크닌 , 글리나 等 크로아티아 內 어디든 머물 權利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反對로 크로아티아 民族도 桐슬라보니아로 돌아갈 權利가 있다고 말했다. [8] 1996年 初에는 매들린 올브라이트 가 부코바르를 訪問해 地域 市場에서 鷄卵과 돌을 맞는 가운데서도 再統合 過程에 對한 支持를 表明했다. [8]

過渡行政機構의 初期 本部는 유엔保護軍 의 本部인 자그레브 에 있었으나 行政府에서는 슬라보니아 (東部 크로아티아)에 本部를 두고 싶어했다. [2] 크로아티아 政府는 그 目的으로 오시예크 를 提供했지만 任務團은 東슬라보니아 바라냐 鉏시르美아 領土 內에 本部가 있길 願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提議를 拒否했다. [2] 結局 過渡行政機構의 本部는 부코바르에 두고 벨리마나스티르 에는 連絡事務所를 두어 UNTAES 民政擔當官이 地域 內 세르비아 行政委員會와 議會 會議에 參席하고 關聯 情報 交換을 원할하게 했다. [2] 行政機構가 直面했던 가장 큰 問題는 스코르피오니 民兵隊가 統制하는 젤레토브치 油田의 緊張 狀態 解消와 平和的인 奪還이었다. [2] 이를 위해 代表團은 자그레브 駐在 大使들에게 젤레토브치 地域을 訪問하라 促求했고 세르비아 正敎會 와 現在 活動中인 2個 카톨릭敎會를 訪問하라고 紹介했다. [2]

1997年 4月 13日에는 UNTAES가 1997年 크로아티아 上院 選擧 (地域代表議會)를 支援하였고 이 當時 낸시 엘리라파엘 이 이끄는 美國 特別代表段이 부코바르를 訪問했다. [8] 美國 特別代表團은 사르바시 , 에르두트 , , 부코바르 , 步로보 , 오파토바츠 , 일로크 , 샤렌그라드 , 빌레 , 體미나츠 , 벨리마나스티르 , 크네제비비노그라디 等을 次例로 巡訪했다. [8] 美國 代表團은 크로아티아 政府에게 크로아티아의 文書를 가지고 있지 않는 세르브인에게도 투표할 수 있게 措置를 取한 點에 感謝를 표했으며, 보이슬라브 스타니迷路비치 가 議長인 地域 共同體 合同委員會 會議에도 參席해 크로아티아 選擧에 세르브인도 投票를 參與해달라고 付託했다. [8] 그러면서 代表團은 에르두트 協定의 目標인 포두나블레 地域의 多民族 區域 再建이라는 目標를 强調했다. [8]

地域警察 改編 [ 編輯 ]

過渡行政機構의 主要 任務 中 하나는 크로아티아 獨立 戰爭 移轉 步로보셀로 戰鬪 와 같이 民族 間 紛爭이 發生했던 地域警察을 改編하는 業務였다. UNTAES가 直面한 첫 問題는 유고슬라비아 聯邦共和國 의 象徵을 代替하는 일이었다. [2] 이에 對한 反撥이 많아 美國 法務部 의 財政 支援을 받은 過渡行政機構가 어떠한 國家 마크도 없는 警察 征服을 購入하는 妥協案이 이루어졌다. [2] 크로아티아 政府는 처음에 地域警察에게 給料 支給을 拒否했지만 나중에 크로아티아로 主權과 地域 行政權이 返還됨을 保證해 給料 支給에 合意했다. [2] 하지만 그와 同時에 두 番째 問題가 發生했는데 크로아티아 政府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로 給料를 周忌 拒否하고, 地域警察은 크로아티아 쿠나 로 給料를 받기 拒否해 結局 獨逸 마르크 로 給料를 支拂하는 合意가 이루어졌다. [2] 過渡期的 警察力 管理는 二元主義의 原則 下에 이루어졌는데 各 地域의 警察 組織 最高位職은 세르브인과 크로아티아人 2名으로 構成되었다. [7]

過渡行政機構 擴大 [ 編輯 ]

解散 以後 [ 編輯 ]

1997年 末 유엔 安全 保障 理事會 決議 第1145號 에 따라 UNTAES의 治安 維持 任務는 유엔 警察 支援軍(UNPSG)李 引受했으며, 1998年 1月 15日 過渡行政機構의 任務가 事實上 終了되었다. 180名의 유엔 民事警察이 남아 크로아티아 警察 의 狀況을 監視하고 難民의 歸還을 監督했다. UNTAES의 任務에 對한 追加的인 支援으로 유럽 安保 協力 機構 OSCE 크로아티아 任務 段을 樹立해 人權 少數者 權利 保障, 難民 의 歸還, 公共機關의 再建, 民事警察 業務 監視 等의 任務를 總括했다. [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ivi?, D. (2003). “Prognano stanovni?tvo iz hrvatskog Podunavlja i problemi njegovog povratka (1991. ? 2001.)” . 《Croatian Geographical Bulletin》 65 (1).  
  2. Derek Boothby (Jan?Mar 2004). “The Political Challenges of Administering Eastern Slavonia”. 《Global Governance》 ( Global Governance: A Review of Multilateralis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10 (1): 37?51 (15 pages). JSTOR   27800508 .  
  3.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037 . S/RES/1037(1996) (1996)
  4. Hayball, Harry Jack (April 2015). 《Serbia and the Serbian Rebellion in Croatia (1990-1991)》 (PDF) (Doctor of Philosophy). Goldsmiths College . 2020年 7月 4日에 確認함 .  
  5. Ramsbotham, Oliver; Woodhouse, Tom (1999).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 Santa Barbara, California : ABC-CLIO . ISBN   0874368928 .  
  6. Dover, Edwin D. (1998).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96: Clinton's Incumbency and Television》 . Westport, Connecticut & London : Praeger Publishers . ISBN   0-275-96259-8 .  
  7. Jo?ko Mori? (April 2016). “(Ne)?eljena reintegracija” (PDF) . 《Political Analysis》 (Politi?ke analize,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Zagreb ) 7 (25): 14?17 . 2016年 9月 12日에 確認함 .  
  8. Albert Bing (April 2016). “Sjedinjene Ameri?ke Dr?ave i reintegracija hrvatskog Podunavlja” (PDF) . 《Scrinia Slavonica》 (Scrinia Slavonica, Vol.8,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8 (1): 336?365 . 2016年 9月 12日에 確認함 .  
  9. Erceg, Tena (2015). 《Iznevjereni ugovori ? Međunarodne misije u Republici Hrvatskoj》 [Betrayed Agreements ? International Missions in the Republic of Croati] (세르비아語). Zagreb, Croatia: Serb National Council . ISBN   978-953-7442-24-8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