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琉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有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琉璃구슬의 모습.
琉璃甁의 모습.

有利 (琉璃)는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非結晶質 固體 이다. 透明하고 매끄럽고, 生物學的으로 非活性人 特徵이 있어 窓門 , , 眼鏡 等을 만드는 데 쓰지만 깨지기 쉽다는 短點이 있다. 모래 修正 을 構成하는 二酸化 硅素 가 主要 成分인 소다 石灰 琉璃나 붕규산 琉璃 뿐만 아니라, 아크릴 水枝 , 雪糖 有利, 雲母 또는 알루미늄 옥시니트라이드 等도 琉璃에 包含된다.

歷史 [ 編輯 ]

黑曜石 과 같이 自然的으로 생긴 琉璃質 鑛石은 石器 時代 부터 쓰였다. 人類가 琉璃를 만들기 始作한 것은 紀元前 15世紀 이집트에서부터였다. 시칠리아에서는 10世紀 에 처음 스테인드글라스 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15世紀 에는 유럽 으로도 스테인드글라스가 傳播되었다. 이 때에는 評判 유리는 만들어낸 有利 덩이를 다리미 로 눌러 만들었다(대형 板琉璃가 만들어지기 始作한 것은 20世紀 들어서이다). 그러다 보니 유리는 너무나도 비싸서 貴族 들만 琉璃를 가질 수 있었다.

韓國史에서 유리는 漢四郡의 樂浪遺跡에서 發掘된 有利이黨, 有利艦船 等이 있다. 아울러 경주시 내남면 덕천리 性釜山 기슭에서 新羅의 琉璃龍 가마가 發見된 바 있어 三國時代에는 琉璃를 生産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新羅 以後 韓國의 琉璃製造는 거의 斷絶되다시피 取扱되었다. 朝鮮 末期에서야 琉璃製造술은 다시 發展을 하는데 이는 러시아나 日本의 技術을 받아 發展한 것이다. 解放 以後에는 유엔의 支援計劃에 따라 仁川에 琉璃 製造工場이 들어섰는데 이는 韓國이 西歐圈의 發展된 有利製造技法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 契機가 되었다.

救助 [ 編輯 ]

琉璃의 非結晶質性으로 인해 琉璃가 固體인가 液體인가하는 論難이 있다. 그러나 많은 境遇 이는 (固體 = 決定)이라는 오래된 槪念에 依한 混同이며, 現代의 觀點에서 유리는 固體 - 非結晶質 固體 -이다.

有利(非結晶質 固體)와 結晶質 固體의 膨脹性 [ 編輯 ]

琉璃의 構造에는 구멍이 있어 高溫이 되어 原子가 크게 振動하여도, 이 구멍이 쿠션과 같은 役割을 하여 잘 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소다石灰琉璃와 같이 成形이나 加工에 便利하도록 알칼리를 섞으면, 알칼리이온이 溶解되어 이 구멍 속으로 들어간다. 이 때문에 高溫이 되어 原子가 크게 振動하기 始作해도 구멍이 쿠션으로 作用하지 못하므로, 原子 사이의 距離가 넓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熱膨脹이다. 決定의 境遇에서도 原子가 密接히 結合하여 구멍이 없는 것은 熱膨脹이 크고, 구멍이 있는 것은 熱膨脹의 程度가 낮다. 原子가 密接히 結合되어 있는 것으로는 염화나트륨 ( 食鹽 )이 있으며, 100°C의 溫度差에서 0.4%의 膨脹·收縮이 일어난다. 구멍이 있는 것으로는 다이아몬드·石英 等이 있는데 熱膨脹率은 거의 0이다.

原料 [ 編輯 ]

琉璃에는 여러 種類가 있으나, 代表的인 琉璃인 板琉璃 基準이다. 琉璃의 主成分은 二酸化硅素 (SiO 2 )이며, 여기에는 石英이나 硅沙가 使用되는데, 두가지 모두 거의 純粹한 SiO 2 로 이루어진 鑛物이다. 여기에 硼沙·石灰石·炭酸나트륨 等을 加하여 녹기 쉽도록 하며, 强盜나 耐藥品性을 높이기 위해 산화알루미늄·탄산바륨·탄산칼륨을 加하기도 하며, 屈折率 을 높이기 위해 酸化납 等을 加하기도 한다.

副原料 [ 編輯 ]

融劑 原料를 粉碎·配合하여 탱크 로(tank furnace)에 넣으면 高溫에서 녹는다. 工業的으로는 可能한 限 빨리 녹여야 하므로 補助藥品을 使用하는데, 이것이 融劑라 불리는 것으로, 硼素 플루오린 化合物인 플루오燐火硅素나트륨 [1] · 氷晶石 等이 쓰인다. 이 밖에 琉璃조각을 加하며, 이것은 이미 板琉璃와 같은 成分으로 된 것으로서, 廢品을 다시 活用한다는 意味 外에 原料가 琉璃畫(化)를 促進하는 作用을 한다. 말하자면 琉璃조각(cullet)李 種子가 되어 原料가 次例次例 有理化하는 것이다.

淸澄第 [ 編輯 ]

淸澄第(淸澄劑)는 탱크 도가니 속에서 녹은 原料에는 氣泡가 들어 있는데, 이 氣泡를 없애 주는 것이다. 淸澄制로는 질산암모늄 · 황산암모늄 · 질산칼륨 等이 쓰인다. 淸澄制를 加하면 高溫의 液體 유리는 粘性이 減少되어 이들 작은 氣泡가 移動하기 쉽게 되어 表面으로 떠올라 없어진다.

製造 過程 [ 編輯 ]

탱크 요 [ 編輯 ]

琉璃를 녹이는 로(窯:furnace : 火爐)는 琉璃가 녹는 高溫에도 견디고, 琉璃에 依해 浸蝕되지 않는 甓돌을 內裝材로 使用한다. 이 甓돌은 산화알루미늄과 산화규소를 主成分으로 하여 만든 것인데, 琉璃 속에도 같은 成分이 들어 있으므로 오래 使用하면 甓돌 속의 成分이 琉璃 속으로 녹아 들어가게 된다. 그 때문에 가끔 탱크 요를 식히고 甓돌을 바꾸어 넣는다.

板琉璃 印相과 硏磨 [ 編輯 ]

탱크 要로부터 琉璃를 뽑아 올리는 데는 두 가지 方法이 利用된다. 이 때의 主役은 데비토우즈와 롤러이며, 이에 依해서 板琉璃의 두께가 일정해진다. 이 롤러에 물결무늬나 꽃무늬 等을 彫刻하면 무늬版 琉璃가 만들어지며, 琉璃 속에 鐵網을 넣으면 그물版 有利(wire glass)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方法에 依해 작은 凹凸까지 없앨 수는 없다. 琉璃窓에 비친 上(像)李 일그러진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凹凸 때문에 생기는 現象이다. 따라서 거울이나 自動車의 프론트琉璃 等 凹凸 없이 平平한 面이 必要한 것은 表面을 硏磨해야 한다. 이러한 缺點을 補完하기 위해 發明된 것이 플로우트法이며, 납이나 主席이 琉璃보다 무겁고 琉璃나 내火爐재와도 反應하지 않을 뿐 아니라, 凹凸이 없이 平平한 表面을 가진 點을 利用한 것이다. 이 方法에 依해 製造된 유리는 硏磨하는 수고가 덜어지며 앞의 方法보다 能率的이다.

徐冷 [ 編輯 ]

일정한 두께로 만들어진 뜨거운 琉璃는 徐徐히 冷却되는데, 琉璃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冷却하는 데 걸리는 時間이 길어진다. 萬若 冷却 時間을 短縮하면 內部까지 고르게 冷却되지 않아, 먼저 冷却된 바깥 部分만이 古畫(固化)하여 內部를 强하게 壓迫하므로 금이 가고 强度가 떨어진다. 이 缺點을 補完한 콜番法(Colburn 法)의 境遇에는 徐冷요(徐冷窯)가 100m 以上이 되기도 하며, 유리는 이 속을 천천히 移動하면서 內部와 外部가 고르게 冷却된다.

切斷·褒章 [ 編輯 ]

切斷은 다이아몬드로 된 琉璃커터에 依해 自動的으로 이루어진다. 板琉璃를 箱子에 담을 때는 直接 포개서는 안 된다. 新聞紙나 其他 얇은 종이를 사이에 끼우지 않으면, 琉璃 속의 알칼리 成分이 空氣 中의 水蒸氣에 依해 溶解되어 接着劑 作用을 하기 때문에 琉璃가 서로 달라붙는다.

勇氣 製造 [ 編輯 ]

板琉璃 뿐 아니라 病이나 컵·電球 等 여러 가지 琉璃製品은 高溫으로 하면 물렁물렁해지고 자유로이 模樣을 變更할 수 있다는 琉璃의 性質을 利用하여, 高溫으로 加熱하여 成形한다. 板琉璃 製造는 롤러가 그 主役이지만 病이나 그 밖의 容器의 境遇는 取間(吹桿)과 兄(型)李 主役이 된다. 이 方法은 오랜 옛날부터 使用되었으며 紀元前 3千年頃의 이집트 壁畫에도 입으로 불어 琉璃를 成型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現在 施行되는 方法은 工業的으로 大量生産이 可能하도록 硏究된 것이지만 基本原理는 그와 다름이 없다. 또 鎔融琉璃를 琉璃管으로 만들어 이 管을 물렁물렁하게 만들어 여러 가지 模樣을 만들 수 있으며, 化學實驗用의 機構도 主로 이와 같은 方法으로 만든다.

種類와 成分 [ 編輯 ]

琉璃 原料를 녹일 때 原料의 成分配合을 바꾸면 여러 가지 性質을 가진 琉璃를 만들 수 있는데, 이는 琉璃가 여러 가지 成分의 混合物이므로 各 成分의 配合比率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萬一 琉璃의 各 成分이 化合物의 形態로 琉璃를 形成하고 있다면 成分比를 바꿈으로써 여러 가지 琉璃를 만드는 일은 不可能하다. 板琉璃 等을 만드는 普通 琉璃는 산화규소 65 ∼ 75%, 산화칼슘 (原料는 石灰石) 5 ∼ 15%, 탄산나트륨 (탄산소다) 10 ∼ 20%이며, 琉璃의 主成分이 산화규소 以外에 石灰와 소다가 主成分이므로 소다石灰琉璃라고도 불린다.

屈折率이 큰 琉璃 [ 編輯 ]

크리스털글라스

소다石灰琉璃는 屈折率이 別로 크지 않으므로(1.50 ~ 1.52) 렌즈 · 프리즘 等 光學用 유리로서는 性能이 좋지 않다. 따라서 屈折率을 크게 하기 위해서 酸化납을 넣으며(5 ~ 35%), 그렇게 함으로써 屈折率 1.7 以上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납琉璃라 한다. 酸化납이 많아짐에 따라 屈折率이 높아지는 反面 經度가 떨어지므로 카메라의 렌즈 等은 傷處가 생기기 쉽다. 屈折率이 크고 透明한 物質은 빛의 反射作用에 依해 몹시 光彩가 나며 아름답다. 다이아몬드(2.45)·루비(1.75)와 같은 寶石이 그 例라 하겠다. 이러한 빛의 屈折作用을 利用하여 高級食器·裝飾品·照明器具 等으로 쓰이는 것이 크리스털글라스· 컷글라스 이며, 屈折率이 큰 琉璃를 여러 가지 模樣으로 커팅함으로써 빛의 全反射에 依해 光澤이 나도록 한 것이다.

耐藥品性의 有利 [ 編輯 ]

琉璃의 成分 가운데 가장 많은 部分을 차지한 것은 산화규소인데, 산화규소의 鎔融 溫度를 내리고 琉璃의 加工을 容易하게 하기 위해 酸化알칼리가 添加되어 있다. 이 알칼리는 水分에 依해 徐徐히 溶解된다. 알칼리가 湧出(溶出)된 유리는 山이나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칼리에는 녹는다. 이 때문에 琉璃는 알칼리성 溶液에 弱하며, 水分의 存在下에 琉璃와 유리가 接觸되어 있을 때 서로 接着되는 現象이 생길 수 있다. 琉璃甁 속에 알칼리성 溶液을 넣어서는 안 되며, 琉璃甁의 뚜껑으로 琉璃를 使用하지 않는 것도 그 때문이다. 化學實驗에 쓰이는 琉璃로는 물에 依해 琉璃 속의 알칼리가 溶解되지 않는 것, 或은 알칼리에 對해 相當히 安定性을 가진 것이 使用된다. 琉璃 속의 알칼리 成分을 줄이면, 藥品에 對해 安定性을 가진 것이 만들어지며, 알루미나 (alumina: 酸化 알루미늄 )가 많이 含有된 琉璃도 藥品에 强하다. 그러나 알루미나나 硅酸이 많이 含有된 유리는 잘 溶解하지 않으므로 酸化硼素를 넣기도 한다. 이와 같은 琉璃는 化學 實驗用器具·藥品의 容器·앰플·注射器 等으로 쓰인다. 이러한 유리는 그 成分으로 보아, 소다石灰琉璃의 成分 中에서 소다의 石灰를 줄이고, 산화알루미늄을 증가시킨 소다알루미나有利, 硼酸을 증가시킨 저 알칼리붕규산琉璃, 硼酸과 산화알루미늄을 증가시킨 붕규산알루미나琉璃 等으로 分類된다.

急激한 溫度變化에 견디는 有利 [ 編輯 ]

차가운 유리컵에 갑자기 뜨거운 물을 붓거나 反對로 뜨거운 유리컵에 차가운 물을 부으면 깨진다. 이것은 뜨거운 물이나 차가운 물이 닿은 部分은 膨脹하거나 收縮하지만 뜨거운 물이나 차가운 물이 닿지 않는 바깥面은 그대로이므로 컵에 無理한 힘이 加해지기 때문이다. 보통의 컵을 만드는 데 쓰이는 소다石灰琉璃나 高級食器 等으로 쓰이는 크리스털글라스(납琉璃)는 溫度를 100°C로 올리면 0.1%膨脹한다. 그러나 藥品에 侵蝕되지 않는 琉璃爐서 化學實驗機構 等으로 쓰이는 붕규산琉璃나 저 알칼리붕규산琉璃는 100°C 溫度差에서 0.03% 程度밖에 膨脹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소다石灰琉璃의 3倍 程度 溫度差에 견딜 수 있으며, 蒸氣殺菌이나 沸騰에 견디므로 이 點도 化學器具·醫療器具用으로서 利用되는 理由 中의 하나이다.

石英琉璃 [ 編輯 ]

有利 救助는 硅素原子와 酸素原子가 結合하여 만든 그물코에 군데군데 구멍이 남겨진 것 같은 模樣으로 이루어졌다. 純粹한 硅素와 酸素만의 그물코로 된 琉璃를 石英琉璃라고 부르는데 軟化點(軟化點)李 1,500°C 以上(普通 소다石灰琉璃는 約 600°C)으로서 藥品에 依해 浸蝕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1,000°C 程度의 溫度差로 急熱·急冷되어도 깨지지 않는다. 石英琉璃는 이처럼 優秀한 여러 性質을 가졌으나 軟化하는 溫度가 1,500°C 以上이므로 加工·成形이 極히 어렵다. 또한 原料를 有理化하려면 1,717°C 以上의 高溫을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도가니의 材料, 高溫을 만드는 方法 等 技術的으로 곤란한 點이 많으며, 따라서 값이 몹시 비싸 특수한 境遇 以外는 使用되지 않는다.

紫外線 透過琉璃 [ 編輯 ]

紫外線 은 殺菌이나 비타민D의 生成 等 人間의 健康上 所重한 것이다. 그러나 一般 家庭에서 琉璃窓을 닫고 日光浴을 하면 效果가 없는데, 이것은 普通의 소다石灰琉璃 속에 不純物로서 酸化鐵이 0.2% 程度 含有되었기 때문이며, 이것이 3街(Fe 3+ )의 이온으로 바뀔 때 紫外線을 吸收하는 까닭이다. 紫外線을 통과시키는 琉璃를 만들려면 철이 含有되지 않은 原料를 使用하거나, 철이 2街의 Fe 2+ 이온으로 含有되어 있는 저(低)알칼리붕규산琉璃를 使用한다. 또한 石英琉璃는 高價이긴 하지만 紫外線을 통과시키는 유리로서 가장 優秀하며, 醫療用·照明用의 太陽燈이나 水銀燈 에는 이러한 紫外線 透過琉璃가 使用된다.

赤外線 遮斷琉璃 [ 編輯 ]

太陽光線이 뜨겁게 느껴지는 것은 太陽光線 속의 赤外線 에 依한 것이다. 琉璃窓이 달린 室內溫度를 日光이 비쳐도 甚하게 上昇하지 않도록 하려면 赤外線을 遮斷하는 琉璃를 使用하면 된다. 特히 汽車 같은 것에서 冷房效果를 얻고, 琉璃窓 밖이 내다보이도록 하기 위해 可視光線은 통과시키고, 눈에는 보이지 않고 熱을 내는 赤外線은 통과시키지 않는 熱線吸收琉璃라는 것이 使用된다. 이 琉璃는 鐵의 2街이온 Fe 2+ 를 많이 含有한 것이다. 또한 酸化 세륨을 섞은 것도 赤外線을 吸收한다.

感光琉璃 [ 編輯 ]

소다石灰琉璃에 放射線을 비추면 褐色으로 着色된다. 따라서 이 着色된 色의 濃度를 測定하면 放射線의 量을 알 수 있으며, 色의 濃度를 測定하기 쉽게 한 琉璃를 放射線測定龍 琉璃라 부른다. 또 빛이 닿으면 검게 着色되고 빛을 除去하면 천천히 脫色되는 琉璃를 趙匡(調光)琉璃라 부르는데, 햇살이 剛한 낮에는 검게 흐리어 빛을 遮斷하고 밤에는 透明해지므로 窓琉璃用으로 硏究되고 있다. 이것은 琉璃 속에 微細한 結晶으로 된 할로겐화은이 分散되어 있어, 빛이 닿으면 은이 分離되어 黑色의 粒子로 되는 것을 利用한 것이다. 寫眞 필름의 反應과 같은 原理이지만 이 琉璃의 境遇는 琉璃 속에서 일어나는 反應이므로 光線이 遮斷되면 本來의 形態로 되돌아간다는 點에 다르다.

色琉璃 [ 編輯 ]

琉璃 속에 어떤 種類의 元素를 溶解시키면 特殊한 色琉璃를 만들 수 있다. 이 着色劑는 琉璃自體를 構成하는 成分은 아니지만 工藝品이나 光學用으로서 널리 利用되고 있다.색유리의 아름다운 光澤과 色, 그리고 變色하지 않는 性質을 利用한 美術品에 스테인드 글라스가 있다. 이것은 于先 圖案의 色에 맞추어 色琉璃板을 자르고 이 色琉璃를 圖案과 같은 무늬로 이은 다음 납으로 鎔着(溶着)한 것이다. 유럽에서는 11世紀頃부터 聖堂의 窓이나 天障의 裝飾으로 쓰였으며, 只今까지 原狀대로 保存된 것이 많이 있다. 마찬가지로 모자이크라 하여 色琉璃의 작은 조각을 타일처럼 박아 그림을 그리는 方法도 있는데 建物 壁畫에 使用된다.

필터有利 [ 編輯 ]

필터는 色琉璃의 一種으로서 寫眞 撮影이나 그 밖에 빛에 關한 實驗에 있어 特定 波長의 빛만을 必要로 할 때에 쓰이는 것이다. 紫外線을 막는 色眼鏡도 一種의 필터이다. 또 金屬鎔接이나 高溫인 노(爐)의 作業 等에서 强한 빛을 내는 物體를 보아야 할 때는 紫外線·黃色光線 外에도 보통의 可視光線도 弱하게 하여야 하므로 相當히 津한 色의 保護眼鏡을 使用하게 되는데 이것도 필터琉璃의 一種이다.

强化琉璃 [ 編輯 ]

安全琉璃 [ 編輯 ]

젖빛琉璃 [ 編輯 ]

板琉璃에 壓縮 空氣로 고운 모래를 뿜어 表面에 不規則한 凹凸을 만든 것이다. 이러한 表面에서는 光線이 直線的으로 屈曲夏至 않고 不規則하게 反射·屈折을 하므로, 빛이 通過하기는 하지만 보기에는 不透明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琉璃窓으로 使用하면 눈이 부신 것을 막아 준다.

琉璃纖維 [ 編輯 ]

琉璃工藝 [ 編輯 ]

유리는 比較的 造作하기 쉬운 高溫에서 任意의 模樣으로 만들 수 있고, 그 光澤이나 透明性 또는 着色이 쉽다는 等의 性質을 利用하여 日常 生活品·裝飾品 等의 工藝品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 成型法에서는 鑄型을 使用한 取刑法(吹型法), 鑄型을 使用하지 않고 입으로 불고, 가위·人頭 等을 使用하여 成型하는 酒醉法(宙吹法), 金屬의 틀에 프레스하는 압형法 等이 있다. 表面에 무늬나 그림 等을 加工하는 方法으로는, 숫돌로 갈아 光線을 全反射 시키는 表面을 만드는 커팅法(cutting法), 다이아몬드로 무늬를 彫刻하는 方法, 플루오燐火 水素酸 等의 化學 藥品으로 腐蝕시켜 새기는 方法, 金屬 酸化物로 된 그림물감 으로 그림을 그리고 굽는 方法 等이 있다. 材料로서는 그 光學的 性質을 利用하기 위해 크리스털 글라스(납琉璃)가 흔히 使用된다.

危險性 [ 編輯 ]

부서진 琉璃

一旦 부서지면 매우 處理하기 힘든 物質 中 하나가 바로 琉璃다. 그 理由는 큰 조각부터 작은 조각까지 여러 크기로 깨어지고, 一部는 가루가 되기 때문이다. 一旦 琉璃가 깨졌다면 맨발이나 맨손, 또는 옷을 벗은 狀態에서는 琉璃조각이 身體에 박힐 수 있기 때문에 絶對 近處에 接近하지 말아야 한다. [2] 琉璃조각을 치울 때는 두꺼운 掌匣을 끼고 신발도 신은 뒤, 옷도 두꺼운 것을 입고 치워야 한다. [3] 이때 덥거나 不便하다고 털이 보이거나 얇은 옷을 입으면 안 된다. 털 사이에 琉璃조각이 끼게 되면 치우기가 正말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두꺼운 옷을 입고 큰 조각을 먼저 치우고 작은 조각은 빗자루로 쓸고, 가루는 靑素旗로 치워야 된다. 一般琉璃의 境遇 前方 1미터 以內의 空間을 淸掃해야 하며, 壓縮琉璃의 境遇 깨지면서 破片이 더욱 넓게 튀기 때문에 全體(例를 들어, 廚房에서 壓縮有利 材質의 密閉容器를 깨뜨렸다면 廚房 全體)를 淸掃해야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규佛畫(硅弗化)나트륨이라고도 한다.
  2. 琉璃조각이 맨발이나 맨손, 그 外 身體 一部分에 박히게 되면 最惡의 境遇, 手術이 必要할 程度로 深刻한 狀況에 이를 수도 있다.
  3. 이렇게 해도 베이거나 찔리는 境遇가 있으니 注意해야 한다.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