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遺骨 에서 넘어옴)

人間의 발 뼈의 모습.

(骨)는 척삭動物門 에 屬하는 動物들의 胴體를 支撐하는 단단한 連結 組織이자 機關 이다. 뼈는 뼈대를 構築해 몸의 構造物을 支持하고 餘他 身體 機關들의 負傷을 막으며 白血球 · 赤血球 를 生産한다. 또한 無機鹽類 를 貯藏하고 筋肉 과 함께 動物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該當된 身體 部位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내·외적으로 複雜한 構造를 갖고 있다. 가볍고 튼튼한 同時에 活潑한 生命 活動을 한다. 척삭動物門 以外의 갈래에 屬한 無脊椎動物 가운데에서는 뼈 代身 껍질이나 껍데기, 키틴질을 使用하는 것들도 있다. 人間의 뼈는 石灰化된 살아있는 結合組織으로 딱딱한 警組織으로 形態를 支持하고 미네랄 貯藏 및 血球細胞 生成 組織 保有한다. 뼈의 關節은 潤滑關節과 固定關節이 있다.

救助 [ 編輯 ]

뼈는 比較的 단단하고 가벼운 合成 物質이며, 水酸化燐灰石 이라고 하는 인산칼슘으로 大部分 이루어진 化合物이다. 이는 比較的 높은 壓縮强度 를 가지고 있지만 낮은 引張强度를 가진다. 뼈는 基本的으로 깨지기 쉬우나 自體 有機成分(主로 콜라겐 ) 때문에 눈에 띌 程度의 彈力性을 가진다. 뼈는 內部的으로 망사 構造이며, 密度는 位置마다 다양하다.

뼈는 緻密質人 곳도 있고 海綿質人 것도 있다. 겉質뼈(바깥板)은 緻密하며, 骨格에서 큰 部分을 차지한다.

微細構造 [ 編輯 ]

뼈의 典型的인 救助는 緻密質 部分에서 볼 수 있으며, 가느다란 血管 을 中心으로 하는 同心圓像 斷面 構造를 가진 原州(圓柱)가 單位 構造를 이룬다. 이것을 下버스館(管) 또는 오스테온(골단위)이라 한다. 그 構造는 鐵筋 콘크리트 기둥에 比喩된다. 鐵筋에 該當하는 것은 敎員 纖維로 짜여진 바구니이며, 그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시멘트에 該當하는 것이 骨質 이다. 骨質은 炭酸 칼슘·因山 칼슘 等의 無機質과 蛋白質이 結合된 것이다. 이들 纖維나 骨質은 골아 細胞가 算出 分泌하는데, 細胞 自身은 漸次 이것들에 依해 에워싸여져 갇혀 버린다. 그러나 細胞는 가늘고 긴 細胞質의 突起를 骨質 속으로 많이 보내 隣接 細胞와 連絡하며, 이들 突起는 骨質이 뚫어놓은 터널(骨稅關) 속에 들어가 있다. 이 같은 狀態가 된 細胞를 骨細胞라고 한다.

骨細胞의 키氣는 原則的으로 下버스館 中央의 血管 쪽을 向해 나 있다. 이들 突起에 依한 連絡은 酸素·英陽·不必要한 物質의 輸送路를 이루는데, 가장 바깥層의 骨細胞 突起가 隣接하는 下버스館에 所屬하는 突起와 連絡하지 않고 下버스觀마다 閉鎖的인 系列을 形成한다. 下버스官은 一生동안 끊임없이 다시 만들어진다. 推測컨대 뼈에 걸리는 힘의 方向이나 性質의 微妙한 變化에 對應하여 다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橫斷面으로 이웃해 있는 下버스館의 틈새에 볼 수 있는 不規則한 줄무늬는 以前에 그곳에 있었다가 只今은 破壞된 下버스館의 痕跡이다.

骨質 또한 끊임없이 다시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放射性 칼슘을 먹이에 섞어 動物에게 주고 그 所長(消長)을 觀察한 實驗에 依하면 放射性 칼슘은 뼈에 沈着(沈着)하지만 一定 時間이 지난 뒤에는 잇달아 排出된다. 人間의 境遇는 그 期間이 몇 個月인 사람도 있다. 人이나 蛋白質 等에 對해서도 같은 結果가 생기기 때문에 骨質은 一定 期間이 지난 後에는 完全히 새로운 構成 成分으로 바뀐다. 이와 같이 뼈는 그 構造와 成分 모두 끊임없이 變化하는 살아 있는 組織이다. 이와 같은 特徵 때문에 뼈가 부러져도 다시 고칠 수 있다.

骨組織 [ 編輯 ]

骨組織(骨組織)은 細胞가 分泌한 骨質이 敎員 纖維의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組織을 말한다. 骨質은 因山 칼슘 Ca3(PO4)2, 炭酸 칼슘 CaCO3 等의 칼슘염과 蛋白質로 이루어지며, 매우 굳고 彈力이나 可塑性度 없다.

骨組織은 軟骨 組織과는 完全히 다른 組織으로, 軟骨 組織이 漸次 骨組織으로 變해가는 境遇는 없다. 骨組織 속에는 血管이나 림프관이 豐富하게 分布하며, 구부러지거나 破壞되어도 骨膜만 남아 있으면 再生한다.

分類 [ 編輯 ]

  • 긴뼈 : 관형構造이며(예: 정강뼈) 긴뼈의 가운데 자루를 뼈몸통 이라고 한다. 그리고 빈 中央에는 骨髓 로 찬 骨髓空間이 있다. 骨髓空間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또한 骨髓를 包含하고 있는 얇은 海面뼈 層이다. 뼈의 末端에는 뼈끝이라고 하며, 거의 海面뼈로 이루어져 있고, 緻密뼈의 比較的 얇은 겉質로 덮혀져 있다. 어린이들의 뼈는 赤色骨髓로 차있고 漸次 자라면서 黃色骨髓로 代置된다.
  • 짧은뼈 : 긴뼈와 類似한 構造를 가지고 있지만, 骨髓空間이 없다.
  • 납작뼈 : 두個의 緻密뼈板으로 構成되며 가운데에 샌드위치처럼 海面뼈가 있다. 이 海面뼈를 判事二層(diploe)이라고 한다.
  • 不規則뼈 : 앞의 뼈의 어떤 形態에도 屬하지 않는 뼈를 말한다.
  • 空氣뼈 : 뼈안에 空氣가 있는 것을 말한다. (예: 위턱뼈)
  • 混合뼈 : 위의 뼈 模樣이 混合되어 있는 것들을 말한다.

機能 [ 編輯 ]

  • 몸의 構造 支持
  • 內部 臟器 保護
  • 無機質 貯藏 - 칼슘 人
  • 血球形成作用
  • 지렛대 役割 - 例를 들어 몸과 팔의 힘의 傳達
  • 酸과 鹽基의 調節
  • 毒性除去

形成과 維持 [ 編輯 ]

뼈의 成長 : 骨細胞 (osteocyte)- 骨母細胞 (osteoblast)- 줄기細胞 (osteogenic cell,stem cell) - 破骨細胞 (osteoclast)

形成된 뼈가 繼續해서 健康하게 維持되기 위해서는 다른 機關들처럼 칼슘等 미네랄이나 비타민 D,野菜等과 같은 適切한 營養分을 可及的 規則的으로 供給하는 것도 重要하지만 술,담배等과 같은 몇몇 飮食의 지나친 攝取가 뼈를 形成하는 物質代謝 에 否定的인 影響을 미치는 境遇도 考慮해야한다. 한便 뼈의 密度를 높이거나 維持하는 것 또한 重要한데 이를 위해서는 適正한 무게를 올바른 方法으로 들어올리는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30分以上 걷기 運動, 體操等 重力을 意圖的이고 效率的으로 利用함으로써 뼈의 形成視 密度가 높아지도록 誘導하는 것도 重要하다고 스포츠 및 醫療 專門家들은 言及하고있다. [1] [2] 한便 뼈의 形成視 骨質量의 密度를 높이고 이를 維持하는데 必須的인 運動의 側面으로는 뼈의 機能과 연관있다. 身體의 均衡感覺 을 利用하는 運動이나 코어筋肉 을 基盤으로하는 筋肉運動 그리고 줄넘기나 階段오르기와 같은 體重을 실어서 옮기는 무게中心 移動의 運動은 뼈가 重力을 利用하는 代表的인 3가지 方法들이다. 뼈가 重力을 利用하기 위해서는 重力의 스트레스를 견뎌야 하는데 이때 뼈는 物理的으로 좀더 높은 뼈의 强度를 必要로 하게 되는 메카니즘 이다.

用語 [ 編輯 ]

돌기(process) 比較的 큰 突出部나 두드러진 隆起
關節(articulation) 近接한 뼈가 서로 만나는 곳
關節突起(articular process) 近接한 뼈가 만나는 突出部
隆起(eminence) 比較的 작은 突出部나 隆起
거친綿(tuberosity) 거칠거칠한 面이 突出되거나 隆起된 境遇. tuberosity가 거친면이 아니라 結節, 隆起의 用語로 쓰일때도 있음
結節(tubercle) 거칠거칠한 面이 突出되거나 隆起된 境遇로 거친綿(tuberosity)보다 작은 境遇에 쓰인다.
돌기(trochanter) 넓적다리뼈 에 있는 特有의 두 거친綿(tuberosity)
가시(spine) 比較的 길고 얇은 突出部나 隆起
封合(suture) 머리뼈間의 關節
複寫(malleolus) 발목 에 있는 特有의 두 隆起
關節隆起(condyle) 크고 둥근 關節突起
僞關節隆起(epicondyle) 關節隆起(condyle)의 近處에 있는 突出部, 하지만 關節의 一部는 아님
선(line), 선(ridge) 길고 얇게 튀어나온 突出部, 種種 거친 面과 함께 있음
稜線(crest) 突出한 先.
面(facet) 작고 부드러운 關節面
구멍(foramen) 뼈에 난 열린 구멍
오목(fossa) 넓고 얇게 敗因 地域
管(canal) 길고 터널 같은 구멍으로, 主로 神經이나 血管의 通路로 使用된다.
길(meatus) 짧은 管
洞窟(sinus) 머리뼈에 있는 空間

긴뼈의 特定파트의 이름도 있다.

뼈몸통(diaphysis, shaft) 뼈의 길고 比較的 곧은 主要 部分;日次 뼈發生의 場所
뼈끝(epiphyses) 뼈의 끝 部分; 二次 뼈發生의 場所
뼈끝판(epiphyseal plate) 뼈끝과 뼈몸통의 融合의 痕跡인 뼈에 난 얇은 板(成人에게만 있음)
머리(head) 뼈의 寄附(基部, 몸 中心에 가까운)의 關節 끝
목(neck) 머리와 뼈몸통 사이에 있는 뼈의 部位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骨組織"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