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프로젝트討論:中央아시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프로젝트討論 : 中央아시아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지막 意見: 8年 前 (Gusdn961020님) - 主題: 中央아시아의 歷史 範圍에 對한 定義

中央아시아 各國 情報 [ 編輯 ]

저는 大略 이러한 情報는 各 나라別 大使館 사이트에 있는 添附파일들을 參考합니다만, 따로 參考하시는 것들이 계시나요? -- 嘉藍 ( 論議 ) 『Carpediem』 2011年 3月 16日 (水) 20:59 (KST)

저같은 境遇에는 네이버 百科事典을 參考하거나 그 外 書籍을 利用합니다. Jwh369 ( 討論 ) 2011年 4月 24日 (일) 17:04 (KST)
르네 그루쎄의 『유라시아 遊牧帝國史』나 日本의 學者들이 쓴 『中央유라시아의 歷史』 等을 가장 많이 參考합니다. 또, 유네스코에서 發刊한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를 參考합니다. 이 冊은 온라인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1] -- Nuel92 ( 討論 ) 2011年 5月 2日 (月) 23:48 (KST) 答辯

틀 完成 [ 編輯 ]

좀 努力을 들였습니다만...(모양이나 色이 마음에 안드신다면 언제든지 意見을 提示해 주십시오.) Jwh369 ( 討論 ) 2011年 4月 24日 (일) 17:09 (KST)

{{ 中央아시아 프로젝트 }}의 境遇에 그림을 '티무르 王國' 指導로 하셨던데, 그러신 緣由라도 있으신가요..? 代表性이 있긴 한데, 그게 全體 歷史로 볼 때는 힘들지 않을까요? -- 嘉藍 ( 論議 ) 『Carpediem』 2011年 4月 24日 (일) 17:12 (KST)
그렇다면 代表性이 있는 이미지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이미지들을 보니 그렇게 좋지도 않은 것 같고요... Jwh369 ( 討論 ) 2011年 4月 25日 (月) 16:54 (KST)
굳이 한 나라의 地圖를 代表이미지를 使用해야 한다면, 티무르 王朝의 指導보다는 몽·元 第國旗의 指導가 더 代表性 있지 않을까요? 萬若 地圖를 代表이미지로 使用하지 않는다면, 中央아시아學會 의 로고와 같이 中央아시아의 藝術品을 代表이미지로 使用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Nuel92 ( 討論 ) 2011年 5月 10日 (火) 00:34 (KST) 答辯

빠른 時日 內에 修正해야 겠군요. Jwh369 ( 討論 ) 2012年 3月 3日 (土) 16:58 (KST)

修正했습니다. Jwh369 ( 討論 ) 2012年 3月 3日 (土) 17:03 (KST)

行政區域 틀 [ 編輯 ]

現在 中央아시아에 屬한 5個 나라 中 行政區域 틀이 없는 나라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입니다. 이 두 나라의 行政區域 틀을 같이 만드실 분은 없나요? Jwh369 ( 討論 ) 2011年 4月 25日 (月) 22:24 (KST)

行政 區域 文書는 제가 만들어야지.. 하고는 건들지 않았던 것 中에 하나인데, 가장 큰 理由는 飜譯 用語 때문입니다. 그 나라의 行政 區域에 對한 資料가 없다보니, 英語版에서 飜譯하는 게 茶飯事지만, 그 나라의 細部 行政 區域別 韓國語式 飜譯 名稱(뭔가 말이 꼬이군요. 大略, 週라던지, 地球를 의미합니다. 예: ?????; 카셋-캄보디아의 行政 地域 區分 名稱)李 定해진 바 없어 英語版을 飜譯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주* 大韓民國 大使館에 問議해도 알 수 없는 게 茶飯事고요. 오히려, 大使館 側에서 僑民들이 만든 韓國語 指導를 添附해주는 實情입니다.) 그래서 동티모르의 行政 區域을 抛棄했었습니다만.. 몇 달 사이에 生成되었더군요..;; 關聯 行政 區域 用語에 對한 合意(?)가 있다면, 도와드릴 意思가 있습니다.?:) -- 嘉藍 ( 論議 ) 『Carpediem』 2011年 4月 25日 (月) 22:43 (KST)

中央아시아의 歷史 範圍에 對한 定義 [ 編輯 ]

제 생각에는 文化圈을 爲主로 範圍를 定했으면 합니다만... Jwh369 ( 討論 ) 2011年 4月 26日 (火) 22:55 (KST)

  • 아시아 大陸의 遊牧民族이 活動한 地域을 中央아시아 라고 하면 어떨까요... Tinystui ( 討論 ) 2011年 4月 27日 (水) 00:10 (KST)
文化로 본다면, 아랍圈과 非아랍圈으로 나누어지지 않나요? -- 嘉藍 ( 論議 ) 『Carpediem』 2011年 4月 27日 (水) 01:32 (KST)
‘아랍圈’이라는 表現보다는 ‘이슬람圈’이라는 表現이 더 적합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런式으로 圈域을 나누는 것은 無理가 있는것 같습니다. 예컨데 샤이바니는 무슬림이었지만, 꾸란보다는 稱기스 칸의 法律人 野史를 自身의 根本으로 삼았으니까요. 이는 투르크·몽골系 國家들에 一般的인 傾向으로 알고 있습니다.-- Nuel92 ( 討論 ) 2011年 5月 26日 (木) 00:03 (KST) 答辯

그렇다면 넓은 意味의 中央아시아(때때로 包含되는 나라 및 地域도 包含)에서의 遊牧 民族들의 나라 및 王朝는 어떨까요? Jwh369 ( 討論 ) 2011年 5月 1日 (일) 19:45 (KST) 答辯

‘遊牧 民族’을 基準으로 삼는다면, 中央아시아의 오아시스에 居住하던 正住民들의 歷史가 갈 곳이 杳然해지니, 이에 對해서는 좀 더 苦悶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Nuel92 ( 討論 ) 2011年 5月 27日 (금) 00:16 (KST) 答辯

그렇다면 現在 中央아시아 地域에 水道가 있었거나, 中央아시아의 大部分을 領土로 가졌던 國家 또는 우즈베크族 , 위구르族 等이 세운 國家를 中央아시아의 옛 國家 範圍로 定하면 어떨까요? Jwh369 ( 討論 ) 2011年 5月 10日 (火) 20:27 (KST) 答辯

  • 英語版의 中央아시아 項目으로 가니, 現在 中央아시아의 範圍는 蘇聯에서 定한 範圍로 보이네요. 제 생각에는 蘇聯이 設定한 것보다는 더 넓은 範圍가 中央아시아의 範圍가 되어야한다고 봅니다. 該當 項目에는 유네스코가 定義한, 現在 韓國語版의 範圍에 몽골리아, 티베트, 北東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카쉬미르, 印度의 一部 地方 等을 더한 것도 紹介되어있는데, 저는 이 안을 受容했으면 좋겠습니다.-- Nuel92 ( 討論 ) 2011年 5月 22日 (일) 01:07 (KST) 答辯
贊成 제가 생각하기에는 Nuel92님의 意見도 一理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Jwh369 ( 討論 ) 2011年 5月 25日 (水) 22:32 (KST) 答辯

中央아시아의 範圍를 定하는 論議에 參考가 될까 싶어 《敎養人을 위한 中央아시아史》라는 冊에서 說明한 中央아시아의 正義에 對해 引用해보려 합니다.(pp.15-16)

“(上略) 오늘날 日本의 新聞이나 텔레비전에서 '中央아시아'라는 말은 一般的으로 舊 蘇聯에 屬해 있던 中央아시아를 가리킨다. 具體的乙는 우즈베키스탄 共和國, 타지키스탄 共和國, 투르크메니스탄國, 키르기스스탄 共和國, 그리고 카자흐스탄 共和國이 이에 包含된다. 그러나 이 境遇 中央아시아는 가장 좁은 意味에서 使用된 中央아시아다.

이에 비해 좀 더 넒은 意味에서 中央아시아라는 用語를 使用하는 境遇도 있다. 例를 들면 《中央아시아 硏究 Central Asiatic Journal 》라는 學術 雜誌의 境遇, 雜誌의 題目에 包含되는 Central Asia, 卽 中央아시아는 앞에서 말한 좁은 意味의 中央아시아뿐만 아니라 中國의 新疆 위구르 自治區와 티베트 自治高, 內몽골 自治區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몽골국까지를 包含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中央아시아는 가장 넒은 意味에서의 中央아시아人 셈이며, '內陸 아시아', '中央 유라시아' 等의 用語와 거의 같은 意味라고 할 수 있다.”

이 冊은 中央아시아의 範圍를 위의 넓은 意味로서의 中央아시아로 하되 몽골과 티베트를 除外하였는데, 이는 적어도 16世紀 以後부터 몽골과 티베트는 佛敎의 世界觀에 屬하게 되어 歷史的으로 투르크 이슬람 世界에 屬했던 나머지 中央아시아와 等質性을 띄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Nuel92 ( 討論 ) 2012年 7月 30日 (月) 22:25 (KST) 答辯

아래는 네이버 知識百科의 內容입니다.

"中央아시아에 對한 가장 傳統的인 地理的 槪念은 1843年 알렉산더 본 프리드리히 훔볼트(Alexander Friedrich von Humboldt)에 依해 이루어졌다. 그는 東西로 카스피해에서 西部 滿洲地域(興安嶺) 山脈에 이르고, 南北으로는 알타이 山脈에서 히말라야 山脈에 이르는 廣闊한 地域을 中央아시아 地域으로 設定하였다. 그 後 1876年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Ferdinand von Richthofen)과 무쉬케토프(Mushketov)는 훔볼트의 地理的 槪念을 받아들이면서 아랄해에서 카스피해 地域을 中央아시아에서 除外 시켰고, 1932年 블라디미르 오브壘체프(Vladimir Obruchev)는 여기서 티베트 高原과 쿤룬 山脈을 追加로 排除시켰다.

훔볼트의 傳統的인 槪念이 西歐 學者들에 依해 널리 받아들여지는 反面에 오브루체프의 主張은 蘇聯 學界의 定說로 定着되기에 이르렀다. 蘇聯 學界에서는 政治的 意圖에 依해 定着된 좁은 意味의 中央아시아 槪念을 使用하지만 西歐에서는 훔볼트가 定義한 廣闊한 地理的 領域을 中央아시아의 江域으로 널리 使用되고 있다. 이러한 觀點에서 보면, 中央아시아 國家는 우즈베키스탄을 爲始한 5個國이 아니라 터키,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몽골, 러시아聯邦의 타타르共和國, 바쉬코르트共和國, 츄바슈共和國, 투바共和國, 下카스共和國, 야쿠트共和國, 仍舊쉬共和國, 체첸共和國, 칼묵共和國, 브리야트共和國 및 中國의 內몽골 自治區, 腎臟 위구르 自治區, 티베트 自治區 等이 包含된다.

中央아시아 歷史에서는 傳統的으로 몽골의 遺産을 共有하고 있는 中央아시아의 歷史를 過去 소비에트聯邦에 屬했던 5個의 共和國(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中心으로 그들의 文化와 領土, 그리고 帝國의 建設 等과 關聯된 內容을 中心으로 記述하고자 한다."

제 생각에는 過去 소비에트聯邦에 屬한 5個國만이 아니라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西歐에서 定着된 意味의 中央아시아를 範圍로 想定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Jwh369 ( 討論 ) 2015年 8月 30日 (일) 23:16 (KST) 答辯

贊成 그러합디다?!-- Gusdn961020 ( 討論 ) 2015年 8月 30日 (일) 23:21 (KST) 答辯

共同 編輯 [ 編輯 ]

參加者 여러분께 中央아시아 關聯 文書의 共同 執筆을 要請드리고 싶네요. 많은 意見 付託드립니다.^^ -- Jwh369 ( 討論 ) 2016年 1月 24日 (일) 16:28 (KST)

一旦은 中央아시아 文書에 對한 共同 編輯을 提案하고 싶습니다. 主로 他 言語의 위키百科 飜譯을 하게 될 것 같아요. -- Jwh369 ( 討論 ) 2016年 1月 24日 (일) 17:09 (KST)
아틀란스 中央유라시아가 나온걸로 알고있습니다. SVG,Png 파일을 만질수 있는분들은 參考해주세요-- 高麗 ( 討論 ) 2016年 1月 24日 (일) 18:53 (KST)
@ 高麗 : 有用한 情報 感謝합니다. 많은 參與 付託드리겠습니다. -- Jwh369 ( 討論 ) 2016年 1月 24日 (일) 19:20 (KST)
한番 時間 내서 編輯해 보겠습니다. 一旦 冊부터 사고, 읽고 整理해야.. ㅌㅌ -- L. Lycaon ( 討論 / 寄與 ) 2016年 1月 24日 (일) 19:22 (KST)
一旦 歷史 部分은 中國, 印度 및 페르시아, 러시아 帝國 및 蘇聯과의 關係로 나눠서 作成하고자 합니다. 中央아시아 南쪽의 타지키스탄 같은 國家는 引渡-페르시아 文化에 影響을 받았고, 黨이나 願 같은 中國 또는 중원 地方의 國家나 위구르, 요와 같은 中國과 關聯이 깊은 國家도 中央아시아를 征服한 적이 있으며, 近現代에는 러시아 帝國과 蘇聯의 支配를 받았으니까요. 英語版 위키百科度 같이 參考할 豫定입니다. Omaha Beach max~ 2016年 1月 24日 (일) 21:39 (KST)
民族別로도 分類해야겠지요? 時間이 許諾한다면 書籍을 爲主로 한番 찾아봐야겠네요. ????????????? ( 討論 ) 2016年 2月 29日 (月) 19:55 (KST)
@ Kchwoo9 : 甚至於 中央아시아의 歷史 文書마저 없었네요.(ㅠㅠ) 막 生成했습니다.(토막글이지만...) -- Neopen ( 討論 ) 2016年 3月 1日 (火) 15:08 (KST)
차라리 中央아시아의 歷史 를 같이 다루는 것도 괜찮겠네요. -- Neopen ( 討論 ) 2016年 3月 1日 (火) 15:09 (KST)

아무라디야, 시르다리야 [ 編輯 ]

다리야 라는 이름 自體가 江이라고 알고 있기에 標題語에 姜이란 表現을 쓸 必要가 있을 지 궁금합니다. max ( 討論 ) 2019年 4月 14日 (일) 18:33 (KST)

普通 몽블랑山 이나 리오그란데강 과 같이 그 言語에 江, 山, 해 等이 겹쳐도 韓國語에선 알 수 없기 때문에 語文 規定 에선 겹쳐 적도록 勸奬하고 있습니다.-- L. Lycaon ( 討論 / 寄與 ) 2019年 4月 15日 (月) 09:21 (KST)

칸國 [ 編輯 ]

最近 우즈베키스탄 文書 編輯에서 보시면, 히바, 코칸드, 부하라 이 세 地域에서 있었던 칸國이라는 表現을 韓國으로 고치려는 試圖가 있었습니다. 該當 使用者와 討論해본 結果, 該當 使用者는 우즈벡 地域에서는 칸國에서의 칸이라는 單語가 魂 또는 恨으로 읽히기 때문에 韓國으로 고쳐도 無妨하다고 하십니다만, 率直히 저는 各 地域마다의 言語的 特色을 살리는 것은 韓國語 위키百科에서 志向하는 通用 表記法에 맞지 않다고 思慮됩니다. 그렇기에 여러 使用者들의 意見을 求하고자 합니다. max ( 討論 ) 2019年 4月 22日 (月) 14:50 (KST)

桐튀르키스탄과 그 地域 地名의 表記 [ 編輯 ]

제 생각에 투르판과 투루판은 비슷하게 널리 쓰이지만 車부차얼보다 찹찰이 널리 쓰이며

타림盆地는 위구르族이나 其他 中央아시아界 少數民族의 本고장으로 韓國에서도 ' 카슈가르 ', '打슈쿠르간', 等이 널리 쓰이기 때문에

타림盆地 의 地名은 위구르語 式으로 表記하고 시버族 自治玄은 시버語나 위구르語, 通用表記를 考慮해 찹찰로 表記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아울러 튀르케스彈은 韓國內에서 用例가 不足하며, 韓國에서는 투르키스탄과 튀르키스彈이 널리 쓰이며, 위구르語 로마字도 튀르키스彈을 考慮해 튀르키스彈으로 옮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 意見을 作成한 使用者는 27.176.52.194 ( 討論 )이나, 署名 을 남기지 않아 다른 使用者가 追加하였습니다.

意見 一旦 贊成하는데 천산山脈 以北인 Kokdala는 現在대로 커커多羅로 維持할지도 論議가 必要한 것 같습니다. 카자흐스탄에도 同名의 地名이 있더군요. 위구르語 起源 地名이나 한족이 많고 중가르에 있는 Karamay의 表記도 論議가 될 必要가 있습니다. -- FreeHKWP ( 討論 ) 2020年 3月 2日 (月) 17:30 (KST)
意見 이의 없으시면 타림盆地와 튀르키스彈, 찹찰건에 對한 移動提案은 合意가 있는 것으로 보고 執行합니다 -- FreeHKWP ( 討論 ) 2020年 3月 21日 (土) 11:41 (KST)
意見 7週동안 意見要請을 통해 共同體에 널리 공지됐기에 移動 執行합니다. -- FreeHKWP ( 討論 ) 2020年 4月 13日 (月) 09:41 (KST)
暫時만요.... 意見 要請欄이 닫히지도 않았는데, 혼자서 이렇게 멋대로 進行하실 거면, 意見 要請欄은 왜 달아놓으신 거죠? 自己 혼자서 북 치고 장구 치는 이런 모습, 이걸로 인해 警告를 몇 次例나 받았음에도 똑같은 行動을 反復하시네요. 使用者님은 大體 언제까지 獨斷的인 編輯을 强行하실 豫定이신가요? 이러실거면 意見 要請 달지 마시고, 그냥 移動시키세요. 2020年 4月 14日 (火) 20:3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