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프로젝트討論:基督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프로젝트討論 : 基督敎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지막 意見: 3個月 前 (Sadopaul님) - 主題: 第1次 니케아 公議會 文書에 對해서



韓國敎會史 編輯 參與 要請 [ 編輯 ]

安寧하세요. 韓國敎會史 文書를 만들었는데 많은 분들의 檢討와 編輯 付託드립니다. 좋은 寄與를 많이 보여주시는 @ Jevillage1 , 칼빈500 , 올리브 가지 , Logosblf : 님 핑 드립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4月 25日 (月) 03:35 (KST) 答辯

使徒바울님의 熱情에 讚辭보냅니다. 韓國敎會史는 워낙 內容이 厖大해서 생각나는 대로 資料를 찾아보겠습니다. 大部分의 歷史는 初期, 中期, 後期의 3段階나 前半 後半의 2段階 또는 特定事件別로 나누어 集中探究하는 것도 좋은 方法이라고 생각합니다. 特定 時代別로 어떤 特徵과 人物들의 役割이 密度있게 나타날 수 있고, 그것을 中心으로 細部內容으로 深層分析하는 것도 좋다고 思料됩니다. Jevillage1 ( 討論 ) 2022年 4月 27日 (水) 18:44 (KST) 答辯
Jevillage1님 좋은 意見 感謝드립니다. 말씀대로 時代別로 특별한 事件과 人物을 中心으로 整理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感謝합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4月 27日 (水) 19:42 (KST) 答辯

敎皇 文書들에 '敎皇' 修飾語가 있는 것에 對해 [ 編輯 ]

或是 合意된 바가 있는건가요? 없다면 지우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5月 12日 (木) 18:22 (KST) 答辯

基督敎 關聯 槪念들 標題에 對해 [ 編輯 ]

@ Ghorosu , Ellif : 基督敎 關聯 槪念들의 標題는 위의 提案 以後 제가 全部 共同飜譯 聖書의 名稱으로 옮기고 있었습니다. 그 뒤로 3年동안 異議가 없었으나 오늘 異議가 생겨 더 많은 분들의 意見을 다시 들어보고자 합니다. 다음의 案을 提案합니다.

  • '聖經 속 이름, 用語'는 改新敎와 가톨릭이 合意한 共同飜譯改訂版의 名稱으로 移動한다.
  • '基督敎 外에서도 主要하게 다뤄지는 對象'(이집트, 티레, 네부카드네자르, 블레셋 等)에 對해서는 通用表記를 基本으로 한다.

이 때 通用表記는 가톨릭, 改新敎 中 한 쪽에서만 使用하는 用語일 수도, 아니면 第3의 用語일 수도 있습니다. 勿論 '聖經 속 이름, 用語'와 '基督敎 外에서도 主要하게 다뤄지는 對象'의 區分이 不明確하지만, 이는 個別 事案에 對해 討論으로 決定할 수 있다고 봅니다. 더 나아가 여기서 合意되는 內容은 위키프로젝트:基督敎 文書에 編輯 指針 文段으로 만들어 固定합시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9月 22日 (木) 14:49 (KST) 答辯

@ 칼빈500 , 올리브 가지 , Dmthoth , Logosblf : 이 프로젝트에 參加하시는 분들 中 그나마 活動的이라 생각되는 분들 모두 핑 드립니다. 그동안 意見이 너무 달리지 않아서.. 理解해주시면 感謝하겠습니다.―― 使徒바울 ( ?? ? ?? ) 2022年 9月 22日 (木) 14:51 (KST) 答辯
@ Jevillage1 , Jihoon.k. : 미처 핑 드리지 못한 分 追加하고, 意見 要請 틀 附着합니다. 所重한 意見 남겨주시면 感謝하겠습니다.―― 使徒바울 ( ?? ? ?? ) 2022年 10月 21日 (금) 10:17 (KST) 答辯
一旦 共同飜譯의 合意가 가톨릭이 가톨릭 聖經 으로 나가면서 깨졌다는 地點부터 確認할 必要가 있습니다. 그러나 聖公會 正敎會 가 共同飜譯을 使用하고 있기 때문에 4代 基督敎 敎團 中 2곳이 쓰고 있으므로 한다면 論理가 成立될 可能性은 있겠습니다. 原語表記가 나은 境遇에는 파울루스 처럼 그 쪽을 使用하는 境遇가 낫지 않을까요? 한便 이미 通用表記가 있는 境遇에는 優先視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王 大祝日 / 王이신 그리스도 祝日 / 王國週日 처럼 聖經에 直接的으로 나오지 않은 境遇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自體가 問題가 될 것입니다. - Ellif ( 討論 ) 2022年 9月 22日 (木) 14:58 (KST) 答辯
意見 感謝드립니다. 파울루스의 境遇 原語表記가 더 낫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 判斷基準이 궁금합니다. 바오로/바울의 이름이 壓倒的으로 많이 使用된다고 여겨져 파울루스로 標題語를 定한다면 讀者들이 理解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저 亦是도 以前에 마태오의 福音書 가 '맛타이의 기쁜 消息'으로 옮겨져 있을 때 너무나도 당황스러웠던 記憶이 납니다. 祝日, 前例, 聖職, 成事 처럼 그 名稱이 聖經에 登場하지 않는 境遇는 通用表記를 따르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9月 22日 (木) 15:11 (KST) 答辯
原語 表記를 따른다면, 바울 같은 境遇에는 라틴語 食人 파울루스보다 主로 使用하고 이름의 言語이기도 한 그리스어 파울로스 로 하는 것이 올바를 것입니다. 또 히브리어로 하면 사울 이니, 이를 決定하는 基準이 없다면, 結局에는 큰 混亂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通用表記로 하더라도 通用表記로 쓰이지 않는 名稱이 妥當한 境遇도 있으니, 文書에 따라서 다르게 適用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Oliverius ( συζ?τηση ) 2022年 9月 22日 (木) 17:45 (KST) 答辯
'基督敎 外에서도 主要하게 다뤄지는 對象'이 아니라 하여도 불레셋 처럼 낡은 表記라 改新敎 天主敎 兩쪽 다 다르게 바꿔서 널리 쓰이지 않는 表記를 優待할 理由가 없습니다. 바울로는 바울도 널리 쓰이는걸 考慮하면 낡은건 아니지만 그게 中立的이라 좋다고 斷定할 수 있는지 曖昧하네요. Ghorosu ( 討論 ) 2022年 10月 1日 (土) 12:10 (KST) 答辯
共同飜譯 聖書 表記는 原語 表記랑 對照해서 聖經에 나오지 않는 表記이면 저도 通用表記가 妥當性이 있다고 보고요. 基督敎 外에서도 重要하個 다뤄지는 對象 이른대로 通用表記를 基準으로 한다.로 하겠습니다. -- Benohight214 ( 討論 ) 2022年 10月 21日 (금) 17:52 (KST) 答辯
@ Benohight214 : 意見 感謝드립니다. 聖經 속 人物에 對해서도 通用表記를 使用하자는 말씀으로 理解했습니다. 허나 '通用되는 表記'란 한 個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改新敎와 가톨릭의 表記法을 모두 通用表記로 看做할 수 있어 明確치 않습니다. 一例로 '하느님'은 7百萬回, '하나님'은 18百萬回 登場하여 둘 中 하나가 通用되지 않는다 할 수 없습니다. Benohight214님의 意見은 或是 가장 많이 使用되는 表記를 使用하자는 것이 아닌지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10月 22日 (土) 12:50 (KST) 答辯
가장 많이 使用되는 表記 -- Benohight214 ( 討論 ) 2022年 10月 22日 (土) 20:44 (KST) 答辯
討論:하느님의 나라 (基督敎) 聯關 있어보여 링크 겁니다. 양념派닭 ( 討論 ) 2022年 10月 22日 (土) 00:10 (KST) 答辯
'聖經 속 이름과 用語'를 只今까지 中立的으로 보이는 共同飜譯聖書 의 名稱을 基準으로 한다는 것과 그 範圍가 어디까지인지 定할 必要가 있다는 것에 同意하며, 該當 範圍를 定하는 것은 個別 事案으로 處理하는 것보다는 프로젝트 討論에서 論議하는 것이 더 나을 듯 합니다.
'基督敎 外에서도 主要하게 다뤄지는 對象'에 對하여서는, 通用表記 로 잘 쓰이지 않는 이름이나 用語가 妥當한 境遇도 있으니, 各 文書에 따라서 다르게 適用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Oliverius ( συζ?τηση ) 2022年 10月 22日 (土) 13:05 (KST) 答辯
反論 넣었습니다. - Ellif ( 討論 ) 2022年 11月 14日 (月) 13:49 (KST) 答辯

聖經 以外의 表記도 考慮 對象에 넣어야하지 않을까요? 地名의 境遇에 "요단강", "애굽" 代身에 요르단江 , 이집트 를 쓰듯, 블라셋의 境遇도 "필리스티아" 또는 "필리스티아인"을 標題語로 쓸 수 있습니다. 聖經에만 나오는 人物/指名이야 어쩔 수 없지만, 實際 歷史 上에 쓰이던 人命/指名이라면 基督敎 聖經의 表記가 아닌, 一般的인 外來語 表記法도 考慮 對象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 ChongDae ( 討論 ) 2022年 11月 9日 (水) 15:19 (KST) 答辯

"通用表記"는 聖經 出處나 非聖經 出處로 限定짓지 않습니다만, 該當 境遇는 '블레셋'으로 聖經 表記가 通用表記인 狀況입니다. 非聖經 出處로 限定짓자는 말씀이신가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9日 (水) 16:48 (KST) 答辯
백:外來語의 한글 表記 에 나와있듯 通用表記를 標題語로 設定하는 것이 一般的인 指針이며, 外來語 表記法의 觀點에서 보더라도 히브리어 P?l??t?m의 發音이 필리스티아는 아닙니다. '플리스팀'이나 '펄리스팀'쯤 되겠네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9日 (水) 16:52 (KST) 答辯

@ Ellif , 올리브 가지 , Ghorosu , Benohight214 , ChongDae : 한 달이 넘게 흐른 關係로, 일단락하고자 합니다. 一旦 '共同飜譯聖書의 名稱을 使用하자'는 안은 反對하시는 분이 많으신 듯 합니다. 그렇다면 다른 外來語 表記法과 마찬가지로 通用表記를 基準으로 標題를 設定하는 것이 總意人 것 같은데, 誤解가 있을 수도 있으니 다들 마지막으로 贊成, 反對 程度의 意見이라도 들려주시면 感謝하겠습니다.――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14日 (月) 12:26 (KST) 答辯

贊成 旣存의 總意를 깨고 새로운 總意 形成過程을 始作하는 것에 同意합니다. - Ellif ( 討論 ) 2022年 11月 14日 (月) 13:34 (KST) 答辯
條件附 贊成 通用表記로 잘 쓰이지 않는 이름이나 用語가 妥當한 境遇도 있으니, 各 基督敎 文書에서 다르게 適用하는 것이 낫지 않느냐는 것이 제 意見입니다. 例를 들어 속사도 利子 交付 안티오케이아 이그나티오스 라는 이름의 境遇, 이 떄 그리스어 이름이기에 이그나티오스라 하는 것이 옳고 이 분도 그리스어를 使用했으며, 國語辭典 用例도 이그나티오스 라 使用하는 것을 보면 이냐시오라는 이름 보다는 이 이름이 더 妥當한 것입니다. 卽, '이냐시오'라는 하나의 大衆的 通用表記로 인해 本來 이름이나 그러한 것들이 가려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基準을 나누어 各各 다르게 適用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感謝합니다. -- Oliverius ( συζ?τηση ) 2022年 11月 14日 (月) 16:36 (KST) 答辯
基準을 나누어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면 基準도 提案 付託드립니다. 다만 이그나티오스같은 境遇는 이미 위키百科:外來語의 한글 表記 에 依해 通用表記를 標題語로 하는 것이 指針입니다. 勿論 通用表記 指針은 '가장 많은 것을 標題로 하라'는 原則은 아닙니다. 指針은 政策보다 느슨한 것이어서, 討論:腸 칼뱅#칼뱅->칼빈 移動에 對해 처럼 如前히 여러 通用表記 中 무엇을 標題로 할지 對話할 수 있습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14日 (月) 19:44 (KST) 答辯
몇가지 例示를 생각해 보았는데, "聖經에서 나오지 않는 槪念이나 用語"일 때는 그러한 用語나 槪念을 主張한 敎派의 表記로 最善으로 定하고, 다른 敎派도 같은 槪念을 使用한다면 中立的으로 合意하는 것입니다. "聖經 속에서 나오지 않는 人名이나 地名의 境遇"에는 最大限 그 當時 表記나 原紙音을 따르는 것입니다. 또 "基督敎 外에서도 主要하게 다뤄지는 對象"은 通用表記로 定하되 이러한 것이 不分明할 때는 앞과 마찬가지로 適用하는 것이 어떨까합니다. 勿論 제가 생각한 것은 旣存에서도 使用되었던 것도 있습니다만, 該當 內容을 더 精製하여 編輯 指針 文段으로 固定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적습니다. -- Oliverius ( συζ?τηση ) 2022年 11月 16日 (水) 20:45 (KST) 答辯
넵 올리브 가지님의 意見 들려주셔서 感謝합니다. 저는 첫 番째 例示에는 贊成하고, 두 番째 例示는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旣存의 指針 안에 포용되어야 할 部分이라고 생각하고, 세 番째 例示에는 中立 意見입니다. 或是 두 番째 例示에 對해 더 對話를 願하시면 文段을 따로 파고 저 外의 다른 분들의 意見도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前에 白土:外來語의 한글 表記 의 여러 意見들도 參考해주시면 感謝하겠습니다.
'聖經속 이름, 用語' (例를 들어 마태 vs. 마태오, 바울 vs. 바오로 等)를 어떻게 決定하면 좋을지에 對한 高犬도 들려주시면 感謝하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17日 (木) 00:37 (KST) 答辯
條件 贊成 새 總意 形成 過程 同意 -- Benohight214 ( 討論 ) 2022年 11月 14日 (月) 16:43 (KST) 答辯
@ Ellif , Benohight214 : 總意는 只今 形成中인데 새 總意 形成過程을 始作하는 것에 同意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요. 通用表記를 基準으로 標題를 設定하는 것에 同意한다는 것인가요?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14日 (月) 19:45 (KST) 答辯
네 通用表記를 基準으로 標題를 設定하는 것에 同意합니다. -- Benohight214 ( 討論 ) 2022年 11月 14日 (月) 21:33 (KST) 答辯
遮斷回避者의 意見 削除 處理 -- LR 討論 / 寄與 2022年 12月 16日 (금) 11:30 (KST) 答辯
@ Sadopaul : '共同飜譯聖書의 名稱을 使用하자'는 案을 없었던 것으로 하자는 總意에만 于先 同意한다는 것입니다. 그 以後의 方案에 對해서는 通用表記의 于先數로만 가면 改新敎로 統一化될 可能性이 높아지므로 別途의 論議가 必要하겠습니다. - Ellif ( 討論 ) 2022年 11月 15日 (火) 11:35 (KST) 答辯
넵 一旦 Ellif님은 反對意見으로 알겠습니다. ―― 使徒바울 ( ?? ? ?? ) 2022年 11月 15日 (火) 15:32 (KST) 答辯
아니다. 그냥 贊成으로 가지요. 그게 더 낫겠네요. - Ellif ( 討論 ) 2022年 11月 18日 (금) 18:57 (KST) 答辯

逾越節 文書에 關하여 [ 編輯 ]

安寧하세요. 最近 逾越節 文書에서 討論이 있었습니다. 이 討論 中에서 逾越節 文書가 좀 未洽하고 檢討가 必要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어느 程度 留意할 만한 狀況인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더 나은 檢討와 補充, 그리고 補强을 위해서 基督敎 프로젝트 參加者 여러분들의 도와주심이 必要합니다. 부디 많은 參加者분들의 逾越節 文書에 對한 檢討와 編輯, 그리고 關心을 付託드립니다. 感謝합니다. -- Oliverius ( συζ?τηση ) 2023年 3月 31日 (금) 00:34 (KST) 答辯

提案과 關心 感謝드립니다. 時間나는대로 編輯해 보겠습니다. ― 使徒바울 ( ?? ? ?? ) 2023年 4月 1日 (土) 08:33 (KST) 答辯

分類:敎派別 敎會堂 關聯 [ 編輯 ]

第1次 니케아 公議會 文書에 對해서 [ 編輯 ]

安寧하세요. 最近 들어서 第1次 니케아 公議會 文書의 內容이 크게 貧弱해 보여서 內容을 조금씩 追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혼자만의 힘으로는 2次나 3次 資料를 찾거나 接近하기 어렵기 때문에, 具體的이거나 客觀的인 內容과 또 다른 要點의 內容을 풍부히 著述하지 못하는 難航을 겪고 있는 實情입니다. 여러분께서 아시는 바처럼, 니케아 公議會가 基督敎에서 가장 重要한 會議李祈禱 하고, 初代 敎會에서 重要하게 여겨지는 部分이기 때문에 補充이 切實히 必要합니다. 그래서 이 프로젝트 一圓이신 여러분께서 種種 잦은 關心을 주시고 또한 餘裕가 되신다면, 寄與를 해주시길 付託드립니다.

그리고 갑작스럽게 要請드려서 罪悚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또한 모쪼록 올 한해에도 여러분에게 그분의 祝福이 있길 바라겠습니다. - ελι? ( Συζ?τηση ) 2024年 2月 9日 (금) 14:34 (KST) 答辯

韓國語로 된 2次나 3次 資料를 애써 찾으실 必要 없이 英語 위키百科의 內容을 飜譯하는게 더 便하시지 않을까요? 저는 時間 날 때 짬짬이 돕겠습니다! 좋은 提案 感謝합니다?:) ― 使徒바울 ( ?? ? ?? ) 2024年 2月 13日 (火) 09:25 (KST) 答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