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百科 : 題目의 技術的 限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미디어위키 는 技術的인 理由로 標題語 題目에 여러 가지 制限 이 걸려 있습니다. 例를 들면 알파벳의 小文字로 始作하는 題目이 不可能하거나, 유니코드에 없는 文字는 題目으로 使用할 수 없습니다. 이럴 땐 다른 代案을 題目으로 使用하여야 합니다.

안내 틀 [ 編輯 ]

題目을 實際 標題語와 다르게 使用하는 境遇에는 다음의 틀을 文書의 윗部分에 붙여주세요.

使用할 수 없는 文字 [ 編輯 ]

미디어위키 文法에서 使用하는 다음 文字들과, 制御 文字에 該當하는 U+0000부터 U+001F까지와 U+007F~U+00A0은 文書 題目으로 使用할 수 없습니다.

# (U+0023)  < (U+003C)  > (U+003E)  [ (U+005B)  ] (U+005D)  | (U+007C)  { (U+007B)  } (U+007D)

이 文字가 들어간 題目을 쓰려 하면 ‘잘못된 題目’이라는 誤謬가 發生합니다.

使用에 問題가 있는 文字 [ 編輯 ]

슬래시 [ 編輯 ]

슬래시 (/)는 題目 맨 앞에 올 수 있지만, [[/dev/null]]와 같이 連結을 할 때 맨 첫 글字를 /로 하면 願하는 文書가 아닌 다른 文書(現在 題目이 ‘위키百科’라면, ‘위키百科/dev/null’라는 文書로)로 連結됩니다. 이를 막으려면 슬래시 앞에 雙點 (:)을 붙이거나 첫 글字를 HTML 엔티티 로 써야 합니다. 例를 들어서, [[:/dev/null]], [[&#47;dev/null]] 等은 모두 /dev/null 이라는 文書로 連結됩니다.

맨 처음이 아닌 다른 곳에 나타난 슬래시는 文書 題目으로 쓸 수 있긴 하지만 題目 아래에 願하지 않는 內容(例를 들어 ‘<? 위키百科 ’)이 나타나는 效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韓國語 위키百科에서는 一般文書에 適用되지 않습니다.) 이는 文書가 部文書로 處理되기 때문이며, 題目 아래에 나타나는 內容 빼고는 다른 影響을 미치지 않습니다.

URL에서 使用하는 文字 [ 編輯 ]

물음標 (?)를 題目에 쓸 때는 注意가 必要합니다. 이들 文字는 [[…]] 안에 쓰면 願하는 文書로 連結되지만, 外部에서 위키百科로 들어 오는 住所를 쓸 때는 URL 에서 別途의 處理를 하기 때문에 그대로 쓸 수 없으며, %3F를 代身 使用해야 합니다. 例를 들어 ? 로 링크하려면 http://ko.wikipedia.org/wiki/%3F 를 써야 합니다. ( http://ko.wikipedia.org/wiki/? 라고 쓰면 위키百科:大門 으로 移動합니다)

空白 文字와 밑줄 [ 編輯 ]

空白과 밑줄 文字(_)는 똑같은 文字로 取扱됩니다. URL 에서 使用되는 밑줄 文字는 로마字圈에서 空白을 包含한 文書 題目을 좀 더 읽기 쉽게 하려고 使用됩니다. 맨 앞이나 맨 뒤에 붙는 空白과 밑줄 文字는 모두 지워지고, 中間에 둘 以上의 空白이나 밑줄 文字가 連續된 것은 모두 하나의 밑줄 文字로 합쳐지며, 空白이나 밑줄 文字만으로 이루어진 題目은 使用할 수 없습니다.

題目에 밑줄 文字가 들어 있으면 time_t 와 같이 그냥 쓰거나, Shift-JIS 와 같이 밑줄을 包含하지 않은 다른 標題語를 쓰는 方法이 있습니다.

온點 [ 編輯 ]

‘.’나 ‘..’라는 題目과, ‘./’나 ‘../’로 始作하는 題目은 使用할 수 없습니다. 이런 題目은 部文書를 링크하는 데 쓰이기 때문입니다.

百分率 記號 [ 編輯 ]

미디어위키의 위키 文法에서는 URL과 마찬가지로 百分率 記號(%) 뒤에 두 자리의 16眞數 人 0, 1, 2, 3, 4, 5, 6, 7, 8, 9, 0, A, B, C, D, E, F가 붙으면 한 글字로 解釋합니다. 卽 %25 % 와 똑같은 文書를 가리킵니다. ‘%25’와 같이 이런 式으로 解釋되는 글字들이 들어 있는 題目은 使用할 수 없습니다. 例를 들어서 [[%2542]]는 '%42'라는 페이지로 連結되어야 하지만 實際로는 全혀 連結되지 않습니다. 萬若 이런 글字들을 使用해야 한다면 %와 똑같이 보이는, 例를 들어서 殿閣 文字 %(U+FF05)를 使用할 수 있지만, 옛 웹 브라우저들에서 問題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XX’와 같이 百分率 畿湖 뒤에 두 자리의 16진수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別途의 處理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豫想한 대로 動作합니다.

雙點 [ 編輯 ]

맨 처음에 위키百科의 이름空間 이나 인터위키 와, 그 뒤에 雙點(:)李 붙은 題目은 該當하는 이름空間이나 目的地 위키의 題目으로 解釋됩니다. 例를 들어서 《V: The New Mythology Suite》라는 音盤은 V: 가 위키배움터를 目的地로 갖는 인터위키이기 때문에 雙點 代身 하이픈을 使用한 V ? The New Mythology Suite 라는 題目으로 文書가 作成되었습니다. 또한, 雙點으로 始作하는 題目은 위키 文法에서 특수한 用途로 使用되기 때문에 使用할 수 없습니다.

물결標 [ 編輯 ]

물결標 (~) 를 使用할 때 한 개 (~) 또는 두 個 (~~)만 使用하는 것은 ~ , ~~ 와 같이 링크되지만, 물결標를 세 個 以上 連續으로는 使用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 ~~~~, ~~~~~는 各各 署名, 署名과 時間, 時間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와 같은 것은 링크되지 않습니다.

유니코드 關聯 [ 編輯 ]

미디어위키는 유니코드 를 基本으로 使用하기 때문에 유니코드의 制限을 그대로 갖고 있습니다.

위 添字와 아래 添字 [ 編輯 ]

現在는 <sup> 같은 태그를 써서 위 添字나 아래 添字를 直接 題目으로 使用하는 方法이 없습니다. 따라서 普通은 T E X 와 같이 連結 텍스트에서만 태그로 위 添字나 아래 添字를 指定하는 方法을 使用합니다. 小行星 이름과 같이 添字가 頻繁하게 登場하는 境遇 {{ mpl }}과 같은 別途의 틀을 링크에 使用하는 境遇가 많습니다. (예: 2003 UB 313 )

유니코드 에서 支援하는 위 添字와 아래 添字 文字를 使用할 수도 있으나 이는 運營體制와 設置된 글꼴에 따라서 모든 브라우저에서 動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니코드에서 支援하는 文字들도 그렇게 많은 건 아닙니다. (例를 들어서 를 이런 式으로 標示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ISO 8859-1 인코딩에도 있는 ¹, ², ³은 큰 問題 없이 使用할 수 있습니다. (예: E=mc² )

유니코드에 없는 글字 [ 編輯 ]

미디어위키에서는 유니코드로 表現되지 않는 標題語를 題目으로 使用할 수 없습니다. 이 境遇에는 {{ 正確한 題目 }} 代身 {{ 正確한 題目/유니코드 }}를 使用해 주세요.

發音 區別 記號 [ 編輯 ]

發音 區別 記號 를 標題語로 쓸 때는 한 글字로 합쳐진 形態를 써야 합니다. 發音 區別 기호만 別途의 文字로 떨어져 있는 文字(combining mark)는 現在 몇몇 브라우저에서 제대로 出力할 수 없어서 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어떤 言語에서 文字로 쓰고 있으나 유니코드에 이 文字가 없는 境遇, 發音 區別 기호만 別途로 떨어져 있는 文字를 題目에는 쓰고 {{ 잘못된 題目 }}을 쓰시기 바랍니다. (예: G? )

옛한글 [ 編輯 ]

現在 미디어위키는 標題語를 貯藏할 때 유니코드 定規化 形態 KC(NFKC)를 使用하고 있습니다. 이 方法은 옛한글 을 貯藏할 때 多少 問題가 될 수 있는데, 例를 들어 한글 字母 領域 文字로 表記한 ㄷㅠㅇ은 NFKC에 따라 ‘듀+ㅇ’으로 變換됩니다. (한글 互換 字母 文字로 表記한 ㄷㅠㆁ은 듀ㆁ으로 변환되지 않습니다.) {{ 첫街끝 }} 틀에서는 여러 個의 文字列을 붙일 수 있는 機能을 통해 이 問題를 解決하고 있고, WORD JOINER 文字(U+2060, &#8288;)를 使用해 組合을 막는 方法도 있습니다.

現實的으로 옛한글을 보려면 普通 別途의 글꼴이 必要하기도 하므로, 옛한글을 包含한 標題語는 (한글 字母 領域이든 漢陽 使用者 領域이든)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題目의 길이 [ 編輯 ]

題目의 길이는 UTF-8 로 符號化했을 때 256바이트거나 그 以下여야 합니다. 이는 한글만 썼을 때는 85글字, 어떠한 유니코드 文字라도 쓸 수 있다면 64~256글字에 該當합니다. (英語에서 쓰이는 26個의 로마字만 썼을 때는 256글字입니다.)

設定으로 바꿀 수 있는 制限 [ 編輯 ]

다음 制限들은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韓國語 위키百科의 設定 때문에 만들어진 것들입니다. 미디어위키를 쓰는 다른 사이트에서는 이 制限이 바뀌거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첫 글字가 小文字日 때 [ 編輯 ]

韓國語 위키百科에서는 첫 글字를 小文字로 始作할 수 없으며, 小文字로 始作하는 題目은 自動으로 大文字로 바뀝니다. 이는 로마字 卷· 키릴 文字 卷· 그리스 文字 卷에서 文書 題目이 文章의 맨 처음에 올 境遇와 그렇지 않을 때에 따라서 첫 글字가 小文字이냐 大文字이냐가 決定되기 때문에 이로 말미암은 模糊함을 없애고자 만들어진 것입니다. 例를 들어 time_t 라는 題目의 文書는 Time t 에 있습니다. 參考로 文書 標題語를 小文字로 標示하고 싶을 때에는 {{ 小文字 }}를 利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