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百科:外來語 表記法/튀르키예어 시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百科 : 外來語 表記法/튀르키예어 시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다음은 國立國語院이 試案으로 만든 튀르키예어 表記法 으로, 아직 公式的으로 確定되지는 않았습니다

票 21: 튀르키예어 字母와 한글 對照表(시안) [1] [ 編輯 ]

姿貌 한글 보기
母音 앞 子音 앞
· 語末
子音 b 브, (ㅂ)* Bodrum 보드룸, Trabzon 트라브존, murabba 무랍바
c 즈, (ㅅ) Cep 젭, Necdet 네즈데트, seccade 셋자데
c [2] 츠, (ㅅ) Corum 超룸, Koc 코츠, pabuccu 派붓秋
d 드, (ㅅ) Denizli 데니즐리, Adnan 아드난, madde 맛데
f 프, (ㅂ) foto?raf 포토으라프, kofte 쾨프테, Afyon 아프욘, teneffus 테넵퓌스
g Gelibolu 겔리볼루, Bingol 빈괼, grafik 그라피크
? [3] ? Esenbo?a 에센보아, A?rı 아으르, Elazı? 엘라즈으
h Haran 하란, teehhur 테에휘르, sahra 社흐라, Kutahya 퀴他흐野, sabah 사바흐
j Japon 者폰, mujde 뮈즈데, garaj 街라즈
k 크, (ㄱ) Kore 코레, Antakya 안타크야, Turk 튀르크, Aksaray 樂士라이, Canakkale 車樂칼레
l ㄹ, ㄹㄹ Lira 리라, gerilla 게릴라, sandalye 山獺예, Camal 자말
m Marmara 마르마라, emmek 엠메크, yemye?il 옘豫실, Erzurum 에르주룸
n Nazilli 나질리, Tefennni 테펜니, Konya 콘야, Nisan 니산
p 프, (ㅂ) Pendik 펜디크, Uzunkopru 우준쾨프뤼, yepyeni 예프예니, Sinop 侍奴프, ?psala 입살라, zuppe 쥡페
r Rumeli 壘멜리, Turk 튀르크, Sakarya 社카르野, Burdur 부르두르, zurriyet 쥐리예트
s 스, (ㅅ) Sivas 시와스, ?stanbul 이스탄불, Amasya 亞마스야, Kars 카르스, mufassal 무팟살
? [4] 時** ?ura 슈라, ?i?man 時쉬만, ta?ya?ı 打쉬야으, Mu? 무쉬, Kar?ıyaka 카르시으冶카
t 트, (ㅅ) Tarsus 타르수스, Trabzon 트라브존, Malatya 말라트野, Ecevit 에制위트, mutfak 뭇파크, Necmettin 네즈멧틴
v 禹**, ㅂ 브, (ㅂ) Van 완, Siverek 시웨레크, Artvin 아르트빈, Evren 에브렌, Simav 時마브, kuvve 쿱베
z 즈, (ㅅ) Zonguldak 존굴다크, tazyik 打즈이크, Banaz 바나즈, lezzet 렛제트
半母音 y 이** Asya 아스野, Yozgat 요즈가트, Afyon 아프욘, Konya 콘야, Yılmaz 이을마즈
母音 a Adana 아다나, bozcaada 보즈自我다
e Ecevit 에制위트, teehhur 테에휘르
ı Irak 으라크 [5] , Cankırı 贊크르, I?ıklı 으시으클르, Yılmaz 이을마즈
i ?stanbul 이스탄불, Denizli 데니즐리, Siirt 시이르트
o Osman 오스만, Toperi 土페리
o Oren 外렌, Bingol 빈괼
u Urfa 우르파, Ordu 오르두
u Uskudar 위스퀴다르, Uzumlu 위쥠뤼

* ( )는 表記 細則 第1項을 따라 적는다.
** ?, v, y의 '詩, 우, 이'는 뒤따르는 母音과 結合할 때 합쳐서 1音節로 적는다.

第23節: 튀르키예語의 表記(시안) [6] [ 編輯 ]

票 21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特徵을 살려서 적는다.

  • 第1項: 같은 子音이 겹치는 境遇에 첫 子音은 앞 音節의 받침으로 적는다. 다만, hh, ll, rr는 겹치지 않는 境遇와 같이 적는다.
<보기> Canakkale 車樂칼레 huccet 휫제트
lezzet 렛제트 Necmettin 네즈멧틴
cerrah 第라흐 Ciller 칠레르
  • 第2項: p, t, k
語末과 유성 子音 앞, 半母音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無聲 子音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보기> Gaziantep 가지案테프 Pamuk 파무크
Patnos 파트노스 Uzunkopru 우준쾨프뤼
Akyazı 아크야즈 Malatya 말라트野
Topkapı 톱카프 Datca 닷車
  • 第3項: v
1) 母音 앞에서는 '郵'로 적되 뒤따르는 母音과 合쳐 '와, 웨, 位' 等으로 적고, 뒤따르는 母音이 ı裏面 합쳐 적지 아니한다. 다만, 앞에 子音이 있을 때에는 'ㅂ'으로 적는다.
<보기> Siverek 시웨레크 Ecevit 에制위트
Van 완 vıcık 우으즈크
Tatvan 타트半 A?va 아으바
2) 語末과 子音 앞, 半母音 앞에서는 '브'로 적되, -vv-의 境遇는 表記 細則 第1項을 따른다.
<보기> Simav 時마브 Nev?ehir 네브셰히르
havyar 하브야르 tasavvyr 打삽부르
  • 第4項: l
語末과 子音 앞, 半母音 앞에서는 받침 'ㄹ'로 적고, 어중에서 母音 앞에 올 때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母音 앞에서 'ㄹ'로 적는다.
<보기> Demirel 데미렐 Dolmabahce 돌마바흐體
Antalya 안頉野 Ocalan 외잘란 [7]
Bitlis 비틀리스 Erdemli 에르뎀리
  • 第5項: ?ı, yı
?ı는 '視으'로 적고, yı는 '이으'로 적는다.
<보기> I?ıklı 으시으클르 Kıyıkoy 크이으쾨이

各州 [ 編輯 ]

  1. '改訂版 바른 말글 事前'(한겨레出版, 2007, ISBN  9788984312388 ), 829~830쪽
  2. 元本(冊)에는 c로 잘못 나와 있음.
  3. 原本에는 g로 잘못 나와 있음.
  4. 原本에는 s로 잘못 나와 있음.
  5. 原本에는 '아르크'로 잘못 나와 있음.
  6. 같은 冊, 856~857쪽
  7. 原本에는 '와잘란'으로 잘못 나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