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水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가르校 : 프랑스 님 (都市) (Nimes) 南部에 있는 古代 로마의 水道橋 .

用水로 (用水路; 文化語 : 댈물길)는 灌漑 나 수도, 工業用 等을 위해 물을 끌어들일 目的으로 만들어진 水路 이다.

農業(灌漑), 工業, 수도(음료·생활·소방), 水車 發電機 의 動力 等, 主로 人間의 經濟活動에 利用하기 위한 물을 用水 (用水)로 부르고 이 用水를 江 等의 水源으로부터 먼 場所로부터 끌어오기 위해 人工的으로 만들어진 水路가 用水路이다.

오직 運送用으로 使用되는 水路는 運河 로 불리고 排水가 目的인 數로는 放水路 로 불리며 이것들은 通商 用水路에 包含하지 않는다.

다만 以前에는 위에 說明한 目的의 水路였지만 時代의 흐름과 함께 流域 住民의 生活 變化에 依해 用途의 變更이나 役割을 다한 것이 存在한다. 또 用水路로서의 役割을 代身해 現在는 流域 住民의 休息의 場所로서 기능하고 있는 境遇도 있어 水路의 이름은 個別 事情과 歷史的 經緯에 依해 決定된다.

콘크리트 의 實用化와 土木 技術의 進展에 依해 堤防 이나 , 의 建設이 잇따르면서 旣存의 用水路度 콘크리트 湖岸火가 進行되는 等 치數와 修理를 겸한 各種의 個數가 進行되고 있다.

農業 用水로 [ 編輯 ]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의 風車
壓力 導水路에 依한 用水로

古代의 灌漑 農業에서는 主로 河川의 洪水를 利用했었지만 紀元前 30世紀 무렵의 메소포타미아 文明 에서는 티그리스江 · 유프라테스江 에서 물을 끌어와 灌漑 農業을 했다고 하며 그것을 위한 用水路가 築造되었을 것으로 推定되고 있다. 또 이 用水路는 生活 用水의 供給과 치數를 爲한 防水로도 겸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럽 中東 의 平野에서는 地形으로부터 自然的으로 물을 끌어들여 灌漑하기가 어렵거나 물이 고이기 쉬운 地域이 있다. 例를 들어 시리아 河馬 의 周邊을 흐르는 오론테스江 은 數量이 많고 흐름이 빠르지만 江바닥이 낮기 때문에 물을 끌어오기 어려워 數次 等의 動力을 利用해 用水路까지 물을 퍼 올린 後 農業·生活 用水를 끌어왔다. 反對로 世界遺産 에 登錄되어 있는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 마을의 風車群 등처럼 河川보다 土地가 낮아 물이 고이기 쉬운 地域에 用水로 兼 排水路를 돌아 다니게 해 물이 不足할 때는 江에서 用水路에서 물을 求하고 反對로 물이 넘치게 되었을 때는 風車로 퍼올려 排水하는 것으로 한 때의 濕地였던 곳을 牧草地와 花卉 栽培 等에 利用하고 있는 地域도 있다.

北아메리카 · 南아메리카 等에 最近에 많이 만들어지는 플랜테이션 에서는 사이펀의 原理를 利用한 方法과 壓力 導水路(棺) 및 스프링클러 를 利用해 撒水시키는 方法 等이 많이 利用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