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王의 歸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王의 歸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王의 歸還 》( The Return of the King )은 英國 의 作家 존 로널드 루엘 톨킨 이 쓴 하이 판타지 人 《 半指의 帝王 》 三部作 中 第3卷이다. 相當한 量의 附錄을 包含하고 있다.

씨앗을 뿌리는 사람 에서 나온 韓國語 飜譯書에서는 5·6·7卷에 該當한다.

題目 [ 編輯 ]

톨킨은 元來 '半指의 帝王'( The Lord of the Rings )이라는 題目으로 된 한 卷짜리 冊에 여섯 '卷'과 附錄을 包含한 모든 內容을 담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半指의 帝王을 出版한 원 出版社에서 冊을 세 卷으로 나누면서 第5·6卷에 '王의 歸還'( The Return of the King )이라는 題目을 붙였다. 톨킨은 이 題目이 줄거리를 너무 많이 드러낸다고 생각하면서 '半指 戰爭'( The War of the Ring )을 題目으로 하자고 하였다. [1] 톨킨은 元來 제5권의 題目을 半指 戰爭, 第6卷의 題目을 '第3時代의 終末'( The End of the Third Age )로 할 計劃이었다 [2] .

그러나 結局 半指의 帝王 第3卷은 王의 歸還이라는 題目으로 1955年 10月 20日 에 出版되었다.

줄거리 [ 編輯 ]

第5卷 [ 編輯 ]

第6卷 [ 編輯 ]

構成 [ 編輯 ]

'王의 歸還'의 構成은 前半部에서는 여러 登場人物의 冒險과 大規模 戰鬪를 그리고 後半部에서는 프로도 一行의 旅程을 그린다는 點에서 '두 個의 塔'의 構成과 恰似하다.

  • 第5卷( Book V )
  • 第6卷( Book VI )
  • 解說( Appendices )
A 王과 統治者들의 年代記 ( Annals of the Kings and Rulers )
I 누메노르의 王들 ( The Numenorean Kings )
(i) 누메노르 ( Numenor )
(ii) The Realms in Exile
{iii) Eriador, Arnor, and the Heirs of Isildur
(iv) Gondor and the Heirs of Anarion
(v) Here follows a part of the tale of Aragorn and Arwen
II 에오를 王家 ( The House of Eorl )
III 두린 一族 ( Durin's Folk )
B 年代記 ( The Tale of Years )
西部의 年表 ( Chronology of the Westlands )
C 家計도 ( Family Trees ) (호빗( Hobbits ))
D 冊曆 ( Calendars )
샤이어力 ( Shire Calendar )
E 글쓰기와 綴字 ( Writing and Spelling )
I 單語와 이름의 發音 ( Pronunciation of Words and Names )
II 文字 記錄 ( Writing )
F
I 第3時代의 言語와 種族 ( The Languages and Peoples of the Third Age )
II 飜譯에 關하여 ( On Translation )
  • 찾아보기 ( Indices )
I 노래와 시들 ( Songs and Verses )
II 人物, 動物, 怪物 ( Persons, Beasts and Monsters )
III 指名, 場所 ( Places )
IV 事件, 事物, 其他 名稱 ( Things )

各州 [ 編輯 ]

  1. Carpenter, Humphrey, ed. (1981),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Boston: Houghton Mifflin, no. 140, ISBN   0-395-31555-7
  2. Carpenter, Humphrey, ed. (1981),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Boston: Houghton Mifflin, no. 136, ISBN   0-395-31555-7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