往五天竺國傳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往五天竺國傳 》(往五天竺國傳)은 新羅 성덕大王 때, 新羅의 僧侶 慧超 가 印度 5國(五國) 附近의 여러 나라를 巡禮하고 그 行跡을 적은 旅行記이다. 慧超는 723年 부터 727年 까지 4年間 印度 中央아시아 , 아랍 을 旅行하였다. 往五天竺國傳은 世界 4代 旅行記로 손꼽히며, 그 中에서도 가장 오래된 旅行記이다.

開設 [ 編輯 ]

8世紀 初에 씌여진 이 《往五天竺國傳》은 世界 4代 旅行記로도 손꼽히며 또한 그 中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이기도 하다. 世界 4代 旅行記는 慧超의 《往五天竺國傳》과 13世紀 後半에 쓰여진 마르코 폴로 의 《 東方見聞錄 》, 14世紀 初盤의 誤道릭 의 《동유기》 그리고 14世紀 中盤의 《 이븐 바투타 旅行記 》를 손꼽는데, 慧超의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1908年 프랑스人 폴 펠리오 (Paul Pelliot, 1878~1945)가 간쑤省 둔황 莫高窟 장경동에서 當時 장경동을 지키던 王位안루 (王원록)에게서 購買한 7,000點의 遺物 中에 섞여 있었으며, 現在 프랑스 國立圖書館 에 保管되어 있다. 처음에는 唐나라 高僧 現場 以外의 唐나라 僧侶로 여겨지다가 當時의 日本 서본원社 의 僧侶이자 敦煌學者인 오타니 고즈이 가 新羅僧 慧超의 것임을 밝혀내었다.

現在는 한 卷의 두루마리로 된 筆寫本만이 남아 있는데, 冊名도 저자명도 떨어져 나가 남아 있지 않으며 여러 글字가 缺落되었다. 그러나 여러 佛敎 書籍 에 註釋을 단 《一切經音義》에 “慧超往五天竺國傳”이라는 題目 아래 여러 語彙가 說明되어 있는데, 이들 語彙와 順序가 殘本과 大體로 一致하는 바 이것이 慧超의 往五天竺國傳임을 알 수 있다.

著述 時期에 對해서는 本文에 開元十五年十一月上旬 至安西, 卽 “開院 15年 (陰曆) 11月 上旬에 岸曙에 이르렀다”라고 하였다. 開院 黨 顯宗 의 年號로 開院 15年은 곧 727年 이다.

旅行 經路 [ 編輯 ]

新羅 에서 바닷길로 印度 에 다다랐다. 社大領塔(四大靈塔) 等의 모든 性的(聖蹟)을 巡禮하고 五天竺國(五天竺國)의 各地를 두루 다녔다.

引渡의 弊司理局(吠舍釐國, 바이샬리 ), 區市拿鞠(拘尸那國, 쿠시羅가르 ), 爬羅닐사국(波羅?斯國, 爬羅날사국, 바라나시 ), 魔게他國 (摩揭?國), 중천축國 갈羅級者(中天竺國葛那及, 카나굽자), 중천축 事大塔(中天竺四大塔), 南天竺國(南天竺國), 西天竺國(西天竺國), 도란달라國(?蘭達羅國, 사란달라國, 잘란다라), 소발나구달라국(蘇跋那具?羅國), 托事國(鐸社國, 濁샤르), 신두고라國(新頭故羅國, 신드구르지나), 迦葉미라國(迦葉彌羅國, 카슈미르 )

그 뒤에 길을 돌려 여러 곳을 다닌 뒤 大食國 (니샤푸르)에 到着하여 東쪽으로 向했다.

대발率局(大勃律國), 양동국(楊同國), 사파自國(娑播慈國), 토번국 (吐蕃國, 티베트), 소발率局(小勃律國), 件타라國(建馱羅國, 간다라), 오장국(烏長國), 球威國(拘衛國), 람破局(覽波國, 남破局, 람파카), 界貧國(?賓國, 카피視), 四律國(謝?國), 犯人國(犯引國, 바미안), 토화라國(吐火羅國, 土카리스彈 (발흐)), 破邪國 (波斯國, 파샤), 大食國 (大食國, 니샤푸르), 臺불림國 (大拂臨國( 비잔틴제국 )

大食國 東쪽에 여러 나라들이 있었다.

護國 (胡國), 安國 (安國), 曺國 (曹國), 사국 (史國), 席라國(石?國), 美國 (米國), 强國 (康國) 等}, 발하나國(跋賀那國), 蓇葖國(骨?國, 骨脫국), 突厥 (突厥), 胡밀國(胡蜜國), 式닉國(識匿國).

唐나라 總領陣에 到着하여 周邊을 돌아다니다 둔황 에 들렀다가 長安 (長安)에 到着한다. 그 中間에 여러 곳을 다녔으며, 그 가운데 소륵 , 우전 , 언기, 九字 는 唐나라의 안서 4郡이다.

總領眞(?嶺?), 소륵國 (疏勒國, 카슈가르 ), 구자국 (龜?國, 쿠차 ), 우전국(于?國, 허톈 (和?, 호탄 )), 안서 (安西, 안서都護府 ), 언기國(焉耆國, 옌치(焉耆)), 둔황 , 長安 .

이 經路에 나타난 現代 地名은 絶對的이지 않고, 學者에 따라 意見이 달라지기도 한다.

評價 [ 編輯 ]

當時 中國과 印度와의 旅路(旅路) 및 交易路를 아는 데 重要한 資料이다. 慧超 以前에 西域을 訪問하던 僧侶들은 해로만을 使用하거나 陸路만을 利用했던 데 反해 慧超는 갈 때는 해로, 돌아올 땐 陸路를 利用하여 當時의 旅路를 모두 담고 있다. 또한 往五天竺國傳은 8世紀의 印度, 中央아시아를 記錄한 現在까지 唯一한 四書라는 點에서도 價値가 크다. 佛敎的 側面에선 佛敎의 8代 聖地를 모두 記錄하였다는 點에서 意義를 가진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