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우치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오우치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오우치 氏 에서 넘어옴)

오우치氏
오우치 마름모(大内菱)
오우치 마름모(大?菱)
漢字 大?氏
가나 おおうちし
本性 (本姓) 다타라氏
佳兆(家祖) 多타라 마사쓰네
種別(種別) 무가
出身地 스誤國
根據地 扶餘郡
出身 著名人物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마사히로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 요시타카
支流·分家 야마구치氏
와시즈氏
凡例 - 分類:日本의 氏族

오우치氏 ( 日本語 : 大?氏 오우치視 [ * ] )는 日本 의 氏族 中 하나이다. 本性은 다타라氏 (多?良氏), 街바네 高니키詩 [1] 이다. 中世 日本의 臺領主이며 센고쿠 時代 以後에도 傍系 後孫들이 近世 日本 幕府의 榮州 貴族 집안으로 살아남았다. 백제 王朝 백제 聖王의 後孫이다.

스誤國 의 實務 脂肪 官僚 에서 出世하여 슈고 다이묘 되었고 以後 센고쿠 다이묘 가 되어 큰 勢力을 維持했고, 韓半島 와의 貿易 및 交流를 통해 難보쿠初 時代 센고쿠 時代 의 相當 期間 동안 全盛期를 謳歌했다. 스誤國 , 나가토國 , 이와미국 , 不젠國 , 지쿠젠국 슈고 職에 補任되는 等 全盛期에는 6個 拘泥 를 永有하였다.

歷史 [ 編輯 ]

家門 由來 [ 編輯 ]

日本人들은 所謂 겐페이토키쓰 (源平藤橘, 日本 4代 大成인 겐지 · 헤이시 · 후지와라氏 · 다치바나氏 後孫의 總稱) 또는 그 外의 中央 貴族의 後孫을 自處하는 境遇가 많지만, 오우치 氏는 百濟 聖明王 或은 위덕왕 [2] 의 셋째 아들인 임성태子(琳聖太子) 를 始祖로 主張한다 [3] .

그들의 主張에 따르면, 日本으로 건너간 임성태自家 스誤國 의 多타라하마(多?良浜) 바닷가에 到着하였으므로 스스로의 性을 多타라 (多多良)라 하였다가 後날 오우치(大內) 마을에 居住하게 되면서 오우치氏 라고 稱하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임성태者의 記錄은 統一 新羅 以後 現在까지의 韓國 史料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오우치 氏가 임성태者의 後裔임을 自處한 最高 文獻도 14世紀 以後의 것이다 [4] . 代代로 스誤 에서 스오노곤노스케 (周防權介)를 世襲했던 再請官印 집안이라는 것 外에는 確實한 根本을 알기는 어려운 實情이다.

헤이안 時代 에서 가마쿠라 時代 까지 [ 編輯 ]

헤이안 時代 後期인 닌페이 2年( 1152年 )에 發給된 再請下問(在廳下文)에 다타라氏 姓을 가진 세 사람의 署名이 적혀 있다. 이것이 다타라氏가 登場하는 가장 오래된 記錄인데, 이 무렵에 접어들어 再請官印으로서 큰 勢力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헤이안 末期의 오우치氏의 堂主로 스奧義 豪族 가운데 가장 强力한 勢力을 가지고 있던 多타라 모리後嗣(多多良盛房)가 스오노곤노스케에 任命된 以後, 오우치노스케 (大內介)라는 이름을 쓰며 自身의 後孫인 歷代 堂主들에게 이 이름을 물려주었다. 가마쿠라 時代 에 오우치 一族은 스奧義 고쿠가(國衙 -地方官衙 )를 完全히 掌握하여 實質的인 스吳의 支配者가 되었을 뿐 아니라, 幕府의 고케닌 (御家人)으로서 로쿠하라 單다이 (六波羅探題) [5] 孝鳥슈 (評定衆)에 任命되기도 했다.

難보쿠初 時代 [ 編輯 ]

南北朝 時代 에 들어 堂主 오우치 히로유키 (大?弘幸)와 叔父 瓦市즈 나가히로 (鷲頭長弘) 사이에 家督(家督) 자리를 둘러싼 싸움이 일어났고, 히로유키의 아들인 히로요(弘世)가 와시즈氏 집안을 종속시키고 나가토國 (長門?)의 슈고 高토씨(厚東氏) 집안과 抗爭, 쇼헤이 13年/ 엔分 3年( 1358年 )에는 그 據點 시모후리性 (霜降城)을 攻略하여 高토씨 규슈 로 내쫓아 버림으로서, 오우치 氏의 勢力은 스오와 나가토, 2個 拘泥로 擴大된다. 히로要는 本據地를 야마구치(山口) 로 옮기고 쇼헤이 18年/ 조지 2年( 1363年 ) 북조(北朝)인 무로마치 幕府 에 申復했다.

히로遼의 뒤를 이은 嫡男(嫡男) 오우치 요시히로 (大?義弘)는 규슈 單다이 (九州探題) [5] 이마가와 社다요(今川貞世) 의 규슈 制壓에 從軍하고, 南朝(南朝)와의 統合 交涉도 맡아 겐秋 8年/ 메이土쿠 2年( 1391年 )에는 야마나氏 (山名氏)가 일으킨 메이土쿠의 欄에서도 活躍하였다. 그 結果 이즈미 · 기이 · 스誤 · 나가토 · 不젠 · 이와미 의 6個 拘泥를 다스리는 슈고 다이묘 (守護大名)로서 朝鮮 過度 獨自的인 貿易을 行하는 等(《 朝鮮王朝實錄 》에 記錄된 通交記事만 150年間 에 걸쳐 200回가 넘을 程度), 오우치 氏 집안의 最全盛期를 構築하였다. 그러나 요시히로의 勢力을 두려워한 3代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 의 挑發로 요시히로는 가마쿠라 驅步 (鎌倉公方) 아시카가 미쓰카네 (足利?兼)와 公募해 오에이 6年( 1399年 )에 사카이 (堺)에서 擧兵했다가 敗하고 戰死한다( 오에이의 난 ).

요시히로 事後 領地 大部分이 요시미쓰의 차지가 되고, 스誤·나가토 2個 拘泥의 슈고는 요시히로의 男동생 오우치 히로시게 (大?弘茂)에게 넘겨져 오우치 집안의 勢力은 一時 衰退했다. 그러나 오에이의 亂에서 領地에 남아 있던 요시히로의 또 한 名의 동생· 오우치 모리美 (大內盛見)가 이 決定에 反抗하여 다시 家督 자리를 둘러싼 抗爭이 일어났고, 히로시게는 모리美에게 살해당한다. 幕府의 命을 받고 있던 周邊의 高쿠진(國人)들도 모리美에 降伏하면서 幕府는 모리美의 家督 繼承을 認定해야만 했다.

무로마치 時代에서 센고쿠 時代까지 [ 編輯 ]

오우치 文化를 代表하는 建築物의 하나인 琉璃狂社(瑠璃光寺) 五重塔(五重塔).

堂主가 된 모리미는 요시히로 時節의 英華를 되찾고자 기타큐슈(北九州) 方面으로 進出했다. 료슌의 後任으로 규슈 單다이 [5] 가 된 媤父카와 氏(?川氏)를 代身해 기타큐슈를 맡아, 幕府의 信任을 얻어 不젠의 슈고에도 任命되지만, 에이쿄(永享) 3年( 1431年 )에 쇼니 미쓰社다(少貳?貞)·오토모 모치나오(大友持直)와의 싸움에서 敗하여 戰死했다. 그러나 뒤를 이은 조카 오우치 모치요(大?持世, 요시히로의 遺腹子)는 모리美에 匹敵하는 人物로서 6代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의 信任을 받아 지쿠젠의 슈고에 任命되어 쇼니氏·오토某氏를 征伐하는 等, 오우치 氏의 기타큐슈에서의 優位를 確立했다(또한 이 무렵부터 야마구치 氏의 系統이 分派하였다). 모치要는 街키쓰(嘉吉) 元年( 1441年 )에 일어난 戰亂(街키쓰의 난)에 말려들어 非命橫死했지만, 四寸동생이자 그의 養子였던 오우치 노리히로(大內敎弘, 모리美의 아들)이 그 勢力을 이어받았다. 노리히로의 아들인 마사히로(政弘)는 오닌(應仁) 元年( 1467年 )에 일어난 오닌의 난 에서는 徐君(西軍)의 야마나 小젠(山名宗全) 에 屬하여 勇猛을 떨쳤고, 亂이 終結된 뒤 규슈에서의 再起를 꾀하여 擧兵을 일으킨 쇼니氏와 오토某氏 두 집안을 다시 굴복시킨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幕府에도 影響을 미치는 슈고 다이묘로서의 地位도 그대로 保全하였다.

센고쿠 時代 , 마사히로의 뒤를 이은 오우치 요시오키 쇼니氏 를 一時 滅亡 直前까지 몰아붙이고 기타규슈 · 주고쿠 地方의 霸權을 確立해 그 勢力 基盤을 確固하게 다졌다. 그리고 교토에서 쫓겨난 쇼군 아시카가 요시打네 (足利義稙)를 保護하여, 에이쇼 5年( 1508年 )에 호소카와 다카쿠니 (細川高國)와 協力해 요시打네를 끼고 주고쿠·규슈의 貰를 몰아 교토 로 上京해, 間레이(管領) 代理로서 무로마치 幕府의 政治를 行하는 等 表面上 一帶 勢力을 構築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長期間에 걸친 교토 滯留는 오우치뿐 아니라 그의 麾下 고쿠陣과 豪族들에게도 負擔이 컸고, 먼저 拘泥로 돌아간 아키 다케다氏 (安芸武田氏)의 다케다 모토시게 (武田元繁)나 이즈모 아마고 쓰네히社 等이 오우치의 領地를 侵略하는 等 背後를 威脅해왔다. 對應에 苦心하던 요시오키는 교토에서 돌아와 아마고 氏나 아키 다케다氏 집안과 싸웠다.

郊勞쿠 元年( 1528年 )에 요시오키가 죽자 赤字 요시타카(義隆)가 家督을 이어받았다. 이 時代에는 스誤뿐 아니라 나가토·이와미·아키· 貧苦 · 不젠 ·지쿠젠을 永有한 名實共히 西國(西?) 第一의 센고쿠 다이묘(??大名)로서 오우치 집안은 中興期를 이룩했다. 호소카와 氏 집안과도 싸워서 明나라 과의 交易을 獨占했으며, 學問과 藝能에 힘을 쏟았던 요시타카가 크리스트교 布敎를 許諾하고 구게(公家)나 宣敎師들을 積極的으로 保護했기에, 오우치 領內에는 獨特한 야마구치 文化圈(오우치 文化)李 形成되어 文化的으로도 全盛期를 맞았다.

衰退 [ 編輯 ]

오우치 요시타카는 스에 오키後嗣 (陶興房)나 나이토 오키모리 (?藤興盛) 等의 優秀한 家臣들의 補佐를 받으며 이즈모의 아마고 쓰네히社(尼子恒久)와 孫子 하루히사(晴久), 지쿠젠의 규슈 單다이 [5] 쇼니 스케모토(少?資元)·後遺히社(冬?) 富者와 勢力을 다투는 한便, 奔告의 오토모 요시아키(大友義鑑)나 아키의 모리 모토나리(毛利元就) 等과는 몇 番의 戰鬪 끝에 融和策을 講究했다. 特히 謀利를 自身의 勢力下에 종속시키는 데 成功했다. 또한 內紛이 일어난 이쓰쿠시마(嚴島)의 新株(神主) 집안 繼承 다툼에도 介入한 記錄이 남아있다.

덴分 5年( 1536年 ) 마침내 쇼니氏를 다시 滅亡 直前으로 몰아넣고, 덴分 9年( 1540年 )부터 10年( 1541年 )까지 모리 모토나리 의 巨星이었던 요시다 고리야마 酸性(吉田郡山城)의 싸움에 援軍으로 出戰, 아마고 氏를 擊破하고 아마고 氏의 本據地 이즈모로 쳐들어가 一 年에 가까운 遠征을 펼쳤으나, 조카이자 養子인 後繼者 하루모치(晴持)와 많은 家神을 잃고 遠征에 失敗했다. 큰 衝擊을 받은 요시타카는 정무도 내버린 채 오로지 學問과 藝能에만 힘을 쏟았다. 여기에 스에 다카後嗣 를 爲始한 武斷派와 사가라 多케토(相良武任)를 筆頭로 한 文治派의 對立이 激해지는 等 오우치는 內紛에 휩싸이기 始作했고, 結局 덴分 20年( 1551年 ) 스에 다카後嗣의 謀反으로 요시타카가 自決하면서(소위 다이네理智의 便 ) 오우치氏는 急速히 衰退한다 [6] .

滅亡 [ 編輯 ]

요시타카가 죽은 뒤, 스에 다카後嗣가 요시타카의 조카이자 養子인 오토모 하루히데 (大友晴英)를 堂主로 擁立하고, 그에게서 이름한 者를 받아 하루카打(晴賢)로 改名했다. 下樓히데는 오우치 요시나가 (大?義長)라 이름을 고치고 功臣 스에 하루카他家 權力을 잡았다. 하루카打는 强壓的으로 家門을 다스렸는데 이에 不滿을 품은 집안 內 勢力이 적지 않았다. 先代 요시타카의 妹兄인 요시미 다다料理 (吉見正?)가 이와미 산본마쓰(三本松)에서 反旗를 들었고, 이 渦中에 아키의 最大 勢力이었던 모리 모토나리 가 從屬 關係를 벗어나 센고쿠 다이묘 로 獨立했으며 곧 스에씨 勢力의 여러 城을 攻掠했다. 告知(弘治) 元年( 1555年 ), 여러 番의 敗北끝에 窮地에 몰린 하루카他家 아키의 미야지마(宮島)에서 모토나리의 奇襲攻擊 直前 自決했다( 이쓰쿠시마 戰鬪 ). 그의 죽음으로 오우치 內部는 統制力을 잃었고 右往左往하는 가운데 告知 2年( 1556年 ) 모토나리의 侵攻을 받게 된다. 家門 內部에서도 主要 家臣 그룹인 스奇氏 (杉氏)나 스에씨 (陶氏), 나이토氏 (?藤氏)까지 야마구치 周邊에서 서로 內紛을 일으켰다. 亂을 일으켰던 傍系 親族 요시미氏 (吉見氏)도 모리에게 降伏하고 臣下가 되면서 基盤을 모두 잃은 오우치 요시나가(大?義長)는 나이토 다카요(?藤隆世)의 거成人 나가토의 가쓰야마性 (且山城)으로 달아났다가 이듬해 長男 다카요와 함께 自決하였다. 이로써 嫡統 스誤 오우치氏(周防大?氏)는 滅亡했다.

奔告 오우치氏 [ 編輯 ]

에이로쿠 2年( 1559年 ),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 는 오우치 요시나가(大?義長)의 親兄으로서 因緣을 認定하여 奔告(豊後)와 不젠(豊前)의 태수 오토모 要視시게(大友義?) 에게 규슈 單다이 [5] [7] 의 職責과 함께 오우치 氏의 後繼者로 임명한다는 文書를 하사하였다 [8] .

에이로쿠 12年( 1569年 ) 주고쿠 地方을 平定한 모리氏가 北규슈에 侵攻했다. 嫡統 오우치 氏의 傍系 親族인 오우치 데루히로(大內輝弘)는 오토모 소린(大友宗麟)의 部下였는데 모리氏를 背後에서 擊退할 目的으로 軍事를 받아 스奧義 야마구치를 攻擊했다. 스오에서 오우치의 殘黨들이 잇달아 加擔하면서 야마구치를 奪還하고 다시 오우치 氏가 일어서는 듯 했지만, 오토모 氏 攻掠을 中斷하고 기타큐슈에서 急히 되돌아온 모리君의 逆襲으로 結局 全滅했다 [9] . 이로서 주고쿠 西部의 오우치 氏의 殘餘 勢力 亦是 사라졌다.

에도 時代 [ 編輯 ]

現在 도쿄 東쪽 이바라키 縣(茨城縣) 에는 에도 時代 우시쿠 番(牛久藩)이 있었는데, 代代로 번주였던 야마구치 氏가 오우치 氏의 傍系로서 오우치 요시히로의 次男 오우치 모치모리(大?持盛)의 系統이며, 메이지 維新 까지 후다이 다이묘(譜代大名) 로서 存續됐다.

特技 事項 [ 編輯 ]

  • 오우치 家門의 堂主는 오우치 요시나가 를 끝으로 滅亡했으나 스誤 오우치 家門의 血統은 繼續됐다. 第31代 堂主(宗孫)인 오우치 요시타카의 아들 中 하나가 도요타氏(豊田氏)를 만들고 世界(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現在 도요타 自動車 의 創業者 집안이 도요타의 一族이다. 確認 結果, 오우치氏의 堂主는 17代 오우치 요시나가 에서 끝이며, 31代 堂主라는 것은 確認되지 않는다. 또한 韓國의 李氏가 本官이 여러個듯이 도요타氏도 여러 地域에서 서로 다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도요타 自動車 創業者의 도요타氏가 오우치氏의 後孫이라는 合當한 根據資料가 添附되어야 하며 只今까지는 그러한 內容이 確認되지 않았다.</ref>
  • 南北朝 時代 아시카가 幕府 에게 反旗를 들었던 오우치 요시히로 의 一生을 素材로 小說 作品이 있다. 題目은 火焰의 塔 (炎の塔)이며 나오키 上 受賞 作家 後루카와 카오루 (古川薰, 1925年 ~)가 지었고 조정민이 옮겼다. 圖書出版 山지니. 272쪽. ISBN   9788965452171 .
  • 2009年 6月 8日 KBS 歷史 스페셜 에 오우치 이야기(1~5) 便이 放映됐다. 오우치의 後孫들이 自身들의 뿌리인 임성태者의 痕跡을 찾아서 忠南 公州 , 扶餘 益山 을 탐방하는 內容으로, 每年 백제 王陵에서 祭를 올리며 自身들을 백제 聖王 의 45代 손으로 主張하는 한 日本人 夫婦를 主題로 製作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는 야마구치縣 에 임성태子 供養塔과 그의 칼이 保存돼 내려오고 있으며 日帝 時代 前까지 韓半島와 關聯性을 나타내는 집안 資料들이 많았다는 內容이 包含됐다.
  • 오우치氏는 임성태者의 後孫을 自處하는 多타라 性(姓) 系統으로, 미나모토 性을 根本으로 삼는 同姓異本 血統이 存在하나 두 집안 사이는 全혀 關聯이 없다.

主要 人物 [ 編輯 ]


家臣 그룹 (센고쿠 時代) [ 編輯 ]

스誤?나가토 地方 가신단 [ 編輯 ]

美기타氏?스에씨
  • 스에 히로後嗣(陶弘房)
  • 스에 히로모리(陶弘護)
  • 스에 다케모리(陶武護)
  • 스에 오키後嗣(陶興房)
  • 未幾타 히로아키(右田弘詮) - 본디 스에씨
  • 스에 하루카打(陶晴賢) - 本名 다카後嗣(陶隆房)
  • 스에 나街後嗣(陶長房)
나이토氏
  • 나이吐 히로노리(?藤弘矩)
  • 나이토 오키모리(?藤興盛)
  • 나이토 다카토키(?藤隆時)
  • 나이토 다카하루(?藤隆春)
  • 나이토 다카요(?藤隆世)
스奇氏
  • 스機 오키쓰라(杉興連)
  • 스機 시게노리(杉重矩)
  • 스機 시게스케(杉重輔)
  • 스機 모토스케(杉元相|杉隆相)
히로나카氏
  • 히로나카 다케나가(弘中武長)
  • 히로나카 오키카네(弘中興兼)
  • 히로나카 다카카네(弘中隆包/隆兼)
  • 히로나카 다카스케(弘中隆助)
에라씨
  • 에라 後嗣히데(江良房?)
이이다氏
  • 이이다 오키히데(飯田興秀)
  • 이이다 나街히데(飯田長秀)
스에타케씨


이시미 地方 가신단 [ 編輯 ]

요시미氏
  • 요시미 老父料理(吉見信?)
  • 요시미 料理오키(吉見?興)
  • 요시미 마社料理(吉見正?)
  • 요시미 히로料理(吉見??)
마스다氏
  • 마스다 히로아키(益田兼堯)
  • 마스다 후지카네(益田藤兼)
도이다씨
  • 度이다 히로타네(問田弘胤)
  • 度이다 오키유키(問田興之)
  • 度이다 다카모리(問田隆盛)


그 外 地方 主要家臣들 [ 編輯 ]

요시타카 時代
  • 레이제이 다카土曜(冷泉隆豊)
  • 사가라 多케토(相良武任)
  • 亞麻盧 다카요시(天野隆良)
  • 오카野 다카히데(岡屋隆秀)
  • 誤打 다카미치(大田隆通)
  • 汚泥와 가타카네(大庭賢兼)
  • 오바타 要視者네(小幡義實)
  • 오카베 다카카게(岡部隆景)
  • 九老카와 다카카打(?川隆像)
  • 社나미 多카쓰라(佐波降連)
  • 네기 美妓盧베(?宜右延)
  • 히라가 다카모리(平賀隆保)

各州 [ 編輯 ]

  1. 高니키詩(王, コニキシ): 百濟語로 王을 뜻하는 鞬吉支의 日本語的 變形
  2. 도요타 氏(豊田家) 族譜(系譜) 中 Archived 2013年 7月 10日 - 웨이백 머신 '第十二代 聖王、第十三代 威?王(第十四代 惠王、第十五代 法王、第十六代 辰爾王、第十七代 武王、第十八代 義慈王、第十九代 豊璋王、第?代 ?廣) 第十四代 琳聖太子義照' 部分 拔萃
  3. 韓國에는 關聯 記錄이 全혀 없는 狀態이고 오우치氏의 宗孫 쪽은 백제 聖王을, 오우치의 一族인 도요타氏 는 백제 威德王을 임성태者의 아버지로 主張하였다.
  4. 朝鮮 王朝와 貿易等으로 密接한 關係를 構築했던 오우치 氏는 朝鮮 朝廷에 사람을 보내 임성태者의 記錄이나 族譜를 알려달라 要請했으나 朝鮮 朝廷에서도 記錄이 없어 對答을 못해줬다고 한다. 歷史上 重要性이 없어 漏落된 王子 中 하나일 수도 있고 記錄이 없다는 것일 뿐 加工의 人物이란 根據도 亦是 없다.
  5. 單다이(探題): 幕府가 임명하는 地方官 最高職의 하나. 규슈 , 시코쿠 , 오우 脂肪 等 首都에서 가장 먼 地域에서 軍事와 租稅權을 가졌다. 幕府가 權威를 잃자 有名 無實畫된다.
  6. 다이네이지(大寧寺)의 變을 오우치 氏의 實質的인 '滅門'으로 보는 見解도 有力하다.
  7. 기노시타 쓰토무(木下?) 作 - 中世日本사무라이官位의 硏究(『中世武家官位の?究』), 요시카와 코分칸(吉川弘文館) 發行, 2011年, ISBN   978-4-642-02904-9 P319
  8. 오이타현 (大分縣) 飼料 第 26番 424號「오토모케 文書(大友家文書)」에서 確認되고 있다.
  9. 一名 오우치 테루히로(大內輝弘)의 난(亂)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