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시오 헤이하치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오시오 헤이하치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시오 마사타카
大? 正高
기쿠치 요사이 작 오시오 헤이하치로 초상. 오사카성 천수각 소장.
기쿠치 요사이 作 오시오 헤이하치로 肖像. 오사카城 천수각 所長.
無事 情報
時代 에도 時代
出生 間稅이 5年 陰曆 1月 22日 ( 1793年 3月 4日 )
死亡 덴抛 8年 陰曆 3月 27日 ( 1837年 5月 1日 )
改名 마사타카(正高) → 告訴(後素)
別名 者 고키(子起), 湖 州사이(中?), 通稱 헤이하치로(平八?)
幕府 에도 幕府
官位 오사카 정봉행소 下級管理
氏族 이마가와氏
配偶者 다이코쿠야 乳牛/히로 (茶房 다이코쿠야 瓦市의 딸)
子女 兩者: 오시오 가쿠盧스케

오시오 헤이하치로 ( 日本語 : 大? 平八? , 間稅이 5年 陰曆 1月 22日 ( 1793年 3月 4日 ) ~ 덴抛 8年 陰曆 3月 27日 ( 1837年 5月 1日 ))는 에도 時代 後期의 양명학자 다. 오사카 정봉행소 料理키 를 歷任했고, 덴抛 大飢饉 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난 을 일으켰다. "헤이하치로"는 通稱이며, 휘는 마사타카(正高), 以後 코소(後素)로 改名. 者는 코키(子起), 號는 츄사이(中?).

오시오 가는 代代로 오사카 정봉행 의 料理키를 지낸 집안으로, 헤이하치로는 오시오 세이이치 의 8代孫이다. 性格이 정의로워 奉行 으로 在職하면서 不正을 잇따라 暴露했다. 特히 서정봉行 乳牛게 신자에몬(弓削新左衛門)의 腐敗를 거침없이 內部告發 하여 百姓의 尊敬을 받았다. 腐敗한 奉行所에서 오시오를 미워하는 이들도 많았지만 上官인 洞정봉행 他카이 社네料理 의 應援을 받아 活躍했다. 이 奉行소 內部告發 事件과, 교토 정봉행소 와 提携하여 進行한 기리柴炭 摘發, 나라 奉行소 , 사카이 奉行소 等에도 波及을 미친 破戒 勝 摘發의 세 件을 오시오 스스로 3代 公的으로 여겼다.

1830年 他카이가 轉勤 가면서 奉行소 일을 그만두고 陽明學 을 獨學했다. 知行合一 , 치량지 , 萬物一體知人 을 믿으며 隱居, 學業에 專念하고 私宿에서 自制를 指導했다. 에도의 양명학자 사토 잇사이 와 直接 만난 적은 없지만 書信을 자주 주고받았다. 오시오가 살던 時節에는 管井理學의 金 의 影響으로 朱子學 만이 流行하였기에 오시오는 쓸데없는 論爭에 휘말리고 싶지 않아 大部分의 손님을 만나지 않고 書翰에 答狀도 잘 하지 않았다.

1830年代 , 덴抛 大飢饉 이 일어났다. 飢饉은 1833年 가을부터 1834年 여름, 1836年 가을부터 1837年 여름에 걸쳐 特히 甚했다. 前者의 境遇 오사카에서는 當時 서정봉行 야베 社다노리 가 오시오를 顧問으로 待遇하여 諮問을 받고 또 야베의 麾下에 經濟 專門家인 尤史야마 히코地로 가 있었기에 그럭저럭 넘길 수 있었다. 하지만 後者의 境遇 야베가 사카이 奉行으로 昇進하여 오사카를 떠나고, 오사카 桐정봉행 아토베 요시스케 가 幕府의 歡心을 사기 위해 回美(回米; 地方에서 徵收한 稅米를 中央으로 輸送하는 일)를 마구잡이로 進行했고, 이에 따라 護喪들이 쌀을 사재기하여 오사카의 쌀값이 暴騰했다. 오사카 百姓들이 飢餓에 허덕이자 오시오는 아토베에게 備蓄된 薔薇(?米)를 百姓들에게 풀어줄 것, 護喪들의 買占賣惜을 멈추게 할 것 等 쌀값 安定을 위한 다양한 建議를 했다. 하지만 全혀 받아들여지지 않자 護喪 코노이케 젠에몬 9歲 에게 自身과 弟子의 祿米 를 擔保로 萬 兩을 빌려달라고 付託했다. 하지만 아토베가 젠에몬에게 拒否할 것을 命令했기에 이것도 實現되지 못했다. 아토베는 에도로의 回美를 徹底히 하기 위해 교토 에서 쌀값을 5되 1말 程度로 내려 파는 사람들을 잡아넣었다. 이렇게 되자 교토 거리는 餓死者로 가득했고, 流浪民들이 오사카로 흘러들어 오사카의 治安이 惡化되었다.

1836年 가을, 쌀값 暴騰의 影響으로 같은 해 8月 街異國 에서 發生한 덴抛 騷動 , 미카國 高老母番 에서 일어난 家母 一揆 等 各地에서 民亂 이 發生했다. 誤우우 脂肪 에서는 死亡者가 10萬 名에 達하는 가운데, 오시오는 9月부터 飢饉으로 인해 發生할 수 있는 民亂을 鎭壓할 訓鍊을 한다는 핑계로 弟子들에게 砲術 中心의 軍事訓鍊을 시키기 始作했다.

아토베에 對한 헌冊들이 棄却된 뒤인 1837年 2月 들어 私財를 處分해 가면서 救濟 活動에 힘쓴 끝에 腐敗한 奉行들을 處斷하고 護喪들에게서 쌀을 掠奪하는 것 外에는 더以上 根本的 解決策이 不可能하다고 判斷, 陰曆 2月 19日 (陽曆 3月 25日 ) 弟子들과 百姓들을 모아 봉기 했다( 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난 ). 하지만 弟子 몇 名이 密告하여 事前에 오사카 정봉행소가 出動함에 따라 蜂起 當日에 鎭壓되었다.

오시오는 當日 逮捕를 避했고, 가와치國 을 거쳐 야마토國 으로 逃避했다. 그리고 며칠 뒤 아토베의 暗殺을 꾀하여 오사카로 돌아왔다. 시센바 船着場 禹쓰步(現 오사카市 西區 1-3정목 一帶)의 商人 집안 미요시野(美吉屋)의 뒤뜰에 潛伏했다. 한 달餘 뒤 미요시野 街의 下女가 恒常 2人分의 食事가 餘分으로 차려지는 것을 의심스럽게 여겨 오사카 조다이 ( 시모社 高架番 週) 도이 都市쓰라 에게 密告했다. 이로 因해 隱身處가 發覺되어 捕卒들에게 包圍된 가운데 養아들 가쿠盧스케(格之助)와 함께 火藥 으로 自殺했다. (享年 45歲).

著書로 陽明學 독서록 《歲深冬次期》(洗心洞箚記), 佛敎 特有의 槪念으로 여겨진 "공"과 "허"를 佛敎가 傳來되기 以前 儒敎 聖賢이 이미 말한 바임을 論證한 《幽門空虛醉語》(儒門空?聚語), 《 梟獍 》에 對한 先賢들의 註釋을 整理한 《증보효경휘주》(?補孝?彙注), 朱熹 가 註釋을 단 《 大學 》에 反對하여 陽明學者로서 註釋을 단 《高본大學刮目》(古本大?刮目)이 있다. 오시오의 亂이 鎭壓되고 本人은 爆死한 以後 모든 著書들은 오사카 정봉행所에 依해 禁書 處分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