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암 (2003年 映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세암
監督 성백엽
脚本 최민용, 이서경, 성백엽
製作 김병헌, 이정호, 윤종윤, 서성진
原作 정채봉
音樂 강호정
製作社 마고21
配給社 시나브로 엔터테인먼트
開封일
  • 2003年 5月 1日  ( 2003-05-01 )
時間 75分
國家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言語 韓國語

오세암 》은 2003年 公開된 大韓民國 의 애니메이션 映畫로, 정채봉 의 1983年 同名의 童話가 原作이다. 2004年 안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長篇部門 最優秀 作品賞을 受賞했다.

줄거리 [ 編輯 ]

오세암은 孤兒인 戡夷와 男동생 길손을 따라다닌다. 戡夷는 溫順하고 消極的인 눈먼 少女인 反面, 길손은 지나치게 活動的이며 자주 장난을 친다. 두 사람은 몇 年 前 火災 事故로 어머니와 집을 잃은 戡夷가 視力을 잃은 狀況에 對處하면서 집안일을 도우며 大乘佛敎 寺院으로 避難處를 찾는다. 너무 어려서 理解하지 못하는 길손은 戡夷가 自身이 火災로 죽었다고 말한 적이 없기 때문에 언젠가는 어머니를 찾을 것이라고 如前히 믿는다. 길손은 스님과 함께 山에 가서 冥想을 하고 누이의 實名을 治療하려 하지만 結局 감이의 視力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

映畫는 플래시백의 瞬間과 짧은 强烈한 場面이 點在하지만 매우 느리게 進行되며 接近 方式에서 種種 삶의 一部로 비쳐진다. 캐릭터, 特히 孤兒에 많은 重點을 둔다.

聲優 [ 編輯 ]

製作陣 [ 編輯 ]


애니메이션 製作
  • 레이아웃: 정주왕, 정명섭, 구자국
  • 원貨: 이강용, 정주왕, 이건혜, 임종철, 유지훈, 권종원, 김중호, 유재하, 최경석, 최훈철, 장준경, 김동남, 剝民
  • 원貨 클린업: 김은영, 김경희, 박진경, 이세희, 전병곤
  • 원貨作감: 권은경
  • 背景: 황재덕, 고민아
  • 童話: R&A프로덕션, 뮤즈프로덕션, 시노드애니메이션, 유니動畫, 몬스터애니메이션, AD21애니메이션, 윤종호 (作감), 임혁 (作감), 황민철 (作감), 임종열 (作감), 백진영, 김은화, 김복순, 김경희, 정인애, 안효정, 송진희, 김윤정, 정대성, 윤은주, 양순매, 이세희, 김정우, 김현정, 김혜성, 최윤선, 황선희, 이은아, 박문희, 박미영, 김미연, 한명희, 김희영, 서남숙, 유상희, 윤혜誤, 박혜연, 정진영, 박은아, 정혜경, 서은정, 박경아, 허수정, 김정순, 김두숙, 전진희, 김지숙, 정재연, 한형갑, 김현주, 장영선, 이채원, 조영경, 박지영, 황재희, 장준이, 변영준, 양성아, 홍미선, 李興洙, 문수정, 김병대, 박영애, 오윤수, 秋慧敏, 김은희, 民興이, 방순이, 김수현, 예용준, 조혜진, 고연희, 최진희, 이현미, 이성진, 김승미, 최정인, 이보름, 김수진, 김현연, 이영미, 홍승희, 김복심, 남설희, 박윤식, 김미련, 민현숙, 고은주, 조윤희, 이승미, 限修正
  • 스캔 彩色: ANITOON KOREA, TOO TOO, 시노드애니메이션, R&A프로덕션, 뮤즈프로덕션, 엄성춘, 최영주, 나애자, 김은주, 문미선, 양미원, 이건우, 권미숙, 김병희, 김경욱, 김명훈, 이은정, 김한일, 김대균, 李美子, 金俯瞰, 이銀監, 한경호, 최은희, 손은정, 남숙韓, 公文愛, 이향현, 조원희, 이명현, 박성미, 金恩京, 황선희, 김혜선, 김진, 조순옥, 윤혜葉, 백상희, 김애경, 고은이, 김애란, 김서영, 최희정, 최은미, 배정자, 문봉준, 朴釘네, 박혜선, 류선임, 정희진, 황보혜련, 최희정, 傳命일, 이상진
  • 銃作감: 윤종호
  • 火이날: 최순철, 윤종운
  • 칼라檢事: 이효
  • 撮影: 신효철, 박준민, 성시대
  • 3D: 황지환, 정우영, 이경식
  • 서버管理: 김환섭
필름
  • 필름레코더: 홍진기, 차호준
  • 內街現象: 강명훈, 한충구, 권순홍
  • 包紙現象: 김기덕, 정의용, 안태원, 최재혁
  • 사운드現象&詩니컬아날라이즈: 최정영, 김성대
  • 필름檢收: 임진오, 송민
  • 프린팅: 김학성, 박용규, 박재감
  • 필름色補正: 이시우
  • 필름提供: (週)태창엠피筆 홍성곤
  • 編輯: 고임표 編輯室
  • 믹싱: 김지환
  • 사운드 디자인: 박재규, 김지환
  • 폴리 아티스트: 폴리워커스
  • 作曲: 강호정, 이혜준, 이상유
마케팅
  • 企劃室長: 金根植
  • 마케팅責任: 정인화
  • 弘報: 허준영
  • 弘報마케팅支援: 서수연, 이혜진
  • 弘報代行: 래핑보아
  • 디자인: 色
  • 配給: 송원상, 김동영
  • 配給마케팅: 명수美
  • 온라인마케팅: 얄개 네트워크
  • 홈페이지製作: MIND4
  • 豫告篇製作: 도어엔터테인먼트
  • 메이킹필름: 조창완
  • 엔딩크레딧: (週)코네트미디어
조창완, 신승태, 박지동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