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리너구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오리너구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리너구리
물에 있는 오리너구리
물에 있는 오리너구리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單空木
과: 오리너구리과
속: 오리너구리속
( Ornithorhynchus )
Blumenbach , 1800
學名
Ornithorhynchus anatinus
Shaw , 1799
香名
오리너구리의 分布

保全狀態


準威脅(NT): 近未來에 威脅에 處할 수 있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3]

오리너구리 ( 學名 Ornithorhynchus anatinus 오르니토르힌쿠스 亞나티누스 [ * ] )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섬 土種의 半修서성 단공류 (單孔類) 哺乳類 의 一種이다. 가시두더지 4種과 함께 現存하는 다섯뿐인 단공류 이며, 가장 原始的인 哺乳類 人 同時에 난生 (卵生)의 繁殖 方法을 擇하고 있는 極少數의 哺乳類 中 하나이다. [1] [4]

또한 오리너구리속, 오리너구리과 에서도 唯一하게 現在까지 命脈을 잇고 있는 鐘이자 모식종 으로, 같은 오리너구리科에 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여러 種은 모두 化石 으로만 發見된다. 다른 단공류 哺乳類처럼 오리너구리 亦是 電氣受容 을 통하여 먹이의 銅雀乙 捕捉한다. 哺乳類 가운데서는 매우 드물게도 毒性 物質을 지니고 있는데, 그 中에서도 神經獨 을 保有하고 있고, 수컷 오리너구리의 뒷발 며느리발톱 과 連結된 毒샘을 통해서 噴出되며, 人間이 여기에 베일 境遇 찌르는 듯한 極甚한 苦痛을 隨伴한다. 알에서 태어나지만 어미의 젖도 먹는다.

鳥類 와 混同되거나 鳥類와 哺乳類의 中間種이라는 誤解를 받으나, 實際 遺傳的으로는 鳥類보다 爬蟲類 에 더 近接한 哺乳類이다. 오리 를 닮은 부리, 비버 를 닮은 꼬리, 水獺 을 닮은 발을 가진 多少 우스꽝스러운 外貌에 알을 낳는 生態까지 겹쳐, 西區 博物學者들은 살아 있는 오리너구리를 確認하기 前까지, 1799年 學界에 寄贈된 오리너구리의 標本을 가리켜 다른 여러 動物들의 部位를 뒤섞어 造作해 놓은 假짜 標本이라고 疑惑을 提起한 바도 있었다. [5] [6]

태즈메이니아섬 을 包含한 오스트레일리아의 東部에 棲息한다. 뉴사우스웨일스주 의 象徵動物이기도 한 오리너구리는 [7] [8] [9] 20世紀 初까지 毛皮를 얻고자 濫獲당했으나, 現在는 모든 棲息地에서 法的으로 保護받고 있다. 人工繁殖 으로 個體 數를 불리는 것이 어렵고 環境 破壞와 水質 汚染에 脆弱하지만, 아직까지 個體 數의 暴落이나 눈에 띌 만한 威脅은 보이지 않는다.

分類와 어원 [ 編輯 ]

오리너구리를 그린 첫 스케치 (1799年)

오리너구리가 西方 學界에 存在가 처음 알려진 것은 1798年으로, 大英 帝國 의 海軍 將校이자 뉴사우스웨일스 의 2代 總督 이었던 존 헌터 ( 英語 : John Hunter )가 簡略한 스케치와 털가죽을 本國에 보냈다. [10] 오리너구리의 생김새를 처음 본 英國 學者들은 將校가 새빨간 詐欺를 치고 있다고 여겼다. [11] 이 動物을 著書 《自然圖鑑( Naturalist's Miscellany )》에 처음 記錄한 조지 쇼 는 該當 冊을 통해 이 動物의 眞僞 與否를 疑心하지 않을 수가 없다는 뜻을 내비쳤으며, [12] 스코틀랜드 의 動物學者 로버트 녹스 는 이 動物을 아시아 剝製 社가 재미로 만들었을 것이라는 推測을 드러냈다. [11] 共通的으로 오리너구리는 누군가가 비버 와 비슷하게 생긴 齧齒類 動物에 억지로 오리 주둥이를 달아 놓은 假짜일 것이라는 意見이 支配的이었다. 조지 쇼는 甚至於 標本에 가위날을 들이대고서 부리를 꿰매 놓은 자국이 없는지 確認하기도 했다. [13]

오리너구리를 뜻하는 英單語 플來티퍼스 ( Platypus )는 그리스어 單語인 플라투포우스( πλατ?που? )에서 따온 것으로, 이 낱말은 그리스어로 '平발'을 意味한다. [14] [15] [16] [17] 쇼는 맨 처음에 오리너구리 種에 플라티푸스 亞나티누스 ( Platypus anatinus )라는 學名을 附與했으나, 이미 該當 俗名이 암브로시아바구미 (Ambrosia Beetle)의 한 속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確認한 [18] 요한 블루멘바흐 는 1800年 오리너구리의 俗名을 고쳤고, 그 結果 오리너구리의 學名은 오르泥土린쿠스 爬羅毒수스 ( Ornithorhynchus paradoxus )가 되었다. [19] 以後 學名의 命名法 原則 가운데 먼저 쓰인 種名을 바꾸지 않는다는 原則에 依據하여, 最終的으로는 오르泥土린쿠스 亞나티누스 ( Ornithorhynchus anatinus )가 되었다. [18] 오르泥土린쿠스 亦是 그리스語 單語( 그리스어 : ορνιθ?ρυγχο? )에서 따온 말로서, 새 주둥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또한 亞나티누스는 라틴語 形容詞로 '오리를 닮은'이라는 뜻을 內包하고 있다. 現在 오리너구리는 現存하는 單空木 哺乳類 5種 가운데 하나로 分類되고 있으며, 同時에 오리너구리科에서는 唯一하게 命脈을 잇고 있는 種으로 記錄된다. [20]

形態 [ 編輯 ]

헤엄치는 오리너구리
正面에서 본 오리너구리
平均 크기 [18] [21]
體重 (kg) 몸길이 (cm)
꼬리 주둥이
수컷 1.0 - 2.4 45 - 60 10.5 - 15.3 5.8
암컷 0.7 - 1.6 39 - 55 8.3 - 12.0 5.2

濠洲 에 세워진 最初의 英國 植民地 가운데 한 곳에서 1788-1801年 동안 赴任했던 데이비드 콜린스(David Collins)는 오리너구리를 보고 두더지 種類로 推定되는 良書動物이라 記錄하였으며, 오리너구리를 描寫한 簡單한 그림도 남겼다. [22]

앞뒤로 길쭉한 몸에 굴곡지고 넓적한 꼬리가 있으며, 부리와 발을 뺀 나머지 몸 全體가 털로 빽빽하게 뒤덮여 있다. 털 色깔은 普通 진褐色 乃至는 古銅色을 띠지만, 地域에 따라 노란色이나 軟灰色에 가까운 털 色을 지닌 個體가 發見되기도 한다. [23] 質感이 두더지 의 體貌와 매우 비슷한 이 털은 낮은 氣溫에 對하여 斷熱·防水 效果가 매우 뛰어나다. [13] [18] [24] 또, 둥글넓적한 꼬리는 駱駝 의 혹처럼 地方을 備蓄하는 데 쓰이는데, 이는 태즈메이니아데빌 과 같은 餘他 哺乳類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 特徵이다. [25] 發議 물갈퀴는 앞발에 달린 것이 더 넓고 뚜렷하게 發達되어 있는데, 물 속에서는 헤엄을 잘 치게 해 주고 뭍으로 올라올 때는 地表面을 걷기에 알맞게 접힌다.

넓적하게 비죽 튀어나와 있는 주둥이와 그보다 面積이 작은 아래턱은 오리 부리를 닮았으나, 새 부리처럼 딱딱하지 않고 軟한 皮膚와 가죽으로 되어 있어서 觸感이 물렁물렁하다. 주둥이 끄트머리에 두 콧구멍이 있고, 눈과 귀는 홈이 패인 듯 움푹 들어가 있다. 그런 構造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너구리가 헤엄을 칠 때는 물이 새지 않도록 이 部分을 쉽게 여닫을 수 있다. [18] 氣分이 언짢을 때 낮고 떨리는 울음소리를 내며, 오리너구리를 飼育하는 施設에서는 個體들끼리 여러 가지 音聲 信號를 통해서 意思疏通을 하는 듯한 行動이 目擊된 바가 있다. [13]

몸무게의 範圍는 0.7-2.4kg로, 수컷이 암컷보다 더 크다. 수컷은 平均 50cm에 達하는 데 反하여 암컷은 그보다 살짝 작은 平均 43cm에 이른다. [18] 地域마다 조금씩 덩치에 差異가 나는데, 이는 氣候와는 뾰족한 相關關係가 없으며 人間 居住地域이 들어서거나 捕食者의 個體 數와 같은 環境的인 要因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26]

眞髓下降 에 屬한 다른 動物들이 體溫을 37 °C로 維持하는 데 反해, 오리너구리는 平均 體溫 32 °C를 維持한다. [27] 이 낮은 體溫에 對해서는 단공류 本然의 特質이라 하기보다는, 단공류의 極度로 적은 가짓數 等의 要因을 考慮할 때 環境에 適應하기 위한 漸進的인 進化로 인하여 이루어졌다는 主張에 더 信憑性이 있다. [28] [29]

한便, 새끼 오리너구리는 위턱에 小臼齒 1個와 어금니 2個, 아래턱에 어금니 3個, 都合 齒牙 6個가 觀察된다. 이빨은 普通 獨立하기 前에 빠지며, 代身 케라틴 으로 이루어진 板이 올라온다. 이 판은 먹이를 붙잡거나 으깨는 데 使用하며, 齒牙의 役割을 代身한다. [18]

毒性 [ 編輯 ]

수컷 오리너구리의 며느리발톱

암수가 모두 날카로운 며느리발톱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발목 뒤쪽의 毒샘을 통해 毒性 物質을 使用할 수 있는 것은 수컷뿐이다. [30] [31] [32] 이 毒은 오리너구리가 가진 固有 免疫 體系를 통해 生成되는 디펜新 蛋白質 (DLP)로 構成되어 있으며, 그 中 셋은 오리너구리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는 物質이다. [33] 이 蛋白質들은 病原菌을 물리치는 抗體의 役割을 하기도 하지만, 스스로를 지키기 爲한 毒으로 使用될 때도 있다. 햄스터 같은 比較的 작은 動物들에게는 致命的이지만 사람에게는 그 程度로 效果가 剛하지는 않다. 그러나, 한 番 쏘인 後 뒤따르는 苦痛은 매우 至毒한 것으로 惡名이 높다. [33] [34] 患部에는 浮腫 이 急激히 생겨나며 漸次 쓰라리는 部位가 넓어진다. 오리너구리 독에 쏘인 事例들 가운데서 相當數가 苦痛이 惡化되어 甚하게는 두세 달 동안까지 가는 統覺過敏 을 앓는다고 한다. [35] [36] 다리에 있는 毒샘은 콩팥 처럼 꽈리샘 形態를 띠고 있으며, 며느리발톱이 달린 발꿈치뼈 까지 毒을 傳達하는 가느다란 毒관이 있다. 암컷 오리너구리는 수컷만큼 다리 部分의 內分泌腺이 發達하지 않아 며느리발톱은 있으나 有毒物質을 使用할 수 없다. [18]

오리너구리가 가진 毒은 哺乳類가 아닌 다른 生物들이 使用하는 督過는 듣는 方式과 原理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사람에게는 목숨에 支障이 없을지언정 對象者를 해치거나 損傷시키에는 充分히 剛한 毒이라고 이를 수 있다. 수컷만이 毒샘을 발달시키고 州로 繁殖期에 이 毒의 分泌가 活潑해지기 때문에, 본 目的이 이 期間 동안 다른 수컷들에게 텃勢를 부리기에는 제格인 攻擊 道具였을 것이라는 推定도 存在한다. [33]

이미 滅種한 哺乳動物 가운데서는 이와 같은 構造를 지닌 며느리발톱을 가지고 있는 哺乳類들이 적지 않은데, 이것은 이 構造가 緋緞 단공類에게만 局限되어 있는 特徵이 아니라 많은 線代 哺乳類들의 特徵 中 하나였을 可能性을 示唆해 주고 있다. [37]

電氣探知 [ 編輯 ]

敎育 目的으로 學校에 紹介된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가 屬해 있는 단공류는 哺乳類 가운데 돌고래 같은 海洋 哺乳類 몇몇을 除外하면 電氣受容 能力을 가진 唯一한 갈래이다. [38] 단공류는 筋肉의 收縮을 통해 생기는 微細 磁氣場을 探知하는 것으로 먹이가 어디 있는지를 看破해 낼 수 있다. 오리너구리의 電氣受容 感覺은 단공류 가운데서도 가장 뛰어나고 銳敏하다. [39] [40]

오리너구리의 電氣受容氣는 부리에 集中되어 있으며, 全體的으로 均一하게 分布하고 있는 機械受容機 에 비해 부리 街에만 偏在되어 分布하고 있다. 電氣受容을 擔當하는 大腦皮質 은 觸角을 受容하는 大腦皮質에 包含되어 있고, 몇몇 皮質 細胞는 두 가지 모두 받아들이기도 한다. 부리로 느낄 수 있는 두 가지 感覺은, 마치 펜필드의 호문쿨루스 에서 사람의 손이 차지하는 感覺만큼이나 커다란 比重을 차지한다. [41] [42]

오리너구리는 電氣受容을 통해 電氣 信號가 오고 있는 方向 또한 把握할 수 있는데, 電氣受容體로 흘러들어오는 信號의 세기나 波長을 區別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귀상어 가 그러듯이 오리너구리는 먹이를 찾을 때 부리를 左右로 흔드는 動作을 取하는데, 前述한 要因이 그 習性의 有力한 原因이라고 할 수 있다. 電氣 信號와 觸角, 두 가지를 한꺼번에 느끼는 大腦 皮質 構造 德分에, 오리너구리는 먹이가 움직일 때 내보내는 微細한 磁氣場과 壓力, 脈搏 等을 모두 捕捉할 수 있다. 두 가지 信號는 同時에 오지 않고 時間差를 두고 오는데, 이것 亦是 먹이를 探知하는 데 重要한 要素가 된다. [40]

물속에서 먹이 사냥을 하는 途中에는 視角도 嗅覺度 뾰족히 쓸모가 없기 때문에 오리너구리가 사냥에 들어가면 자맥질할 때마다 물이 새어들어가지 않도록 遮斷하기 위해 눈과 콧구멍을 닫는다. [43] [44] 電氣受容 能力에 對한 어떤 實驗 結果에 따르면 오리너구리는 微細한 電流가 흐르는, 사람 손으로 만든 假짜 새우에도 反應했다. [45]

오리너구리가 왜 이와 같은 電氣受容 能力을 뛰어난 水準으로 발달시켰는가 하는 疑問에 對하여, 科學者들은 混濁한 물 속 環境에서 먹이를 잡기 위하여 視角과 嗅覺 代身 觸角을 銳敏한 水準으로 발달시켰을 것이라는 설을 提起하며, 이는 어쩌면 오리너구리가 이가 없는 것과도 關聯이 있을지도 모른다. [46] 오브두로돈 ( Obdurodon )이라는 滅種된 단공류 亦是 電氣受容 感覺을 利用해 먹이를 잡았으나, 이 鐘은 現生 오리너구리와는 달리 河川이 아닌 바다 에서 살았다는 差異가 있다.

단공류의 電氣受容 體系는 大體的으로 보다 물과 가깝거나 濕氣 찬 氣候를 가진 棲息地를 가질수록 더 發達 水準이 뛰어나다는 特徵이 있다. 水中 生活을 하는 오리너구리는 電氣受容 體系가 단공류 가운데 가장 卓越한 反面, 濕潤 氣候에서 主로 棲息하는 긴코가시두더지 3種은 오리너구리보다 덜 發達된 電氣受容 體系를 가지며, 乾燥 氣候를 選好하는 짧은코가시두더지 는 단공류 가운데 가장 電氣受容 能力이 微弱하다. [41]

[ 編輯 ]

硏究 結果에 따르면, 오리너구리의 눈은 大部分의 哺乳類보다는 魚類 七星長魚 먹長魚 , 그 中에서도 太平洋먹長魚 ( Eptatretus stoutii )와 構造가 비슷하다. 게다가 오리너구리의 눈에서는 같은 哺乳類에게서 찾아보기 힘든 이中 圓錐細胞가 發見된다. [47]

크게 發達하지도 않았고 물 속에서도 視野 確保를 위하여 쓰이지 않는 눈이지만, 오리너구리의 祖上뻘 되는 종들이 한때 視角에 보다 크게 依存했다는 證據는 많이 남아 있다. 오리너구리의 눈 構造를 살펴보면 水晶體 와 그와 接하는 角膜 表面은 平平한 데 비해 眼球 쪽을 向하는 水晶體 表面은 볼록한데, 이것은 水獺 바다獅子 等 水西性 哺乳類의 눈에서 알 수 있는 代表的인 特徵이다.

관자뼈 쪽에는 網膜神經節細胞 가 集中되어 있는데, 이는 視野를 大幅 넓혀 양안시(兩眼視) 動物이 사냥 및 飽食 行爲를 하는 데 重要한 役割을 한다. 이와 같은 特質을 통해 오리너구리가 물 속에서의 視角을 도태시킨 代身 電氣受容 體系를 발달시켜 水中·夜間 活動에 成功的으로 適應하여 進化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1]

習性과 生態 [ 編輯 ]

오리너구리의 頭蓋骨 構造
헤엄치는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半修生 動物로, 東部 濠洲 全體에 分布하며 이나 蓮못 , 沼澤地 , 또는 地帶 環境에서 棲息한다. [23] 內陸 地域에서는 分布地나 分布 限界線 따위가 明確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州 에서는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캥거루섬 에 몇몇 個體들이 導入되어 分布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8] 또한 머레이달링 盆地 의 境遇 지나친 灌漑 農業 때문에 水質이 惡化되어 亦是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인다. [49]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水系(水界)를 따라서 오리너구리가 正確히 어디에 分布하는지를 가늠하기는 어렵다.

주머니늑대 에게 攻擊當하는 오리너구리를 描寫한 揷畵 (1854)

飼育되는 個體는 最大 17年까지 살 수 있으며, 野生 個體는 大槪 11年 程度 산 것들이 잡힌다. 天敵이나 病에 依한 死亡率은 比較的 낮은 便이다. [18] 天敵에는 · 오스트레일리아물쥐 · 王도마뱀 · 猛禽類 等이 있으며, 北東部 地域에 棲息하는 오리너구리들은 때때로 鰐魚 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50] 現在는 絶滅 주머니늑대 亦是 한때 오리너구리의 天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1845年을 前後로 붉은여우 가 들어오면서 個體 數에 變動이 있었을 可能性도 있다. [26] 主로 , 또는 새벽 무렵에 活動하는 夜行性 乃至는 박명박母性 動物이지만 에 活動하기도 하며, 特히 흐린 날씨일 때 움직임이 活潑해진다. [51] [52] 먹이를 쉽게 求하기 위하여 江과 江둑에 居處를 둔다. [52] 活動 半徑은 最大 7km假量으로, 大槪는 수컷 한 마리가 암컷 서너 마리와 活動 半徑이 겹친다. [53]

물 속에서 헤엄을 치는 能力이 뛰어나며, 時間을 大部分 물속 먹잇감을 사냥하는 데 보낸다. 뚜렷하게 드러나는 귓바퀴가 없기 때문에, 特히 헤엄치고 있을 때는 餘他 濠洲 哺乳動物들과 確然하게 區別된다. [54] 헤엄을 칠 때는 大部分 앞발만을 使用하여 推進力을 얻고, 뒷발은 물갈퀴가 發達되어 있음에도 不拘하고 거의 使用하지 않는데, 이와 같은 水營 方式은 哺乳動物 가운데서는 宏壯히 보기 드물다. 뒷발은 直接 推進力을 내지는 않는 代身 꼬리와 더불어 方向을 바로잡는 舵輪(舵輪)과 같은 役割을 한다. [55] 溫血動物 으로, 몇 時間 동안 물 속에 있어도 體溫을 恒常 32 °C로 일정하게 維持한다. [18]

한 番 潛水하면 普通은 30秒 程度, 길게는 40秒假量 물 속에 머무르며, 그 뒤 10秒 동안 空氣를 呼吸하다가 다시 潛水하는 行動을 反復한다. [56] [57] 뭍에 있을 때는 楕圓形으로 판 얕은 땅窟 속에서 쉰다. 굴은 恒常 江가에 바짝 붙어서 파며, 種種 天敵이 侵入하기 어려운 나무뿌리 사이에 파기도 한다. [54] 睡眠 時間은 하루에 約 14時間으로 多少 긴데, 그 까닭은 칼로리 含量이 높은 甲殼類 를 즐겨 먹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58]

먹이 [ 編輯 ]

오리너구리는 肉食動物 으로 민물 가재 ·민물 · 새우 ·水棲昆蟲 幼蟲· 環形動物 等을 즐겨 먹는다. 먹이들은 大槪 부리로 江바닥을 헤집고 긁어서 나오는 것들로, 먹은 뒤에는 볼주머니를 利用해 陸上으로 옮긴다. 하루에 제 몸무게의 20%에 達하는 量을 攝取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하루 12時間 동안 먹이를 찾아다닌다. [56]

繁殖 [ 編輯 ]

오리너구리 둥지 모습을 本딴 模型

오리너구리가 맨 처음 유럽 自然科學者들에게 알려졌을 때 본 動物이 난生인지 胎生인지에 關하여 一團의 論爭이 있었다. 알을 낳는다는 事實은 1884年까지 明白하게 糾明되지 않았다가 윌리엄 헤이 칼드웰( 英語 : William Hay Caldwell )이라는 스코틀랜드 出生의 動物學者가 [59] 150名의 濠洲 原住民 들과 함께 探査를 한 結果 土窟 둥지에서 알이 發見되면서 確認되었다. [18] [33] 그는 이 事實을 確認하고 난 後 本國에 "난生 단공류, 部分割란(部分割卵)"이라고 짤막한 電報를 쳤다. 卽, 단공류는 알을 낳으며, 알이 細胞 分裂 段階에 있을 때 오직 한쪽 面에서만 分裂하는 形態라는 것을 意味한다.

1年에 한 番 繁殖期를 가지며, 6月에서 10月 사이에 交尾가 이루어지나 사는 곳에 따라서 繁殖期가 찾아오는 正確한 날짜에는 差異가 있을 수 있다. [50] 한 수컷이 암컷 여러 마리의 암컷과 關係를 가지는 一部多妻型 繁殖을 하며, 암컷은 性的으로 成熟해지는 2年부터 繁殖을 始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現在까지 確認된 繁殖 事例는 9살 以上으로 比較的 나이든 암컷들의 事例가 많다. [60]

土窟 속의 오리너구리

交尾가 끝나면 암컷은 水面에서 위로 30cm 程度밖에 떨어져 있지 않던 旣存 둥지를 더 깊이 파고들어가는데, 그 깊이는 種種 20m 程度까지 깊은 것도 있으며, 파고들어간 入口 近處에 마개나 遮蔽物로 쓸 법한 돌이나 나무彫刻을 種種 가져다놓는다. 이렇게 해 두면 물이 둥지 속으로 흘러들어오거나 捕食者가 侵入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으며, 온·습도를 調節할 수 있다. [61] 수컷은 交尾 後 곧바로 암컷과 訣別해 自己 隱身處로 돌아간다. 암컷은 알을 낳기 前까지 落葉을 모아 窟 속 바닥을 부드럽게 만들고, 긴 터널 끝에 둥지 材料가 될 落葉, 짚 따위를 깔아 놓는다. 이 材料들은 모두 암컷이 꼬리로 긁어서 運搬한다. [13]

암컷은 子宮 卵巢 가 두 個지만 오로지 왼쪽 卵巢만이 제 役割을 한다. [51] 오리너구리가 지닌 遺傳子는 哺乳類의 XY 性染色體와 鳥類 爬蟲類 의 ZW 性染色體 사이의 連結 고리를 示唆하는 要素가 될 수 있는데, X染色體 다섯 個 가운데 한 個가 鳥類의 Z染色體에서 發見되는 DMRT1 이라는 物質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62] 한 배에 2-3個의 알을 낳는데 普通은 2個를 낳으며, 알은 太半이 楕圓形인 새알에 비해 좀더 원에 가까운 形態를 하고 있고 直徑이 11mm 程度 되며 灰色이 감도는 흰色으로 가죽 같은 껍질로 싸여 있다. [63] 알은 子宮 속에서 28日 동안 形態를 갖추며, 以後 10日 동안은 子宮 밖으로 나와 어미가 배와 앞쪽으로 구부린 꼬리로 품는다. [51] 抱卵期 동안 알 속 새끼에게는 總 3段階를 거쳐 形態 變化가 찾아온다. [64] 1靈 段階에서는 胚芽 에서 번듯한 機關을 찾아볼 수 없으며 오로지 노른자의 卵黃囊 에 依支한다. [65] 이 卵黃囊은 알 속의 새끼가 漸漸 커 가면서 吸收된다. 2靈 段階에서는 새끼에게 다리가 자라나며, 3靈 段階에서 難治 가 나타난다. [64]

갓 알을 깨고 나온 새끼는 눈을 감은 채 태어나며, 마땅한 털도 없고 매우 작고 軟弱하다. 어미에게 기어올라 젖을 먹고 자라며, 이 때 어미는 젖샘 에서 分泌되어 腹部의 毛皮 사이에 敗因 홈을 통해 스며나오는 젖으로 새끼들을 먹인다. [13] [50] 새끼들을 돌보는 期間 동안에 어미는 거의 바깥으로 나가지 않으며, 나간다 해도 必要한 먹이만을 微量만 먹고 돌아오며, 나가 있는 동안 捕食者가 돌아오지 않도록 入口와 通路를 흙더미로 가로막는다. [66] 넉 달 동안 哺乳가 이어지다가 새끼가 다 자라면 窟을 나와 獨立하며, 이 때즈음 살짝이나마 돋아나 있던 齒牙는 떨어져 나가고 턱에 거친 齒板만 남는다. [67]

鎭火 [ 編輯 ]

現生 오리너구리의 滅種된 親戚 스테로포돈 의 復元火

처음에 오리너구리와 그 밖의 단공류들은 硏究된 것이 거의 없어서 19世紀 내내 이들의 進化 過程에 對하여 妥當한 根據 없는 浪說만 亂舞하였고, 아직도 一部 잘못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들도 있다. [68] 1947年 美國 의 生物學者 윌리엄 킹 그레고리 는 太半哺乳類와 단공류를 包含한 유대류 사이에 分期(分岐)가 일어났을 것이라고 推定했으나 이는 틀린 主張임이 化石 硏究를 통해 證明되었다. [68] [69] 오리너구리를 비롯한 단공류는 유대류와 太半類가 갈라지기 前에 元帥亞綱 ( Prototheria )으로 따로 떨어져 나갔으며, 유대류와 太半類의 分期는 그 以後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68] [70] 化石 資料의 年代를 測定한 結果,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는 1,900-4,800萬年 前에 갈라져 나왔다는 結論이 導出되었다. [71]

오리너구리

가시두더지

胎生

유대下降

胎盤 存在

太半下降

오리너구리와 餘他 哺乳類들 間의 進化 分期도 [72]

가장 오래된 化石은 100,000年 前 第4期 홀로세 의 것이다. 테이놀로포스 · 스테로포돈 等의 滅種한 단공류들은 한때 現生 오리너구리와 遺傳的으로 가까운 種으로 알려졌으나, [69] 現在는 親戚뻘이라기보다는 祖上뻘에 가까운 關係로 修正되었다. [73] 스테로포돈 의 化石은 뉴사우스웨일스주 에서 發掘됐으며, 오팔 質이 된 아래턱뼈와 어금니 세 個가 發見됐다. 110萬 年 前에 化石이 된 것으로 測定되는 이 標本은 濠洲 에서 發見된 哺乳類 化石 가운데 가장 옛것이다. 또다른 滅種된 단공류 테이놀로포스는 오리너구리 및 가시두더지와는 달리 주둥이가 나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73]

같은 科에 屬하는 滅種 단공류 가운데서는 某노트레마툼 수드아메리카눔( Monotrematum sudamericanum )이라는 種도 있는데, 이 鐘은 팔레오세 에 살았으며 濠洲가 아니라 아르헨티나 에서 化石이 發掘되었다. 過去 南아메리카와 濠洲가 南極 乙 사이에 두고 붙어 있었을 當時를 곤드와나 라고 부르는데, 이 當時 유대류가 現在의 남아메리카 땅에서도 살았다는 證據가 되었다. 亦是 같은 科에 屬하는 오브두로돈 은 500-1,500萬 年 前에 살았는데, 이 속에 屬하는 種 가운데 打랄코스킬드( Obdurodon tharalkooschild )는 남겨진 齒牙 化石으로 볼 때 몸길이가 約 1.3m로 推定되었으며, 이는 오리너구리과 內에서는 記錄的인 크기이다. [74]

核型과 게놈 [ 編輯 ]

오리너구리 骨格

현대 進化生物學에서 오리너구리는 큰 興味를 끌고 있는 主題 가운데 하나이다. 2004年 硏究로 오리너구리의 새로운 遺傳的 特徵이 밝혀졌는데, 오리너구리가 總 10個의 性染色體 를 가진다는 것이었다. 암컷은 X染色體를 10個, 수컷은 X와 Y染色體를 各各 5個씩 가지고 있다. 卽, 수컷의 性染色體 體系를 달리 表現하면 X 1 Y 1 X 2 Y 2 X 3 Y 3 X 4 Y 4 X 5 Y 5 가 된다. [75] 人間 을 包含한 다른 哺乳類들은 大槪 性染色體를 세 雙 以上으로 가지지 않으며, 오리너구리의 性染色體 救助는 오리너구리가 屬한 哺乳類보다 ZW 染色體를 가지는 鳥類 와 더 닮았다. [76] 오리너구리의 核型 常染色體 21個, 性染色體 10個로 構成되어 있다.

암컷 오리너구리의 게놈 指導가 2007年 뉴사우스웨일스주 에서 처음 解讀되었으며, 分析 結果 總 1,995,607,322雙의 鹽基雙 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직 正確한 遺傳子 數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어림 잡아 18,600個로 推定되고 있다. [77] [78] [79]

保存 [ 編輯 ]

1798年 獨逸 에서 出版된 어린이用 그림冊에서 描寫된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 捕獲 禁止는 1905年 法制化되었지만, 20世紀 全般에 걸쳐 毛皮를 얻기 위해 사냥의 對象이 되었으며, 1950年代까지도 그물이나 낚시에 잘못 걸려드는 事例가 많았다. [66] [49] 그럼에도 不拘하고 南方 濠洲에서 자취를 감춘 것을 除外하면, 오리너구리의 生態的 地位나 保存 狀態는 濠洲에 유럽人들이 定着하기 前과 比較하여 別般 달라진 것이 없다. 持續的인 自然 開發로 인한 棲息地의 分裂 때문에, 張差 滅種 危機에 處할 危險性은 提起되지만, 保護 政策이 成功的으로 效果를 거두어들인 德에 現在까지도 該當 棲息地에서 比較的 흔히 볼 수 있는 動物이다. [52] 그러나 建設· 灌漑 農業·水質汚染·한發 等의 威脅 要因을 排除할 수는 없어, IUCN 에서는 赤色 目錄 에서 오리너구리를 脆弱近接(NT) 段階로 策定하고 있다. [3] [80] 2020年 오리너구리의 數爻가 全 州에서 減少함에 따라 脆弱 段階로 格上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81] [82] [83]

疾病에 感染될 憂慮는 적으나, 태즈메이니아섬에서는 무코르 癌피洑룸( Mucor amphiborum )이라는 곰팡이 에 依한 風土 疾病에 種種 걸리는 일이 發生한다. 이 곰팡이는 오로지 태즈메이니아섬에 棲息하는 오리너구리에게만 感染되며, 아직 濠洲 本土의 오리너구리 가운데서는 곰팡이에 依한 感染 事例가 發見되지 않았다. 病에 걸린 오리너구리는 皮膚 病變과 더불어 등·꼬리·다리 等 身體 구석구석에서 潰瘍 을 일으킨다. 體溫 不均衡과 食慾不振 等의 症勢를 통해 오리너구리의 生命을 앗아갈 수도 있는 疾病이며 2次 感染의 危險度 存在한다. 본 疾病의 正確한 感染 經路와 現況에 對해서는 아직 硏究 中이다. [84]

1939年 科學 雜誌 내셔널 지오그래픽 에서 오리너구리 飼育과 硏究를 다룬 記事가 올라온 以後로 動物園에서 오리너구리를 기르는 事例 또한 늘어났다. 動物園에서는 飼育하기 힘든 動物로, 繁殖과 새끼의 生存이 어려우나 빅토리아州 의 힐스빌 保護區域( 英語 : Healesville Sanctuary )처럼 人工 繁殖을 成功的으로 完遂한 事例도 存在한다. 이 施設의 責任者인 데이비드 플레이( 英語 : David Fleay )는 오리너구리를 飼育할 때 안에 담긴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等 最大限 自然 狀態와 類似하게 만든 水槽를 使用하여 1943年 繁殖을 成功裏에 실현시켰다. [85] 該當 施設에서는 1998年과 2000年에서도 이와 類似한 水槽를 利用한 繁殖이 成功했고, 2008年부터는 定期 繁殖, 2代째 繁殖시키는 데에도 成功하고 있다. [86] [87] [88] 以外에도 타롱가 動物園 에서도 2003年과 2006年 오리너구리를 繁殖시키는 데 成功한 事例가 있다. [86] [89]

現況 [ 編輯 ]

오리너구리를 飼育, 保存 目的으로 飼育하는 動物園 및 保護區域의 目錄은 다음과 같다.

퀸즐랜드주 [ 編輯 ]

론 파인 코알라 保護區域에 있는 오리너구리 保存施設
  • 데이비트 플레이 野生動物公園, 골드코스트
  • 론 파인 코알라 保護區域, 피그트리포켓 [90]
  • 브리스베인 森林公園, 더갭 [91]
  • 打잘리 湖水 오리너구리 公園, 밀라아밀라아 [92]

뉴사우스웨일스주 [ 編輯 ]

빅토리아州 [ 編輯 ]

美國 [ 編輯 ]

現在 濠洲 外의 動物園에서 오리너구리를 展示하고 있는 國家는 美國 이 唯一하다. 한때 뉴욕 브롱스 動物園 이 1922年, 1947年, 1958年에 오리너구리 搬入을 試圖한 記錄이 있으나, 오로지 1947年에만 成事되었고 그마저도 18個月밖에 살지 못하고 斃死했다. [93] 現在로서는 샌디에이고 動物園 사파리 파크 의 室內 우리에서 몇 마리를 展示하고 있는 것이 全部이다. [94] [95]

利用 [ 編輯 ]

1890年産 오리너구리 毛皮 망토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들은 오리너구리를 食糧으로 사냥하며, 그 中 두터운 꼬리가 特히 地方 含量이 많고 營養價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便 유럽에서 온 移住民은 고기보다는 毛皮를 얻기 위해서 19世紀 後半부터 사냥이 法的으로 嚴禁된 1912年까지 오리너구리를 사냥했다. 또한, 動物學者나 硏究者들 亦是 오리너구리를 生捕해 가거나 알을 쓸어가는 行爲를 벌이기도 했다. 主로 科學的 知識을 얻으려는 同時에, 名聲을 얻거나 學問的 競爭에서 勝利를 爭取하려는 意圖에서였다. [83]

文化 [ 編輯 ]

오리너구리 造形物

오리너구리는 濠洲 原住民들 사이에서 傳承되는 이야기 속에 자주 登場하며, 原住民들은 오리너구리를 오리 오스트레일리아물쥐 사이에서 태어난 動物이라고 여겼다. [96] :57?60 그 가운데 어떤 傳承民譚에 따르면, 땅짐승과 물짐승, 그리고 날짐승들이 그들 모두의 特徵을 가졌던 오리너구리에게 서로 自己들 便에 붙어 달라고 졸랐으나, 특별한 存在가 되기 위해서는 굳이 어느 쪽 便에 끼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달은 오리너구리는 세 集團의 要請을 모두 拒絶했다고 한다. [96] :83?85

濠洲에서 種種 大會나 祝祭 마스코트 로도 그려지는 오리너구리는 特히 2000年 시드니 올림픽 의 마스코트인 시드(Syd)의 모델이 된 것으로 有名하다. 같은 濠洲 特産 動物인 가시두더지와 웃음물銃새 또한 該當 올림픽에서 마스코트의 모델로서 選拔되었다. [97] 또한 88年度 世界 博覽會에서도 마스코트 엑스포 오즈(Expo Oz)로 디자인되었으며, [98] 運營 體制 다윈 亦是 헥瑟리(Hexley)라는 오리너구리 캐릭터를 마스코트로 使用한다. [99]

오리너구리가 그려진 郵票

오리너구리는 濠洲에서 通用되는 郵票 銅錢 에 種種 登場하는 動物이다. 처음 郵票에 그려진 것은 1937年이었고, 1960-64年度에 濠洲의 土種 動物 시리즈에 다시 登場했다. 라오스 적도기니 에서 나온 記念 郵票 시트에서도 오리너구리를 郵票에 그렸으며, 以後 1987年 36센트짜리 郵票와 1996年 95센트짜리 郵票, 2006年에 다시 $4.65 濠洲 달러 및 5센트 郵票에 連달아 다시 모습이 그려졌다. 또한 1966年부터 濠洲에 십진第 通話가 通用되기 始作하면서, 貨幣 도안 擔當者였던 스튜어트 데블린( 英語 : Stuart Devlin )이 20센트짜리 銅錢 뒷面에 오리너구리 그림을 새겨넣었다.

애니메이션 《 피니와 퍼브 》에서는 主人公 피니, 퍼브 兄弟의 愛玩動物인 오리너구리 페리 라는 캐릭터가 登場하며, 主人들이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 祕密 組織에서 諜報員 일을 하고 있는 캐릭터로 나온다. 製作陣은 主人公의 愛玩動物 役割로 오리너구리를 選擇한 것은 오리너구리의 獨特한 外貌를 活用하는 것과 同時에 흔히 接할 수 없는 動物을 浮刻시키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100] 본 캐릭터는 팬과 批評家 兩쪽 모두에게 좋은 評을 받고 있다. [101] [102]

各州 [ 編輯 ]

  1. Groves, C.P. (2005). “Order Monotremata” [單空木] .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2쪽.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2. Shaw, George; Nodder, Frederick Polydore (1799). “The Duck-Billed Platypus, Platypus anatinus.” . 《The Naturalist's Miscellany》 10 (CXVIII): 385?386. doi : 10.5962/p.304567 .  
  3. Woinarski, J. & Burbidge, A.A. (2016). Ornithorhynchus anatinus . 《 IUCN 赤色 目錄 》 ( IUCN ) 2016 : e.T40488A21964009 . 2017年 9月 28日에 確認함 .  
  4. MacFarlane, P. M.; Baudinette, R. V.; Frappell, P. B.; Fish, F. E. (2001年 2月 15日). “Energetics of terrestrial locomotion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英語) 204 (4): 797?803. ISSN   0022-0949 . PMID   11171362 .  
  5. “Discovery and naming” .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 2016年 11月 29日에 確認함 .  
  6. Walters, Martin; Johnson, Jinny (2003). 《Encyclopedia of Animals》. Marks and Spencer p.l.c. 192쪽. ISBN   978-1-84273-964-8 .  
  7.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2008). “Symbols & Emblems of NSW” . 2008年 7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12月 29日에 確認함 .  
  8.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2016年 10月 24日). “State Emblems” (英語) . 2017年 3月 15日에 確認함 .  
  9. Parliament of New South Wales. “State Arms, Symbols and Emblems Amendment - Bill 2015” (PDF) . 2019年 5月 30日에 確認함 .  
  10. Hall, Brian K. (March 1999). “The Paradoxical Platypus”. 《BioScience》 49 (3): 211?8. doi : 10.2307/1313511 . JSTOR   1313511 .  
  11. “Duck-billed Platypus” . Museum of hoaxes . 2010年 7月 21日에 確認함 .  
  12. Shaw, George (1799). 《Naturalist's Miscellany, vol.10》 . London : Printed for Nodder & co. 227?232쪽 . 2019年 3月 16日에 確認함 .  
  13. “Platypus facts file” .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 200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14. πλατ?που? ,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 on Perseus
  15. πλατ?? , A Greek-English Lexicon , on Perseus
  16. πο?? , A Greek-English Lexicon , on Perseus
  17. Liddell, Henry George & Scott, Robert (1980).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ISBN   978-0-19-910207-5 .  
  18. Grant, J.R. 〈16〉 (PDF) . 《Fauna of Australia》 1b .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ABRS). 19 May 2005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13 September 2006에 確認함 .  
  19. “Platypus Paradoxes” .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August 2001 . 2006年 9月 14日에 確認함 .  
  20. Ornithorhynchus anatinus duck-billed platypus” . Animal Diversity Web (ADW) . 2019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21. “Science & Nature” (英語). BBC . 2011年 9月 26日. 2016年 5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9月 30日에 確認함 .  
  22. Collins, David. 《An Account of the English Colony in New South Wales, Volume 2》 . 2017年 7月 5日에 確認함 – Internet Archive 經由.  
  23. “Platypus” .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Tasmania. 31 August 2006. 9 October 2006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2 October 2006에 確認함 .  
  24. “Platypus : Facts, Pictures : Animal Planet” . Animal.discovery.com. 2011年 11月 16日 . 2012年 9月 8日에 確認함 .  
  25. Guiler, E.R. (1983). 〈Tasmanian Devil〉. R. Strahan. 《The Australian Museum Complete Book of Australian Mammals》. Angus & Robertson. 27?28쪽. ISBN   978-0-207-14454-7 .  
  26. Munks, Sarah & Nicol, Stewart (May 1999). “Current research o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in Tasmania: Abstracts from the 1999 'Tasmanian Platypus Workshop ' . University of Tasmania. 2006年 8月 3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0月 23日에 確認함 .  
  27. “Thermal Biology of the Platypus” . Davidson College. 1999. 2012年 3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9月 14日에 確認함 .  
  28. Watson, J.M.; Graves, J.A.M. (1988). “Monotreme Cell-Cycl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36 (5): 573?584. doi : 10.1071/ZO9880573 .  
  29. Dawson, T.J.; Grant, T.R.; Fanning, D. (1979). “Standard Metabolism of Monotrem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27 (4): 511?5. doi : 10.1071/ZO9790511 .  
  30. “Australian Fauna” . Australian Fauna. 2012年 5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5月 14日에 確認함 .  
  31. “Platypus venom linked to pain relief” . University of Sydney. 2008年 5月 8日. 2011年 8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5月 14日에 確認함 .  
  32. “Platypus poison” . Rainforest Australia. 2010年 5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5月 14日에 確認함 .  
  33. Gerritsen, Vivienne Baillie (December 2002). “Platypus poison” . 《Protein Spotlight》 (29) . 2006年 9月 14日에 確認함 .  
  34. Weimann, Anya (4 July 2007) Evolution of platypus venom revealed . Cosmos .
  35. de Plater, G.M.; Milburn, P.J.; Martin, R.L. (2001). “Venom From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 Induces a Calcium-Dependent Current in Cultured Dorsal Root Ganglion Cells”. 《Journal of Neurophysiology》 85 (3): 1340?5. doi : 10.1152/jn.2001.85.3.1340 . PMID   11248005 .  
  36. “The venom of the platypus ( Ornithorhynchus anatinus )” . 2012年 2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37. Jørn H. Hurum, Zhe-Xi Luo, and Zofia Kielan-Jaworowska, Were mammals originally venomous?,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1 (1), 2006: 1?11
  38. Black, Richard (2011年 7月 26日). “Dolphin hunts with electric sense” . 《BBC News》 . 2012年 12月 26日에 確認함 .  
  39. Proske, Uwe; Gregory, J. E.; Iggo, A. (1998). “Sensory receptors in monotremes” .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353 (1372): 1187?98. doi : 10.1098/rstb.1998.0275 . PMC   1692308 . PMID   9720114 .  
  40. Pettigrew, John D. (1999). “Electroreception in Monotremes” (PDF)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2 (Pt 10): 1447?54. PMID   10210685 .  
  41. Pettigrew, John D.; Manger, P.R.; Fine, S.L. (1998). “The sensory world of the platypus” .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353 (1372): 1199?1210. doi : 10.1098/rstb.1998.0276 . PMC   1692312 . PMID   9720115 .  
  42. Dawkins, Richard (2004). 〈The Duckbill's Tale〉. 《 The Ancestor's Tale, A Pilgrimage to the Dawn of Life 》. Boston MA: Houghton Mifflin. ISBN   978-0-618-00583-3 .  
  43. Warren, Wesley C.; 外. (2008年 5月 8日). “Genome analysis of the platypus reveals unique signatures of evolution” . 《Nature》 453 (7192): 175?183. Bibcode : 2008Natur.453..175W . doi : 10.1038/nature06936 . PMC   2803040 . PMID   18464734 . 要約文 – Nature Podcast 08-05-2008.  
  44. Gregory, J.E.; Iggo, A.; McIntyre, A.K.; Proske, U. (June 1988). “Receptors in the Bill of the Platypus” . 《Journal of Physiology》 400 (1): 349?366. doi : 10.1113/jphysiol.1988.sp017124 . PMC   1191811 . PMID   3418529 .  
  45. Manning, A.; Dawkins, M.S. (1998). 《An Introduction to Animal Behaviour》 5板.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Masakazu Asahara; Masahiro Koizumi; Thomas E. Macrini; Suzanne J. Hand; Michael Archer (2016). "Comparative cranial morphology in living and extinct platypuses: Feeding behavior, electroreception, and loss of teeth". Science Advances. 2 (10): e1601329. doi:10.1126/sciadv.1601329.
  47. Zeiss, Caroline; Schwab, Ivan R.; Murphy, Christopher J.; Dubielzig, Richard W. (2011). “Comparative retinal morphology of the platypus”. 《Journal of Morphology》 272 (8): 949?57. doi : 10.1002/jmor.10959 . PMID   21567446 .  
  48. “Research on Kangaroo Island” . University of Adelaide. 2006年 7月 4日. 2004年 7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0月 23日에 確認함 .  
  49. Scott, Anthony; Grant, Tom (November 1997). “Impacts of water management in the Murray-Darling Basin on the platypus ( Ornithorhynchus anatinus ) and the water rat ( Hydromus chrysogaster )” (PDF) . CSIRO Australia. 2016年 3月 15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0月 23日에 確認함 .  
  50. “Platypus” .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Queensland Parks and Wildlife Service. 2006. 2009年 10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7月 24日에 確認함 .  
  51. Cromer, Erica (14 April 2004). “Monotreme Reproductive Biology and Behavior” . Iowa State University. 13 March 2009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8 June 2009에 確認함 .  
  52. Grant, T.G.; Temple-Smith, P.D. (1998). “Field biology of the platypus ( Ornithorhynchus anatinus ):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s” .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081?91. doi : 10.1098/rstb.1998.0267 . PMC   1692311 . PMID   9720106 .  
  53. Gardner, J. L.; Serena, M. (1995). “Spatial-Organization and Movement Patterns of Adult Male Platypus, Ornithorhynchus-Anatinus (Monotremata, Ornithorhynchidae)”.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43 (1): 91?103. doi : 10.1071/ZO9950091 .  
  54. “Platypus” . Parks and Wildlife Service Tasmania. February 2008. 2011年 3月 1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6月 18日에 確認함 .  
  55. Fish, F.E.; Baudinette, R.V.; Frappell, P.B.; Sarre, M.P. (1997). “Energetics of Swimming by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 Metabolic Effort Associated with Rowing” (PDF)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0 (20): 2647?52. PMID   9359371 .  
  56. Philip Bethge (April 2002). “Energetics and foraging behaviour of the platypus” (PDF) . University of Tasmania . 2009年 6月 21日에 確認함 .  
  57. Kruuk, H. (1993). “The Diving Behaviour of the Platypus ( Ornithorhynchus anatinus ) in Waters with Different Trophic Status”.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0 (4): 592?8. doi : 10.2307/2404239 . JSTOR   2404239 .  
  58. Holland, Jennifer S. (July 2011). “40 Winks?”. 《National Geographic》 220 (1).  
  59. Bidder, G.P. (1941). “Mr. W. H. Caldwell”. 《Nature》 148 : 557?559. Bibcode : 1941Natur.148..557B . doi : 10.1038/148557a0 .  
  60. Grant, T. R.; Griffiths, M.; Leckie, R.M.C. (1983). “Aspects of Lactation i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onotremata), in Waters of Eastern New South Wales”.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31 (6): 881?9. doi : 10.1071/ZO9830881 .  
  61. Anna Bess Sorin & Phil Myers (2001). “Family Ornithorhynchidae (platypus)” .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 2006年 10月 24日에 確認함 .  
  62. Graves, Jennifer (2006年 3月 10日). “Sex Chromosome Specialization and Degeneration in Mammals”. 《Cell》 124 (5): 901?914. doi : 10.1016/j.cell.2006.02.024 . PMID   16530039 .  
  63. Hughes, R. L.; Hall, L. S. (1998年 7月 28日). “Early development and embryology of the platypus” .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101?14. doi : 10.1098/rstb.1998.0269 . PMC   1692305 . PMID   9720108 .  
  64. Manger, Paul R.; Hall, Leslie S.; Pettigrew, John D. (1998年 7月 29日). “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platypus ( Ornithorhynchus anatinus )” .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115?25. doi : 10.1098/rstb.1998.0270 . PMC   1692310 . PMID   9720109 .  
  65. “Ockhams Razor” . 《The Puzzling Platypus》. 2001年 7月 20日 . 2006年 12月 2日에 確認함 .  
  66. “Egg-laying mammals” (PDF) . Queensland Museum. November 2000. 2008年 7月 22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6月 19日에 確認함 .  
  67. Piper, Ross (2007).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 ISBN   978-0-313-33922-6 .  
  68. Kirsch, John A. W.; Mayer, Gregory C. (1998年 7月 29日). “The platypus is not a rodent: DNA hybridization, amniote phylogeny and the palimpsest theory” .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221?37. doi : 10.1098/rstb.1998.0278 . PMC   1692306 . PMID   9720117 .  
  69. Rauhut, O.W.M.; Martin, T.; Ortiz-Jaureguizar, E.; Puerta, P. (2002). “The first Jurassic mammal from South America”. 《Nature》 416 (6877): 165?8. Bibcode : 2002Natur.416..165R . doi : 10.1038/416165a . PMID   11894091 .  
  70. Messer, M.; Weiss, A.S.; Shaw, D.C.; Westerman, M. (March 1998). “Evolution of the Monotremes: Phylogenetic Relationship to Marsupials and Eutherians, and Estimation of Divergence Dates Based on α-Lactalbumin Amino Acid Sequences”.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5 (1): 95?105. doi : 10.1023/A:1020523120739 .  
  71. Phillips MJ; Bennett TH; Lee MS (2009). “Molecules, morphology, and ecology indicate a recent, amphibious ancestry for echidnas” . 《Proc. Natl. Acad. Sci. U.S.A.》 106 (40): 17089?94. Bibcode : 2009PNAS..10617089P . doi : 10.1073/pnas.0904649106 . PMC   2761324 . PMID   19805098 .  
  72. Lecointre, Guillaume; Le Guyader, Herve (2006).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183-9 . 2015年 3月 28日에 確認함 .  
  73. Rich, Thomas H.; Hopson, James A.; Gill, Pamela G.; Trusler, Peter; Rogers-Davidson, Sally; Morton, Steve; Cifelli, Richard L.; Pickering, David; Kool, Lesley (2016). “The mandible and dentition of the Early Cretaceous monotreme Teinolophos trusleri” . 《Alcheringa: An Australasian Journal of Palaeontology》 (英語) 40 (4): 475?501. doi : 10.1080/03115518.2016.1180034 . ISSN   0311-5518 .  
  74. Mihai, Andrei (2013). ' Platypus-zilla' fossil unearthed in Australia” . ZME Science.  
  75. Selim, Jocelyn (2005年 4月 25日). “Sex, Ys, and Platypuses” . Discover . 2008年 5月 7日에 確認함 .  
  76. 리처드 도킨스 , 《 祖上 이야기 》. 2008, ISBN 978-3-550-08748-6 .
  77. MapViewer Eintrag
  78. W.C. Warren, L.W. Hillier, J.A. Marshall Graves u. a. (2008年 5月). “Genome analysis of the platypus reveals unique signatures of evolution” . 《Nature》 453 (7192): 175?183. doi : 10.1038/nature06936 . PMC   2803040 . PMID   18464734 .  
  79. Frank Gruetzner, Willem Rens u. a.: In the platypus a meiotic chain of ten sex chromosomes shares genes with the bird Z and mammal X chromosomes. In: Nature. 432, 2004, S. 913?917, doi 10.1038/nature03021 .
  80. John Woinarski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 and The Arts; Group), Andrew Burbidge (IUCN SSC Australasian Marsupial and Monotreme Specialist (2014年 4月 22日).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Ornithorhynchus anatinus” .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2020年 12月 3日에 確認함 .  
  81. “Platypus should be listed as a threatened species: new report” . 《UNSW Newsroom》.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2020年 11月 23日 . 2020年 11月 28日에 確認함 .  
  82. “A national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platypus” . 《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 2020年 11月 28日에 確認함 .  
  83. Hawke, Tahneal; Bino, Gilad; Kingsford., Richard T. (2020年 11月 17日). A national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platypus (PDF) (報告書) . 2020年 11月 28日에 確認함 .  
  84. “Platypus Fungal Disease” .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Tasmania. 29 August 2008. 7 March 2008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9 February 2008에 確認함 .  
  85. “Fantastic Fleay turns 20!” . 《Zoos Victoria》. 2013年 10月 31日. 2018年 11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2月 4日에 確認함 .  
  86. “Platypus” . Catalyst. 2003年 11月 13日 . 200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87. “Pitter patter ? Platypus twins!” . Zoo Victoria. 2013年 3月 4日. 2018年 8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8月 17日에 確認함 .  
  88. “Zoos” .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2016年 11月 22日. 2019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8月 17日에 確認함 .  
  89. “Taronga Zoo welcomes baby platypus” (英語). 2006年 2月 16日 . 2011年 9月 26日에 確認함 .  
  90. “Lone Pine Koala Sanctuary” . Koala.net. 2 January 2012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8 September 2012에 確認함 .  
  91. “Walkabout Creek” . Queensland Government. 2011年 6月 7日. 2013年 9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0月 3日에 確認함 .  
  92. “Home” . 2017年 7月 5日에 確認함 .  
  93. Lee S. Crandall (1964). 《The Management of Wild Mammals in Cap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4. Anderson, Erik (2019年 11月 22日). “Rare Platypus On Display At San Diego Zoo Safari Park” . 《KPBS Public Media》 (英語) . 2019年 12月 29日에 確認함 . The animals are the only platypuses on display outside of their native country.  
  95. “Platypus | San Diego Zoo Animals & Plants” . 《animals.sandiegozoo.org》 . 2019年 12月 29日에 確認함 .  
  96. McKay, Helen F.; McLeod, Pauline E.; Jones, Francis F.; Barber, June E. (2001). 《Gadi Mirrabooka: Australian Aboriginal Tales from the Dreaming》. Libraries Unlimited. ISBN   978-1563089237 .  
  97.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Mascots” . Beijing2008. 2004年 8月 5日. 2008年 6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0月 25日에 確認함 .  
  98. “About World Expo '88” . Foundation Expo '88. 1988. 2013年 12月 1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12月 17日에 確認함 .  
  99. “The Home of Hexley the Platypus” . 2006年 10月 25日에 確認함 .  
  100. “Disney gives 'Ferb' pickup, major push ? Q&A: Dan Povenmire” . 《Hollywood Reporter》. 2009年 6月 7日 . 2017年 3月 5日에 確認함 .  
  101. Littleton, Cynthia (2009年 11月 20日). ' Phineas' star Perry makes mark on auds” . 《 Variety . 2009年 11月 26日에 確認함 .  
  102. Jackson, John (2009年 3月 31日). “Five Reasons Why Phineas and Ferb is the Best Kids Show on TV” . 《 Paste 》. 2019年 10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11月 25日에 確認함 .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